논술자료

유형별 논술교과서 / 10. 단순 비교형

설경. 2008. 9. 1. 09:55

[한겨레] 우리말 논술
9. 제시문 분류


10. 단순 비교형
유형 1 - 공통 주제 추출
유형 2 - 제시문 간 비교
11. 조건 비교형
■ 유형의 이해

'비교'는 둘 이상의 대상을 견주어서 어느 한 대상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고 대상들의 정도 차이를 나타내는 것도 비교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대조'는 모순되는 사물이나 측면을 이용하여 맞세우는 표현 기법이다. 쉽게 말하면, 차이점을 강조하는 것이 대조이고 공통점을 강조하는 것이 비교이다. 그러므로 비교와 대조는 둘 이상의 대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어 대상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설명 방법이다. 그러나 공통점과 차이점 모두 비교의 개념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논술고사에서는 '비교 대조형' 또는 '비교 분석형' 등의 명칭으로 유형을 분류한다. 출제 유형별로 구분 짓는다면 단순 비교형과 조건 비교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순 비교형은 제시문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 주제를 추출하거나 제시문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문제 유형으로 재구분할 수 있다. 조건 비교형은 제시문에 나타난 특정한 내용과 일정한 조건을 토대로 비교 서술하는 형태이다.

단순 비교형에 해당하는 기출 논제에는 '다음 네 개의 제시문은 하나의 공통된 주제와 관련된 글이다. 그 주제를 말하고, 제시문 간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시오. 그리고 그 주제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논술하시오. (고려대 2007학년도 정시)', '제시문 (가)~(라)는 공통된 주제와 관련되어 있다. 그 공통 주제를 밝히고, 각 제시문의 논지를 비교 설명하시오(국민대 2008학년도 수시2)', '(가)와 (나)의 요지를 서로 비교하시오(숙명여대 2008학년도 모의논술)'처럼 제시문들의 공통 주제를 제시하거나 제시문들 간의 차이점 혹은 공통점을 비교하는 논제를 제시한다.

■ 이 유형이 왜 중요한가

논술은 자기 견해를 설득력을 갖추어 조리있게 전개하는 논리적 표현 방법이다. 그러나 한 편의 견해제시형 논술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제시문 분석 능력이 요구된다. 이때, 비교와 대조의 방법은 제시문을 제대로 분석해내기 위한 유용한 기법에 해당한다. 즉, 제시문에 담겨 있는 논지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한 기본 방법인 것이다. 만약 두 사물이나 의견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이해하지 못할 경우에는 논제 파악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논제 이탈'의 논술을 하게 되는 셈이다.

통합 논술에서는 제시문에 대한 이해와 비교 분석을 토대로 논지나 내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를 요구한다. 그리고 비교와 대조의 과정을 통하여 자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대상 간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능력과 연관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는 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비교나 대조의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관점을 구체화할 수 있다. 즉, 비교 분석의 과정을 통해 논지 이탈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 어떻게 해결할까

(1)

비교나 대조의 대상은 같은 범주에 있는 동위 개념이어야 하고, 동일한 비교나 대조의 기준에 대해서는 동일한 관점이 적용돼야 한다.

(2)

제시문 속에 명시적으로 내용상의 정보와 구조상의 정보가 드러나 있을 경우에는 있는 그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요지를 파악한다. 제시문들 간의 요지를 상호 비교하면 공통 주제가 추출된다.

(3)

비교의 대상이 되는 제시문들 중에서 명시적으로 주제가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유추의 기법을 활용한다. 여기에서 유추는 주제가 선명한 제시문을 토대로 주제가 숨어있는 제시문의 주제를 파악할 때에 활용되는 설명 방식이다.

(4)

일반적으로 비교나 대조를 요구하는 논제에서는 비교 대조의 목적과 대상 제시/ 문제 제기/비교 대조의 기준/ 대상별·내용별 성질/각 성질의 공통점과 차이점/ 성질에 대한 자기 견해 등을 포함해야 한다.

(5)

제시문을 독해할 경우에는 단락별로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구분해 접근한다. 단락별 소주제를 파악해 일차적인 제시문 단위의 주제를 파악한다.

(6)

사실의 진술과 필자 의견을 정확하게 구분해 이해한다. 이러한 구분은 정보의 객관성과 주관성을 판단하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논제에서 요구하는 비교 분석의 대상이 사실인지 의견인지를 파악하면 정확한 서술이 가능해진다.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