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학년도 한국교원대 대학입학 전형계획 주요사항
2007 대비 주요 변경 사항
항 목 |
변경 내용 |
비 고 |
학생부 반영 비중 확대 |
ㅇ 제1,2,3대학 : 현행 40% → 50% ㅇ 제4대학 : 변동 없음.(30%) |
실질 반영률 증가 |
학생부 반영 과목 확대 |
ㅇ 현행 3과목(초등은 11과목) → 17과목 |
이수한 모든 학기 성적 반영 |
논술 시행 |
ㅇ 논술 5% 반영(제4대학 제외) |
|
면접 |
ㅇ 전공 면접을 폐지, 일반 면접만 실시 |
|
탐구 영역 반영 과목 |
ㅇ 현행 4과목(음악은 2과목) → 3과목 |
|
제4대학 실기 비중 |
ㅇ 현행 20% → 25% |
|
정시 1단계 전형 |
ㅇ 현행 학생부+수능 → 수능 100% |
|
적성 및 인성 검사 |
ㅇ 현행 교직 인·적성 → 교직 인·적성 + 전공 적성 각 5% |
|
수시 모집 2학기 관련 |
ㅇ 초등교육과 학업 성적 우수자 전형만 실시 ㅇ 학업 성적 우수자 특별 전형 폐지 ㅇ 유공자 자녀, 농어촌 학생, 실업계 출신자, 재외국민과 외국인 특별 전형 : 정시에 실시 |
수시2는 초등교육과 학업 성적 우수자 전형만 실시 |
Ⅰ. 전형 유형별 모집 인원
대 학 (계 열) |
모집 단위 |
정시 모집 |
수시 모집 2 |
합계 |
정원 내 |
정원 외 |
계 |
정원내 |
학 과 |
일반 학생 |
독립, 국가 유공자 |
소계 |
농어촌 학생 |
실업계 고교 출신자 |
재외 국민과 외국인 |
소계 |
학업성적우수자 |
제1대학 (교육 과학) |
유 아 |
19 |
1 |
20 |
1 |
|
2 |
3 |
23 |
|
23 |
초 등 |
77 |
1 |
78 |
2 |
|
2 |
4 |
82 |
70 |
152 |
소 계 |
96 |
2 |
98 |
3 |
|
4 |
7 |
105 |
70 |
175 |
제2대학 (인문·사회 과학) |
국 어 |
34 |
1 |
35 |
2 |
|
2 |
4 |
39 |
|
39 |
영 어 |
24 |
1 |
25 |
2 |
|
|
2 |
27 |
|
27 |
독 어 |
9 |
1 |
10 |
|
|
|
|
10 |
|
10 |
불 어 |
9 |
1 |
10 |
|
|
|
|
10 |
|
10 |
윤 리 |
19 |
1 |
20 |
1 |
|
1 |
2 |
22 |
|
22 |
일반사회 |
19 |
1 |
20 |
2 |
|
1 |
3 |
23 |
|
23 |
지 리 |
19 |
1 |
20 |
2 |
|
1 |
3 |
23 |
|
23 |
역 사 |
19 |
1 |
20 |
2 |
|
2 |
4 |
24 |
|
24 |
소 계 |
152 |
8 |
160 |
11 |
|
7 |
18 |
178 |
|
178 |
제3대학 (자연 과학) |
수 학 |
24 |
1 |
25 |
2 |
|
|
2 |
27 |
|
27 |
물 리 |
19 |
1 |
20 |
2 |
|
|
2 |
22 |
|
22 |
화 학 |
19 |
1 |
20 |
2 |
|
|
2 |
22 |
|
22 |
생 물 |
19 |
1 |
20 |
1 |
|
|
1 |
21 |
|
21 |
지구과학 |
19 |
1 |
20 |
1 |
|
|
1 |
21 |
|
21 |
가 정 |
19 |
1 |
20 |
|
2 |
|
2 |
22 |
|
22 |
기 술 |
19 |
1 |
20 |
|
2 |
|
2 |
22 |
|
22 |
컴 퓨 터 |
19 |
1 |
20 |
|
2 |
|
2 |
22 |
|
22 |
환 경 |
19 |
1 |
20 |
|
|
|
|
20 |
|
20 |
소 계 |
176 |
9 |
185 |
8 |
6 |
|
14 |
199 |
|
199 |
제4대학 (예술 · 체육)
|
음 악 |
20 |
|
20 |
|
|
|
|
20 |
|
20 |
미 술 |
20 |
|
20 |
|
|
|
|
20 |
|
20 |
체 육 |
20 |
|
20 |
|
|
|
|
20 |
|
20 |
소 계 |
60 |
|
60 |
|
|
|
|
60 |
|
60 |
합 계 |
484 |
19 |
503 |
22 |
6 |
11 |
39 |
542 |
70 |
612 |
※ 농·어촌 학생 특별 전형 모집 인원 22명 중 지원자가 없는 학과 또는 미달 학과의 인원은 초등교육과(입학 정원의 10% 범위 내)에 포함하여 모집
※ 독립 유공자 손자녀 및 국가 유공자 자녀 특별 전형 모집 인원 중 미충원 인원은 일반 학생에 포함하여 모집
※ 재외국민 및 외국인 특별 전형 지원자 중 북한 이탈 주민/부모 모두 외국인인 외국인/외국에서 우리나라 초·중등 교육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전부 이수한 재외국민 및 외국인은 모집 인원에 관계없이 선발
※ 정시 모집 일반 학생에 한하여 모집 인원을 각 시도에 배정하여 선발
Ⅱ. 전형 유형별 모집 일정
구 분 |
정시 모집 “가”군 |
수시 모집 2학기 |
비 고 |
원서 접수 |
2007. 12. 20.(목)~ 12. 25.(화) 12:00 |
2007. 9. 7.(금)~ 9. 11.(화) 12:00 |
수능발표 2007.12.12(수) |
제1단계 합격자 발표 |
2008. 1. 4.(금) 17:00 |
2007. 10. 26.(금) 10:00 |
|
제2단계 전형 실시 |
적성 및 인성 검사 |
2008. 1. 8.(화) |
2007. 11. 17.(토) |
|
논술 |
2008. 1. 8.(화) |
2007. 11. 17.(토) |
|
필답(국어) 고사 |
2008. 1. 8.(화) |
|
|
면접 |
2008. 1. 9.(수) |
2007. 11. 17.(토) |
|
실기 고사 |
2008. 1. 10.(목) |
|
|
합격자 발표 |
2008. 2. 1.(금) 10:00 |
2007. 12. 14.(금)
10:00 |
|
최초 합격자 등록 기간 |
2008. 2. 4.(월)~2. 5.(화) |
2007. 12. 17.(월)~
12. 18.(화) |
|
추가 합격자 통보 마감일 |
2008. 2. 13.(수) |
|
|
추가 합격자 등록 마감일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일) |
2008. 2. 14.(목) |
|
|
※ 전형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며, 자세한 것은 추후 발표될 전형 유형별 모집 요강을 참조(모집 요강은 원서 접수 1개월 전에 발표함.)
Ⅲ. 전형 유형별 지원 자격
1. 정시 모집 일반 전형 및 수시 모집 학업 성적 우수자 전형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다만, 수시 모집의 경우에는 2003학년도('2004년 2월) 이전 졸업자, 검정고시 출신자,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 과정 위탁생, 공업계 2+1 체제 이수자, 교과 교육 소년원의 고등학교 과정 이수자는 지원할 수 없음.]
2. 특별 전형(정시 모집)
가.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서,
나. 전형 유형별로 별도의 자격을 갖춘 자.
1) 농·어촌 학생
농·어촌 소재 고등학교의 전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한 자(졸업 예정자 포함)로서 고등학교 입학 전일(3월 1일)부터 재학 전 기간 동안 본인 및 그의 부모(사망, 이혼 및 기타 본교에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부모는 제외) 모두가 농·어촌 지역에 거주한 자(다만, 과학고·외국어고·예술고·체육고 출신자는 지원할 수 없음.)
가) 부모, 학생의 자격 요건 (1) 고등학교 재학 당시 성년자인 학생이나 미성년자인 학생 중 혼인한 자의 경우에는 성년이 되기 직전 또는 혼인하기 직전의 부모를 기준으로 한다. (2) 부모 중의 일방이 사망, 실종된 경우에는 법률상의 사망일 또는 실종일 생존하는 부 또는 모만을 기준으로 한다. (3) 부모가 이혼한 경우 법률상의 이혼일 이후부터는 법률상의 친권이 있는 부 또는 모만을 기준으로 하되, 친권과 양육권이 서로 경합할 때는 자녀 교육권의 효력이 우선인 부 또는 모만을 기준으로 한다. (4) 입양한 양자일 경우 법률상의 입양일 이후부터는 친권이 있는 양부모만을 기준으로 하되, 친권과 양육권이 서로 경합할 때는 자녀 교육권이 우선인 부모만을 기준으로 한다. (5) 부모의 일방이 장기 여행, 중병, 심신 상실, 수감 등으로 사실상 친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와 금치산 선고, 한정 치산 선고를 받은 경우 및 친권 행사 금지 가처분, 친권 상실 선고 등으로 법률상 친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실상 친권이 있는 부 또는 모만을 기준으로 한다.
나) 농·어촌 지역의 적용 기준 (1) 2개 이상의 학교에 재학한 경우 해당 학교 모두가 읍, 면 소재 고등학교이어야 하되, 동일 읍, 면이 아니라도 가능하다. (2) 부모 및 학생의 거주지 또는 거주지와 학교 소재지가 동일한 읍, 면이 아니라도 가능하며 거주 기간은 읍, 면 소재 고등학교 재학 기간을 말한다. (3) 읍, 면의 적용은 고등학교 재학 당시의 행정 구역 단위를 기준으로 적용하며, 고등학교 재학 중 동으로 행정 구역이 개편된 경우 및 졸업 후 동으로 행정 구역이 개편된 경우에도 읍, 면으로 간주한다. (4) 농·어촌 지역이라 함은 행정 구역 상 "군" 지역과 광역시·도, 도·농 통합시의 행정 구역 안에 두는 읍·면 지역을 말한다.
2) 실업계 고교
모집 학과에서 지정하는 동일계 학과의 실업계 고교 졸업(예정)자
※ 실업계 고교 졸업(예정)자 특별 전형을 위한 동일계 학과 지정 내용(별표 참조)
3) 독립 유공자 손·자녀 및 국가 유공자 자녀
국가 보훈처에 교육 보호 대상자로 등록된 자로서 아래의 자격 요건을 갖추고 있는 자
가) 독립 유공자 : 「독립유공자예우에관한법률」제4조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순국 선열과 애국 지사의 자녀 및 손자녀(외손·자녀 포함)
나) 국가 유공자 : 「국가유공자등예우및지원에관한법률」 제4조 제1항 제3호 내지 제15호에 해당하는 자와 그의 자녀(전몰군경, 전상군경, 순직군경, 공상군경, 무공 수훈자, 보국 수훈자, 6·25참전 재일 학도 의용 군인, 4·19혁명 사망자, 4·19혁명 부상자, 4·19혁명 공로자, 순직 공무원, 공상 공무원, 국가 사회 발전 특별 공로 순직자, 국가 사회 발전 특별 공로 상이자, 국가 사회 발전 특별 공로자)
다) 고엽제 후유 의증 환자 : 「고엽제후유의증환자지원등에관한법률」 제7조 제9항에 해당하는 자 중 수당 지급 대상자 및 그의 자녀
라) 광주 민주 유공자 : 「5·18민주유공자예우에관한법률」 제4조 제1호 내지 제3호에 해당하는 자와 그의 자녀
마) 특수 임무 수행자 : 「특수임무수행자지원에관한법률」 제3조 제1호 내지 제3호에 해당하는 자 및 자녀(특수 임무 사망자, 행방 불명자, 특수 임무 부상자, 특수 임무 공로자)
4) 재외 국민과 외국인
가) 재외 국민
아래의 자격 기준을 갖춘 외국의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외국의 고등학교에서 4학기 이상을 이수한 자 (1) 교포 자녀 : 부모 및 학생 모두가 외국에서 2년 이상 영주(체류, 거류)하는 교포의 자녀 (2) 해외 근무 공무원 자녀 : 부 또는 모가 외국에서 2년 이상 근무하고 있거나 근무하고 귀국한 공무원 자녀(다만, 부 및 모 모두 해외 거주일 경우만 해당) (3) 해외 근무 상사 직원 자녀 : 부 또는 모가 외국에서 2년 이상 근무하고 있거나 근무하고 귀국한 상사 직원의 자녀(다만, 부 및 모 모두 해외 거주일 경우만 해당) (4) 외국 정부 또는 국제 기구 근무 자녀 : 부 또는 모가 외국 정부 또는 국제 기구에 2년 이상 근무하고 있거나 근무하고 귀국한 자의 자녀
나) 교육과정 이수 외국인 : 국내 또는 외국에서 고등학교 과정을 졸업(예정자 포함)한 외국인 학생으로서 외국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4학기 이상 이수한 자
다) 입학 정원 제한 없이 정원 외 모집 대상 (1) 북한 이탈 주민 (2) 부모 모두가 외국인인 외국인 학생 (3) 외국에서 우리나라 초·중등 교육에 상응하는 교육 과정을 전부 이수한 재외 국민 및 외국인
Ⅳ. 입시 반영 주요 내용
〔정시 모집〕
1. 단계별 전형 요소별 성적 반영 비율
가. 제1, 2, 3대학(교육, 인문·사회, 자연 과학 계열) 지원자
전형단계 |
선발 비율 (모집인원 대비) |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
합 계 |
학생부 성적 |
수능 성적 |
논술 |
면접 |
교직 및 전공 적성 검사 |
제1단계 |
250% |
|
100% (120점) |
|
|
|
100% (120점) |
제2단계 |
100% |
50% (200점) |
30% (120점) |
5% (20점) |
5% (20점) |
10% (40점) |
100% (400점) |
※ 1. 재외 국민과 외국인의 경우 제1단계를 생략하고 제2단계의 학생부와 수능 성적 대신 필답 고사(국어) 성적을 80%로 반영
2. 특별 전형은 제1단계에서 300%를 선발
3. 수능 성적은 가중치를 반영할 경우 수능 반영 총점(120점)을 초과할 수 있음.
나. 제4대학(예술·체육계열) 지원자
전형단계 |
선발 비율 (모집인원 대비) |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
합 계 |
학생부 성적 |
수능 성적 |
실기고사 |
면접 |
교직 및 전공 적성 검사 |
제1단계 |
300% |
|
100% (120점) |
|
|
|
100% (120점) |
제2단계 |
100% |
30% (120점) |
30% (120점) |
25% (100점) |
5% (20점) |
10% (40점) |
100% (400점) |
※ 수능 성적은 가중치를 반영할 경우 수능 반영 총점(120점)을 초과할 수 있음.
2. 학교생활기록부 성적 반영
가. 학교생활기록부가 있는 자
1) 대상자 : 2004학년도(2005년 2월)이후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2) 성적 반영 방법
가) 교과 성적 반영(90%) (1) 반영 과목 : 17과목(별표 1 참조)
ㅇ 학교 지정 과목 : 국민 공통 기본 교과 11과목(국어, 영어, 수학, 도덕, 사회, 국사, 과학, 기술·가정, 음악, 미술, 체육)
ㅇ 학과 지정 과목 : 학과에서 지정한 과목 중 성적이 좋은 6과목을 반영하며, 이수한 과목이 6과목 미만인 경우 이수한 과목만을 반영하되 최소 3과목 이상이어야 지원 가능 (2) 반영 방법
ㅇ 과목별 석차 등급에 의한 환산 점수 반영
ㅇ 동일 과목을 2개 학기 이상 이수한 경우 이수한 모든 학기 성적을 반영
ㅇ 학과 지정 과목은 평균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등급이 높은 과목, 동일 등급인 경우 이수 단위수가 큰 과목의 순서로 반영
ㅇ 지정 과목 중 이수한 과목만을 대상으로 이수 단위를 반영한 평균 점수를 반영(학교 지정 과목과 학과 지정 과목의 평균 점수를 별도 산출)
ㅇ 학교 지정 과목(국민 공통 기본 교과)과 학과 지정 과목의 반영 비율을 1:2로 함.
ㅇ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나) 비교과 성적(10%) : 출결 사항(5%) 및 봉사 활동 시간(5%)에 의한 환산 점수 반영
3) 성적 산출 방법
가) 반영 비율 및 점수
구 분 |
반영비율 (%) |
반영 점수 |
성적 산출 활용 지표 |
기본점수 |
실질 반영점수 |
계 |
교과 성적 |
90 |
60(36) |
120(72) |
180(108) |
성적 등급에 의한 환산 평균 |
비 교 과 |
출결 |
5 |
0 |
10(6) |
10(6) |
모든 학년의 결석 일수 |
봉사 |
5 |
0 |
10(6) |
10(6) |
모든 학년의 봉사 활동 시간 |
계 |
100 |
60(36) |
140(84) |
200(120) |
|
※ ( )안은 제4대학에 해당
나) 교과 성적 반영 점수 산출 방법 (1) 산출 공식
ㅇ 제1,2,3대학 : {학교 지정 과목의 (이수단위×등급환산점수)의 합/이수단위의 합} + {학과 지정 과목의 (이수단위×등급환산점수)의 합/이수단위의 합}×2
ㅇ 제4대학 : [{학교 지정 과목의 (이수단위×등급환산점수)의 합/이수단위의 합} + {학과 지정 과목의 (이수단위×등급환산점수)의 합/이수단위의 합}×2] ×108/180 (2) 교과 성적 등급별 환산 점수표
교과 성적 등급 (누적 분포) |
교과 성적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교과 성적 등급 (누적 분포) |
교과 성적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1(4%) |
60 |
- |
6(77%) |
45 |
5 |
2(11%) |
58 |
2 |
7(89%) |
40 |
5 |
3(23%) |
56 |
2 |
8(96%) |
30 |
10 |
4(40%) |
53 |
3 |
9(100%) |
20 |
10 |
5(60%) |
50 |
3 |
|
|
|
(3) 비교과 성적 반영 점수표
제1, 2, 3대학 |
제4대학 |
비 고 |
결석일수 |
반영 점수 |
봉사활동시간 |
반영 점수 |
결석일수 |
반영 점수 |
봉사활동시간 |
반영 점수 |
0~1일 |
10 |
60 이상 |
10 |
0~1일 |
6 |
60 이상 |
6 |
1. 고등학교 3년치를 합산하여 반영 2. 병가는 결석일수에서 제외 3. 봉사활동시간은 학교생활기록부의 봉사활동실적란에 기재된 것만 반영(소수점 이하 절사) |
2~3일 |
9 |
55~59 |
9 |
2~3일 |
5.5 |
55~59 |
5.5 |
4~5일 |
8 |
50~54 |
8 |
4~5일 |
5 |
50~54 |
5 |
6~7일 |
7 |
45~49 |
7 |
6~7일 |
4.5 |
45~49 |
4.5 |
8~9일 |
6 |
40~44 |
6 |
8~9일 |
4 |
40~44 |
4 |
10~11일 |
5 |
35~39 |
5 |
10~11일 |
3.5 |
35~39 |
3.5 |
12~13일 |
4 |
30~34 |
4 |
12~13일 |
3 |
30~34 |
3 |
14~15일 |
3 |
25~29 |
3 |
14~15일 |
2.5 |
25~29 |
2.5 |
16~17일 |
2 |
20~24 |
2 |
16~17일 |
2 |
20~24 |
2 |
18~19일 |
1 |
15~19 |
1 |
18~19일 |
1 |
15~19 |
1 |
20일 이상 |
0 |
14 이하 |
0 |
20일 이상 |
0 |
14 이하 |
0 |
나. 학교생활기록부가 없는 자
1) 대상자 : 2003학년도(2004년 2월) 이전 졸업자, 검정 고시 출신자,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 과정 위탁생, 공업계 2+1 체제 이수자, 교과 교육 소년원의 고등학교 과정 이수자, 외국의 고교 재학 중 국내 고교에 편입학(전학)하여 졸업한 자 등
2) 성적 반영 방법
ㅇ 비교 내신을 적용하며, 학과별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성적 반영 영역 및 과목의 각 등급에 의한 환산 점수 반영(제2외국어 제외)
ㅇ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 및 탐구 영역 내 과목에 대하여 이수 단위 개념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반영 점수를 산출
ㅇ 교과 및 비교과 성적을 구분하지 않고 내신 반영 총 점수를 직접 산출
ㅇ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3) 비교 내신 반영 점수 산출 방법 (1) 산출 공식
ㅇ 제1,2,3대학 : 수능 영역 및 과목별 (등급환산점수×가중치)의 합/가중치의 합 × 200/60
ㅇ 제4대학 : 수능 영역 및 과목별 (등급환산점수×가중치)의 합/가중치의 합 × 120/60 (2)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영역 및 과목별 비교 내신 가중치
영역 및 과목 |
언어 |
수리(가, 나형) |
외국어(영어) |
탐구 영역내 과목별 |
가중치 |
3 |
2 |
4 |
1 |
(3) 수능 등급별 비교 내신 성적 환산 점수표
교과 성적 등급 (누적 분포) |
교과 성적 등급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교과 성적 등급 (누적 분포) |
교과 성적 등급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1(4%) |
60 |
- |
6(77%) |
45 |
5 |
2(11%) |
58 |
2 |
7(89%) |
40 |
5 |
3(23%) |
56 |
2 |
8(96%) |
30 |
10 |
4(40%) |
53 |
3 |
9(100%) |
20 |
10 |
5(60%) |
50 |
4 |
|
|
|
3.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성적 반영
가. 반영 방법 : 영역 및 과목의 각 등급에 의한 환산 점수 반영
나. 반영 영역
1) 제1, 2, 3대학 전 학과 : 4개 영역 반영
{언어, 외국어(영어), 수리('가'/'나'형 중 택 1) + 사회 탐구/과학 탐구 중 택 1 (기술, 가정, 컴퓨터교육과의 경우 사회 탐구/과학 탐구/직업 탐구 중 택 1)}
가) 사회/과학/직업 탐구 영역 : 상위 성적 3과목 반영
나) 제2외국어 영역 : 미반영(다만, 독어·불어교육과는 희망자에 한하여 반영)
2) 제4대학 전 학과 : 3개 영역 반영
가) 음악·미술교육과 : 언어, 외국어(영어), 탐구 영역(사회/과학/직업 탐구 중 택 1) (1) 사회/과학/직업 탐구 영역 : 상위 성적 3과목 반영 (2) 제2외국어 영역 : 미반영
나) 체육교육과 : 외국어(영어) + 언어/수리 영역 중 택 1 + 탐구 영역(사회/과학/직업 탐구 중 택 1) (1) 사회/과학/직업 탐구 영역 : 상위 성적 3과목 반영 (2) 제2외국어 영역 : 미반영
다. 학과별 가중치 반영 : 반영표 참조(별표 2)
라. 반영 점수 산출 방법
1) 산출 공식
ㅇ 제1, 2, 3대학 : {언어+수리+외국어+(탐구영역 합계/3)}×120/160
ㅇ 음악, 미술교육과 : 언어+외국어+(탐구영역 합계/3)
ㅇ 체육교육과 : (언어, 수리 중 택일)+외국어+(탐구영역 합계/3)
※ 가중치가 있는 경우 해당 영역의 점수에 가중치만큼 가산함.{가중치를 반영할 경우 수능 반영 총점(120점)을 초과할 수 있음.}
2) 수능 성적 등급별 환산 점수표
등급 (누적 분포) |
등급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등급 (누적 분포) |
등급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1(4%) |
40 |
- |
6(77%) |
18 |
5 |
2(11%) |
37 |
3 |
7(89%) |
12 |
6 |
3(23%) |
33 |
4 |
8(96%) |
6 |
6 |
4(40%) |
28 |
5 |
9(100%) |
0 |
6 |
5(60%) |
23 |
5 |
|
|
|
4. 실기 고사 반영
음악, 미술, 체육교육과에 한하여 전공 영역에 대한 과제를 부여하고 실기 능력을 평가{실기 고사 과목 (별표 3 참조)}
5. 논술 고사 반영
통합 교과형으로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분석력과 적응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6. 교직 적성 및 전공 적성 검사 반영
가. 평가 항목 : 교수 능력, 생활 지도 능력, 특기/ 적성 지도력, 인성(특성), 전공 적성 및 능력
나. 평가 방법 : 진위형 평가 및 선다형 평가
다. 영역별 반영 비율 : 교직 적성 및 전공 적성 검사 각 5%
7. 면접 반영
가. 면접 방법 : 일반 면접으로 구술에 의한 평가
나. 면접 내용 : 논리적 사고 능력, 표현력 및 교사로서의 자질 등을 평가
다. 활용 자료 : 입학 원서, 면접 평가 도구, 구술 내용 등
8. 최저 학력 기준
가. 일반 전형 : 제한 없음.
나. 특별 전형 : 대학 수학 능력 시험 4개 영역 중 2개 영역의 등급이 농어촌 학생과 독립 유공자 손자녀 및 국가 유공자 자녀는 3등급, 실업계 출신자는 4등급 이내(탐구 영역은 상위 성적 3과목의 등급 합계가 9등급 이내인 경우 3등급 이내로, 12등급 이내인 경우 4등급 이내로 인정)
다. 재외 국민과 외국인 특별 전형 : 본교에서 시행하는 전형 총 점수의 70% 미만 점수를 취득할 경우 불합격자로 결정
9. 시도별 모집 인원 배정
일반 전형에 한하여 모집 인원을 각 시도에 배정하여 선발하며, 특별 전형은 시도별 배정을 하지 않음.
10. 합격자 사정
가. 사정 모형 : 단계별 사정과 총점 일괄 합산 사정 방법 적용
나. 선발 방법 : 입학 전형 종합 성적순에 의거 단계별로 선발하되, 일반 전형의 경우에는 다음의 기준에 의해 단계별 선발
1) 제1단계 선발
모집 인원의 250%(예술·체육 계열은 300%)를 선발하되, 시도별 지원자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성적 반영 점수 성적순에 의거 시도별 배정 인원 범위 내에 든 자는 모두 선발하고 나머지는 시도별 배정 인원에 관계없이 성적순으로 선발
2) 제2단계 선발
가) 제1차 선발 : 제1단계 합격자 중 시도별 지원자의 입학 전형 종합 성적순에 의거 배정 인원 범위 내에 든 자를 대상으로 모집 인원의 70%를 선발
나) 제2차 선발 : 제1차 합격자 이외의 모든 수험생을 대상으로 시도별 배정 인원에 관계없이 입학 전형 종합 성적순으로 나머지 모집 인원을 선발
다. 동점자 처리 기준
1) 제1단계 사정시 동점자는 전원 선발
2) 제2단계 사정시 동점자는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에 따라 선발
가)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성적 반영 점수가 상위인 자
나) 학교생활기록부 성적 반영 점수가 상위인 자
다) 논술 고사 성적이 상위인 자
라) 교직 적성 및 전공 적성 검사 성적이 상위인 자
[수시 모집 2] - 초등교육과 학업 성적 우수자 전형만 실시
1. 단계별 전형 요소별 성적 반영 비율
가. 단계별 전형 요소별 성적 반영 비율
전형 단계 |
선발 비율 (모집인원 대비) |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
합 계 |
학생부 성적 |
논술 |
면접 |
교직 및 전공 적성 검사 |
제1단계 |
300% |
100%(280점) |
|
|
|
100%(280점) |
제2단계 |
100% |
70%(280점) |
10%(40점) |
10%(40점) |
10%(40점) |
100%(400점) |
2. 학교생활기록부 성적 반영
가. 교과 성적 반영(90%)
1) 반영 과목 : 17과목
ㅇ 학교 지정 과목 : 국민 공통 기본 교과 11과목(국어, 영어, 수학, 도덕, 사회, 국사, 과학, 기술·가정, 음악, 미술, 체육)
ㅇ 학과 지정 과목 : 별표 1의 초등교육과 학과 지정 과목 중 성적이 좋은 6과목을 반영하며, 이수한 과목이 6과목 미만인 경우 이수한 과목만을 반영하되 최소 3과목 이상이어야 지원 가능
2) 반영 방법
ㅇ 과목별 석차 등급에 의한 환산 점수 반영
ㅇ 동일 과목을 2개 학기 이상 이수한 경우 이수한 모든 학기 성적을 반영
ㅇ 학과 지정 과목은 평균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등급이 높은 과목, 동일 등급인 경우 이수 단위수가 큰 과목의 순서로 반영
ㅇ 지정 과목 중 이수한 과목만을 대상으로 이수 단위를 반영한 평균 점수를 반영(학교 지정 과목과 학과 지정 과목의 평균 점수를 별도 산출)
ㅇ 학교 지정 과목(국민 공통 기본 교과)과 학과 지정 과목의 반영 비율을 1:2로 함.
ㅇ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나. 비교과 성적(10%) : 출결 사항(5%) 및 봉사 활동 시간(5%)에 의한 환산 점수 반영
ㅇ 졸업 예정자(재학생)는 3학년 1학기까지의 성적이 반영됨을 감안하여 봉사 활동 실적에 10시간을 가산하여 인정
다. 성적 산출 방법
1) 반영 비율 및 점수
구 분 |
반영 비율 (%) |
반영 점수 |
성적 산출 활용 지표 |
기본점수 |
실질 반영점수 |
계 |
교과 성적 |
90 |
132 |
120 |
252 |
성적 등급에 의한 환산 평균 |
비 교 과 |
출결 |
5 |
4 |
10 |
14 |
모든 학년의 결석 일수 |
봉사 |
5 |
4 |
10 |
14 |
모든 학년의 봉사 활동 시간 |
계 |
100 |
140 |
140 |
280 |
|
2) 교과 성적 반영 점수 산출 방법
가) 산출 공식 : {학교 지정 과목의 (이수단위×등급환산점수)의 합/이수단위의 합} + {학과 지정 과목의 (이수단위×등급환산점수)의 합/이수단위의 합}×2 + 72
나) 교과 성적 등급별 환산 점수표
등급 (누적 분포) |
교과 성적 등급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등급 (누적 분포) |
교과 성적 등급 환산 점수 |
등급간 점수차 |
1(4%) |
60 |
- |
6(77%) |
45 |
5 |
2(11%) |
58 |
2 |
7(89%) |
40 |
5 |
3(23%) |
56 |
2 |
8(96%) |
30 |
10 |
4(40%) |
53 |
3 |
9(100%) |
20 |
10 |
5(60%) |
50 |
4 |
|
|
|
3) 비교과 성적 반영 점수표
결석일수 |
반영점수 |
봉사활동시간 |
반영점수 |
비 고 |
0~1일 |
10 |
60 이상 |
10 |
1. 고등학교 3년치를 합산하여 반영 2. 병가는 결석일수에서 제외 3. 봉사활동시간은 학교생활기록부의 봉사 활동 실적란에 기재된 것만 반영(소수점 이하 절사) 4. 재학생의 경우 봉사 활동 실적에 10시간을 가산 |
2~3일 |
9 |
55~59 |
9 |
4~5일 |
8 |
50~54 |
8 |
6~7일 |
7 |
45~49 |
7 |
8~9일 |
6 |
40~44 |
6 |
10~11일 |
5 |
35~39 |
5 |
12~13일 |
4 |
30~34 |
4 |
14~15일 |
3 |
25~29 |
3 |
16~17일 |
2 |
20~24 |
2 |
18~19일 |
1 |
15~19 |
1 |
20일 이상 |
0 |
14 이하 |
0 |
3. 논술 고사 반영
통합 교과형으로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분석력과 적응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4.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반영
가. 평가 항목 : 교수 능력, 생활 지도 능력, 특기/ 적성 지도력, 인성(특성), 전공 적성 및 능력
나. 평가 방법 : 진위형 평가 및 선다형 평가
다. 영역별 반영 비율 : 교직 적성 및 전공 적성 검사 각 5%
5. 면접 반영
가. 면접 방법 : 일반 면접으로 구술에 의한 평가
나. 면접 내용 : 논리적 사고 능력, 표현력 및 교사로서의 자질 등을 평가
다. 활용 자료 : 입학 원서, 면접 평가 도구, 구술 내용
6. 합격자 사정
가. 사정 모형 : 단계별 사정과 총점 일괄 합산 사정 방법 적용하되, 제2단계에서는 최저 학력 기준을 충족한 자만을 대상으로 함.
나. 동점자 처리 기준
1) 제1단계 사정시 동점자는 전원 선발
2) 제2단계 사정시 동점자는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에 따라 선발
가) 학교 생활 기록부 성적 반영 점수가 상위인 자
나) 논술 고사 성적이 상위인 자
다) 면접 고사 성적이 상위인 자
라)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성적이 상위인 자
7. 최저 학력 기준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4개 영역 중 2개 영역의 등급이 각각 2등급 이내인 자
※ 탐구 영역은 상위 3개 과목의 등급 합계가 6 이내이어야 2등급 이내로 인정
<별표 1> 학교생활기록부 성적 반영 과목
대학 |
모집 단위 |
학교 지정 |
학과 지정 |
해당 과목 |
제1 대학 |
유아교육과 |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전과목 (11과목) 국어 영어 수학 도덕 사회 국사 과학 기술·가정 음악 미술 체육 |
국어, 사회과목군 중 6과목 |
국어생활, 한문, 화법, 독서, 문법, 문학, 작문, 한문고전,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
초등교육과 |
국어, 한문,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외국어과목군1 중 6과목 |
국어생활, 한문, 화법, 독서, 문법, 문학, 작문, 한문고전,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실용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이산수학, 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정보사회와 컴퓨터, 농업과학, 공업기술, 기업경영, 해양과학, 가정과학, 영어Ⅰ,영어Ⅱ,영어회화, 영어독해, 영어작문 |
제2 대학 |
국어교육과 |
국어, 한문과목군 중 6과목 |
국어생활, 화법, 독서, 문법, 문학, 작문, 한문, 한문고전 |
영어교육과 |
외국어과목군, 전문교과 중 6과목 |
영어Ⅰ, 영어Ⅱ, 영어회화, 영어독해, 영어작문, 영어독해Ⅰ, 영어독해Ⅱ,영어회화Ⅰ, 영어회화Ⅱ,영어작문Ⅰ, 영어작문Ⅱ, 영어청해, 영어문법, 영어권문화, 실무영어, 독일어Ⅰ, 독일어Ⅱ, 프랑스어Ⅰ, 프랑스어Ⅱ, 독일어작문Ⅰ, 독일어작문Ⅱ, 독일어회화Ⅰ, 독일어회화Ⅱ, 독일어작문Ⅰ, 독일어작문Ⅱ, 독일어청해, 독일어문법, 독일 문화, 실무독일어, 프랑스어독해Ⅰ, 프랑스어독해Ⅱ, 프랑스어회화Ⅰ, 프랑스어회화Ⅱ,프랑스어작문Ⅰ, 프랑스어작문Ⅱ, 프랑스어청해, 프랑스어문법, 프랑스문화, 실무프랑스어 |
독어교육과 |
외국어과목군, 전문교과 중 6과목 |
불어교육과 |
외국어과목군, 전문교과 중 6과목 |
윤리교육과 |
도덕, 사회과목군 중 6과목 |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전통윤리,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 · 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
일반사회교육과 |
사회과목군 중 6과목 |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
지리교육과 |
사회과목군 중 6과목 |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
역사교육과 |
사회과목군 중 6과목 |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
제3 대학 |
수학교육과 |
수학과목군 및 과학과목Ⅱ 중 6과목 |
실용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분과 적분,확률과 통계, 이산수학, 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
물리교육과 |
수학, 과학과목군, 전문교과 중 6과목 |
실용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분과 적분,확률과 통계, 이산수학, 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물리실험, 화학실험, 생물실험, 지구과학실험, 과학사, 전자과학, 컴퓨터과학Ⅰ, 컴퓨터과학Ⅱ, 고급수학, 고급물리, 고급화학, 고급생물, 고급지구과학, 환경과학, 현대과학과기술, 과학철학, |
화학교육과 |
생물교육과 |
지구과학교육과 |
가정교육과 |
기술·가정 과목군, 전문교과, 수학, 과학과목군 중 6과목 |
정보사회와 컴퓨터, 농업과학, 공업기술, 기업경영, 해양과학, 가정과학, 실용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이산수학,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물리Ⅱ, 화학Ⅱ,생물Ⅱ, 지구과학Ⅱ,컴퓨터일반,인간발달,정보기술기초,기초제도,공업입문,상업경제,회계원리 |
기술교육과 |
기술·가정, 과학과목군, 전문교과 중 6과목 |
정보사회와 컴퓨터, 농업과학, 공업기술, 기업경영, 해양과학, 가정과학, 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물리Ⅱ, 화학Ⅱ,생물Ⅱ, 지구과학Ⅱ,컴퓨터일반,인간발달,정보기술기초,기초제도,공업입문,상업경제,회계원리,해양일반, 수산해운정보처리, 수산일반, 해사일반 |
컴퓨터교육과 |
기술·가정과목군, 전문교과 중 6과목 |
정보사회와 컴퓨터, 농업과학, 공업기술, 기업경영, 해양과학, 가정과학,컴퓨터일반,인간발달,정보기술기초,기초제도,공업입문,상업경제, 회계원리, |
환경교육과 |
과학과목군, 사회과목군 중 6과목 |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 · 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물리Ⅱ, 화학Ⅱ,생물Ⅱ, 지구과학Ⅱ |
제4 대학 |
음악교육과 |
음악, 국어, 사회, 과학과목군 중 6과목(음악과목군 우선 반영) |
음악과생활, 음악이론, 음악실기, 국어생활, 한문, 화법, 독서, 문법, 문학, 작문, 한문고전,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
미술교육과 |
미술, 국어, 사회, 과학과목군 중 6과목(미술과목군 우선 반영) |
미술과 생활, 미술이론, 미술실기, 국어생활, 한문, 화법, 독서, 문법, 문학, 작문, 한문고전,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
체육교육과 |
체육, 사회, 과학과목군 중 6과목(체육과목군 우선 반영) |
체육과 건강, 체육이론, 체육실기, 인간사회와 환경,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생활과 과학, 물리Ⅰ, 화학Ⅰ, 생물Ⅰ, 지구과학Ⅰ,물리Ⅱ, 화학Ⅱ, 생물Ⅱ, 지구과학Ⅱ |
※ 1. 지정된 과목의 이수한 모든 학기 성적을 반영
2. 학과 지정 과목은 성적이 상위인 6과목을 반영함.(다만 음악, 미술, 체육교육과는 성적에 관계없이 해당 분야의 과목을 우선 반영)
3. 학과 지정 과목에서 이수한 과목이 6개 미만인 경우 이수한 과목만을 반영하되, 최소 3과목 이상이어야 지원 가능
4. 이수 단위를 반영한 평균 점수를 반영(반영 과목 수가 17개 미만인 경우에도 불이익 없음.)
5. 국민 공통 기본 교과 반영 시 대체 과목은 반영하지 않음.
6. 음악실기, 미술실기, 체육실기는 해당 분야에 관한 전문 교과의 과목을 뜻함.
<별표 2> 학과별 수학 능력 시험 성적 가중치 반영
학 과 |
수리 가형 |
외국어(영어) |
사회 탐구 영역 |
과학 탐구 영역 |
직업 탐구 영역 |
유아교육과 |
|
|
|
|
|
초등교육과 |
○ |
|
|
|
|
국어교육과 |
|
|
|
|
|
영어교육과 |
|
○ |
|
|
|
독어교육과 |
|
|
|
|
|
불어교육과 |
|
|
|
|
|
윤리교육과 |
|
|
윤리 |
|
|
일반사회교육과 |
|
|
법과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2과목에 한함) |
|
|
지리교육과 |
|
|
한국지리, 세계지리 |
|
|
역사교육과 |
|
|
국사, 세계사 |
|
|
수학교육과 |
○* |
|
|
|
|
물리교육과 |
○ |
|
|
물리Ⅰ, Ⅱ |
|
화학교육과 |
○ |
|
|
화학Ⅰ, Ⅱ |
|
생물교육과 |
○ |
|
|
생물Ⅰ, Ⅱ |
|
지구과학교육과 |
○ |
|
|
지구과학Ⅰ, Ⅱ |
|
가정교육과 |
○ |
|
|
|
|
기술교육과 |
○ |
|
|
물리Ⅱ |
|
컴퓨터교육과 |
○ |
|
|
물리Ⅰ, 화학Ⅰ |
컴퓨터일반 |
환경교육과 |
○ |
|
|
|
|
음악교육과 |
|
|
|
|
|
미술교육과 |
|
|
|
|
|
체육교육과 |
○ |
|
|
|
|
반영 비율 |
10% (수학교육과는 20%) |
20% |
선택 과목당 5% (윤리교육과는 10%) |
선택 과목당 5% |
5% |
<별표 3> 실기 고사 과목
음악 교육과
구분 |
영 역 별 |
과 제 명 |
비 고 |
필 수 과 제 · 4 과 제 · |
시 창 |
* 7도 음정 수준의 초견 시창 |
* 모든 응시자 해당 |
청 음 |
* 단선율의 청음 |
국악장단치기 |
* 기본 장단 치기 |
피 아 노 |
* 소나타 중 빠른 악장 1곡
* 스케일 : 전 장음계, 단음계(화성)의 4옥타브 |
* 피아노 선택자는 제외 |
가 창 |
* 우리 가곡 1곡(한국 작곡가의 작품) |
* 피아노 선택자 해당 |
선 택 과 제 1 과 제 |
국 악 |
가 야 금 |
* 영산회상 중 1곡
* 짧은 산조(약 10분 연주) |
* 시험 당일 반주자 동반 |
거 문 고 |
해 금 |
정 가 |
* 가곡 초수 대엽(우조나 계면조 중 1곡) |
판 소 리 |
* 판소리 중 진양조나 중모리를 포함한 한 대목 (10분 내외) |
서 양 악 |
성 악 |
* 콘코네 50번 중 25~50번까지 중에서 당일 추첨하는 것을 모음으로 연주
* 우리 가곡 1곡(한국 작곡가의 작품)
* 이·독·불 가곡, 오페라 또는 오라토리오의 아리아 중 1곡(이·독·불 가곡은 원어로, 오페라, 오라토리오의 아리아는 원어, 원조로 부를 것) |
* 시험 당일 반주자 동반 |
피 아 노 |
* 스케일 : 전 장음계, 단음계(화성)의 4 옥타브
* 지정곡 : 베토벤 소나타 중 빠른 템포의 한 악장
* 자유곡 : 작곡가와 악곡 형식이 지정곡과 다른 1곡 |
|
작 곡 |
* 전통 화성 전반에 걸친 화성 풀이
* 주어진 동기에 의한 피아노곡 쓰기 |
|
※ 모든 곡은 암보를 원칙으로 한다. |
미술 교육과
구 분 |
영역별 |
과제명 |
시간 |
화지 규격 |
비 고 |
공통 과제 |
석고 소묘 |
당일 부여 |
3 |
3절 |
실기에 필요한 모든 화구 지참 (다만, 이젤, 화판, 화지 제공) |
체육 교육과
구 분 |
종 목 |
비 고 |
기 초 체 력 |
ㅇ 10m 왕복 달리기 ㅇ 제자리 높이뛰기 ㅇ 턱걸이(남), 팔굽혀 매달리기(여) |
|
운 동 기 능 |
ㅇ 배구 브레디 테스트 ㅇ 매트 |
|
<별표 4>실업계 고교 졸업자 특별 전형을 위한 동일계 학과 지정 내용 (학과 신설, 명칭 변경 등에 따라 수정 보완할 계획임.)
본 교 학과명 |
실업계 고교 학과명 |
비고 |
가 정 교육과 |
가사계열유아교육과, 관광과, 관광조리과, 관광조리코디과, 국제관광과, 문화관광과정, 섬유패션디자인과, 실내디자인과, 유아과, 의상과, 의상디자인과, 의상예술과, 제과제빵과, 조리과, 조리과학과, 조리과학과정, 패션디자인과, 호텔조리과 |
|
기 술 교육과 |
기계 금속 계열 |
공업계열, 공조냉동과, 금속공업과, 금속과, 금속열처리과, 금속재료과, 금은세공과, 금형과, 금형디자인과. 금형설계과, 금형CAD/CAM과, 기계, 기계계열, 기계공작과, 기계과, 기계설계과, 기계설비과, 기계자동차계열, 기계조립과, 냉동공조과, 농(산)업기계과, 농기계과, 농업기계과, 농업기계정비과, 농업중장비과, 뉴-테크디자인과, 동력기계과, 로봇계열, 로봇응용기계과, 메카트로닉스과, 배관과, 배관용접과, 산업기계과, 산업기계기술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기계과, 산업응용설비과, 선박디자인과, 설비공업과, 섬유기계과, 생산자동화설비과, 수치제어기계과, 시스템자동화과, 식품공업과, 식품산업과, 자동제어과, 자동차·건설기계과, 자동차·전자계산기, 자동차과, 자동차금형과, 자동차기계과, 자동차메카트로닉스과, 자동차산업과, 자동차시스템과, 자동차전자과, 자동차정비과, 자동차중기과, 자동차학과, 자동화금형과, 자동화기계과, 자동화설비과, 자동화설비기계과, 자동화시스템과, 자원기계과, 재료기술과, 전산이용금형과, 전산이용기계과, 전산이용설계과, 정밀기계(과), 정밀기계가공과, 정밀기계과, 정밀기계조립과, 정밀화학공업과, 중기·자동차과, 중기자동차과, 중기과, 중장비과, 차량공업과, 첨단산업기계과, 특수기계과, 특수산업설비과, 퓨전테크기계과, 항공과, 항공기계과 |
|
전기 전자 통신 계열 |
광전자과, 광정보통신과, 디지털전기과, 디지털전기정보과, 디지털전자과, (디지털)정보전자과, 디지털정보통신과, 디지털통신과, 디지털항공전자과, 멀티미디어전자과, 반도체재료과, 산업전자과, 수산전산과, 시스템제어전기, 시스템제어전기과, 영상전자과, 응용전자과, 인터넷전자과, 전기, 기계측제어과, 전기과, 전기디지털정보과, 전기설비과, 전기설비제어과, 전기시스템제어과, 전기자동화과, 전기전자계열, 전기전자과, 전기전자정보계열, 전기전자정보과, 전기전자제어과, 전기정보과, 전기정보제어과, 전기제어과, 전기제어설비과, 전기제어시스템과, 전기철도시스템과, 전력설비과, 전력제어과, 전자계열, 전자과, 전자기계계열, 전자기계과, 전자응용과, 전자응용부, 전자전산과, 전자정보과, 전자정보통신과, 전자제어과, 전자컴퓨터과, 전자통신과, 정보전기과, 정보·전기과, 정보기술과, 정보시스템제어과, 정보전산과, 정보전자과, 정보통신응용과, 제어전기과, 통신과, 항공전자과, 항공정비과 |
|
본 교 학과명 |
실업계 고교 학과명 |
비고 |
기 술 교육과 |
건설계열 |
건설과, 건설기계과, 건설디자인, 건설설비기계과, 건설정보과, 건설정보시스템과, 건설중기과, 건설토목과, 건축과, 건축그래픽과, 건축디자인과, 건축설계과, 건축설비과, 건축인테리어, 공간건설시스템과, 디자인건축과, 디자인응용건축과, 실내건축과, 실내건축디자인, 실내건축디자인과, 전산건축디자인과, 전산건축설계과, 전산건축설비과, 전산응용건축과, 조선캐드과, 조선CAD과, 토목과, 토목설계과, 토목설계과(공업), 토목정보과, 토목정보과(공업), 토목환경과, CAD/CAM과 |
|
섬유화공계열 |
산업화공과, 생명정보화공과, 생명화학공업과, 섬유과, 섬유디자인과, 섬유설계과, 소재응용과, 시스템분석화공과, 시스템분석화학과, 식품·화학공업과, 신소재정보(과), 신소재화공과, 신소재화공학과, 신소재화학공업과, 요업디자인과, 응용화학과, 재료정보과, 정밀화학공업과, 향장화공과, 화공과, 화공정보처리과, 화학공업과, 화학공학과, 화학응용과, 환경공업과, 환경기술과, 환경시스템과, 환경화공계열, 환경화공과, 환경화학공업과 |
|
컴퓨터 응용, 기계계열 |
전산응용금형과, 전산응용기계계열, 전산응용기계과, 전산응용설계과, 전산이용기계과, 컴퓨터공업과, 컴퓨터과, 컴퓨터과학과, 컴퓨터금형디자인과, 컴퓨터기계과, 컴퓨터응용, 컴퓨터응용(과), 컴퓨터응용(기계)설계과, 컴퓨터응용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컴퓨터응용기계공작과, 컴퓨터응용자동화계열, 컴퓨터응용전기과, 컴퓨터응용전자과, 컴퓨터응용제어과, 컴퓨터응용통신과, 컴퓨터응용특수기계과, 컴퓨터응용화공과, 컴퓨터응용화학과, 컴퓨터전기과, 컴퓨터전자과, 컴퓨터전자전기과, 컴퓨터정보과, 컴퓨터정보전자과, 컴퓨터정보통신과, 컴퓨터제어과, 컴퓨터제어기계과, 컴퓨터제어전기과, 컴퓨터측정디자인과, 컴퓨터특수기계과, CAD |
|
컴퓨터 교육과 |
경영정보과, 경영정보처리과, 경영정보학과, 그래픽디자인, 그래픽디자인과, 그래픽산업디자인과, 네트워크디자인과, 네트워크시스템과, 디지털영상과, 디지털영상과정, 디지털전기과, 디지털전자과, 디지털정보과, 디지털정보전산과, 디지털정보처리, 디지털정보처리과, 디지털컨텐츠과, 디지털통신과, 멀티미디어과, 멀티미디어과정, 멀티미디어디자인과, 멀티미디어애니메이션과, 멀티미디어전자과, 멀티미디어정보과, 멀티미디어통신과, 멀티인터넷과, 멀티정보학과, 미디어정보과, 사무자동, 사무자동화과, 사무자동화학과, 사이버멀티미디어과, 사이버정보과, 사이버정보처리과, 사이버정보통신, 사이버정보통신과, 사이버정보통신학과, 소프트웨어과, 시각디자인과, 애내메이션과, 영상미디어과, 영상전자과, 영상전자과, 영상정보과, 영상정보통신과, 영상제작과, 웹디자인(과), 웹운영과, 웹정보기술과, 웹프로그래밍과, 인터넷경영정보과, 인터넷과, 인터넷과학과, 인터넷비즈니스과, 인터넷상거래, 인터넷정보과, 인터넷정보처리과, 인터넷정보통신, 인터넷정보통신과, 인터넷통신과, 전산정보과, 전자계산과, 전자계산기과, 전자상거래학과, 전자전산과, 전자정보과, 전자정보통신과, 정보기술과, 정보전산과, 정보처리과, 정보처리학과, 정보컴퓨터과, 정보통신, 정보통신과, 정보통신운용, 컴퓨터게임제작과, 컴퓨터공업과, 컴퓨터과, 컴퓨터과학과, 컴퓨터그래픽과, 컴퓨터그래픽디자인, 컴퓨터네트워크과, 컴퓨터디자인과, 컴퓨터미디어과, 컴퓨터실용음악과, 컴퓨터응용과, 컴퓨터정보과, 컴퓨터정보통신과, 통신과 |
|
<참고 사항> 반영 점수 산출 예시
1. 수능 반영 점수 산출 방법
영역·과목 |
언어 |
수리(가) |
외국어 |
과학탐구(상위 3과목 반영) |
물리Ⅰ |
물리Ⅱ |
화학Ⅰ |
생물Ⅰ |
등급 |
2 |
3 |
4 |
1 |
2 |
3 |
4 |
환산점수 |
37 |
33 |
28 |
40 |
37 |
33 |
28 |
ㅇ 반영 점수
- 가중치가 없는 경우
{37+33+28+(40+37+33)/3}×120/160=101.00 (120점 만점)
- 수리 가형에 10% 가중치가 있는 경우
{37+33+3.3+28+(40+37+33)/3}×120/160=103.47 (120점 만점)
2. 교과 성적 반영 점수 산출 방법
과목 |
학교 지정(국민 공통 기본 교과 11과목) |
계 |
국어 |
영어 |
수학 |
과학 |
기술가정 |
국사 |
도덕 |
사회 |
음악 |
미술 |
체육 |
학기별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
이수단위 |
4 |
4 |
4 |
4 |
4 |
4 |
3 |
3 |
3 |
3 |
2 |
2 |
1 |
1 |
3 |
3 |
1 |
1 |
1 |
1 |
2 |
2 |
56 |
등급 |
3 |
2 |
1 |
1 |
4 |
3 |
4 |
3 |
2 |
2 |
2 |
2 |
4 |
4 |
2 |
5 |
3 |
1 |
3 |
2 |
1 |
4 |
|
등급환산점수 |
56 |
58 |
60 |
60 |
53 |
56 |
53 |
56 |
58 |
58 |
58 |
58 |
53 |
53 |
58 |
50 |
56 |
60 |
56 |
58 |
60 |
53 |
|
환산점수계 |
224 |
232 |
240 |
240 |
212 |
224 |
159 |
168 |
174 |
174 |
116 |
116 |
53 |
53 |
174 |
150 |
56 |
60 |
56 |
58 |
120 |
106 |
3,165 |
과목 |
학과 지정 과목 중 성적이 우수한 6개 과목 |
계 |
심화1 |
심화2 |
심화3 |
심화4 |
심화4 |
심화6 |
학기별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1 |
2 |
|
이수단위 |
4 |
4 |
4 |
4 |
3 |
3 |
3 |
3 |
2 |
2 |
2 |
2 |
36 |
등급 |
2 |
1 |
1 |
1 |
3 |
2 |
5 |
3 |
6 |
2 |
3 |
1 |
|
등급환산점수 |
58 |
60 |
60 |
60 |
56 |
58 |
50 |
56 |
45 |
58 |
56 |
60 |
|
환산점수계 |
232 |
240 |
240 |
240 |
168 |
174 |
150 |
168 |
90 |
116 |
112 |
120 |
2,050 |
ㅇ 반영 점수 = 3,165/56 + (2,050/36)×2 = 170.41 (180점 만점)
3. 수능에 의한 비교 내신 점수 산출 방법
가. 제1, 2, 3대학
영역 |
언어 |
수리 |
외국어 |
탐구 |
계 |
A |
B |
C |
가중치 |
3 |
2 |
4 |
1 |
1 |
1 |
12 |
등급 |
2 |
1 |
3 |
2 |
3 |
4 |
|
등급환산점수 |
58 |
60 |
56 |
58 |
56 |
53 |
|
환산점수 계 |
174 |
120 |
224 |
58 |
56 |
53 |
685 |
ㅇ 반영 점수 = 685/12 × 200/60 = 190.28 (200점 만점)
나. 제4대학
1) 음악, 미술교육과, 체육교육과 언어 영역 반영자
영역 |
언어 |
외국어 |
탐구 |
계 |
A |
B |
C |
가중치 |
3 |
4 |
1 |
1 |
1 |
10 |
등급 |
2 |
3 |
2 |
3 |
4 |
|
등급환산점수 |
58 |
56 |
58 |
56 |
53 |
|
환산점수 계 |
174 |
224 |
58 |
56 |
53 |
565 |
ㅇ 반영 점수 = 565/10 × 120/60 = 113 (120점 만점)
2) 체육교육과 수리 영역 반영자
영역 |
수리 |
외국어 |
탐구 |
계 |
A과목 |
B과목 |
C과목 |
가중치 |
2 |
4 |
1 |
1 |
1 |
9 |
등급 |
1 |
3 |
2 |
3 |
4 |
|
등급환산점수 |
60 |
56 |
58 |
56 |
53 |
|
환산점수 계 |
120 |
224 |
58 |
56 |
53 |
511 |
ㅇ 반영 점수 = 511/9 × 120/60 = 113.56 (120점 만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