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뉴스
대학 총학도 시국선언
설경.
2009. 6. 5. 10:38
[서울신문]서울대, 중앙대 교수를 비롯한 교수사회의 시국선언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학생들의 동참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연세대 총학생회가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5일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성공회대, 홍익대 등 다른 대학들도 뒤따를 예정이다.
연세대 총학생회는 5일 오후 2시 중앙도서관 앞 민주광장에서 이명박 정부의 사과와 집회 및 결사·언론의 자유 보장, 신영철 대법관의 사퇴를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국민의 기본권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민주주의 위기가 심각해졌다."면서 "촛불시위 1년이 된 시점에서 1987년 이한열 열사가 외쳤던 민주주의를 시민들의 품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연세대는 오는 21일 학교 노천극장에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콘서트도 개최하기로 했다. 홍익대도 5일 '시국 문화제'를 열고 정부 실정에 대한 비판의 자리를 갖는다.
한국대학생연합은 정부의 반민주적 태도를 비판하는 시국선언문을 오는 10일 일간지에 게재하기로 하고 현재 서명·모금운동을 하고 있다. 이미 서명운동에 동참한 대학교만 50여개교에 이른다. 이원기(25·부산대) 한대련 의장은 "이명박 정부의 정치 탄압, 반민주·반민생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이 선언문에 담길 예정"이라고 밝혔다.
성공회대, 홍익대도 시국선언 운동에 동참할 뜻을 분명히 했다. 성공회대 김무곤 부총학생회장은 "오는 9일 학내 시국대회를 열어 현 정부의 반민생 정책을 비판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대 반독재투쟁위원회는 총학생회에 시국선언을 제안했다.
이재연 박성국기자 oscal@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세대 총학생회는 5일 오후 2시 중앙도서관 앞 민주광장에서 이명박 정부의 사과와 집회 및 결사·언론의 자유 보장, 신영철 대법관의 사퇴를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국민의 기본권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민주주의 위기가 심각해졌다."면서 "촛불시위 1년이 된 시점에서 1987년 이한열 열사가 외쳤던 민주주의를 시민들의 품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연세대는 오는 21일 학교 노천극장에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콘서트도 개최하기로 했다. 홍익대도 5일 '시국 문화제'를 열고 정부 실정에 대한 비판의 자리를 갖는다.
한국대학생연합은 정부의 반민주적 태도를 비판하는 시국선언문을 오는 10일 일간지에 게재하기로 하고 현재 서명·모금운동을 하고 있다. 이미 서명운동에 동참한 대학교만 50여개교에 이른다. 이원기(25·부산대) 한대련 의장은 "이명박 정부의 정치 탄압, 반민주·반민생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이 선언문에 담길 예정"이라고 밝혔다.
성공회대, 홍익대도 시국선언 운동에 동참할 뜻을 분명히 했다. 성공회대 김무곤 부총학생회장은 "오는 9일 학내 시국대회를 열어 현 정부의 반민생 정책을 비판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대 반독재투쟁위원회는 총학생회에 시국선언을 제안했다.
이재연 박성국기자 oscal@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