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빨간책’입니다. 이 책에는 성장기 청소년들의 ‘얼굴을 붉게 만드는’ 내용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부모님의 동의 없이 함부로 ‘군주론’을 읽지는 말기 바랍니다.
어떻게 보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사전(事典)’과 비슷합니다. 이 책은 군주(君主) 그러니까 오늘날의 대통령이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 군주가 갖추어야만 할 자질, 나아가 국가의 형태에 대해서 백과사전처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은 어떠한 동물인가에 대해서도 웬만한 사전 뺨칠 정도로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군주론’은 매우 특이한 ‘사전’임에 틀림없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군주가 나라를 이끄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까? 더 진지하게 생각하고 깊이 있는 결론을 내리는 데 도움을 드리기 위해서 몇 가지 보기를 준비했습니다. 꼼꼼하게 읽은 다음, 여러분의 생각을 정리해 보기 바랍니다.
○ 군주는 오직 전쟁, 전술, 군사 훈련에만 신경 쓰는 게 좋다 .
○ 군주는 존경의 대상이 되는 것보다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이 더 좋다.
○ 군주는 증오를 불러일으키는 일은 피해야 한다.
○ 군주는 능숙한 사기꾼이자 위선자여야 한다.
○ 군주는 인간의 본성뿐만 아니라 짐승의 본성도 지녀야 한다.
○ 군주는 가난으로 멸시받는 것을 피해야 하며, 탐욕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 군주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면 부도덕하게 행동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군주는 사람들을 자기편으로 만들든가,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죽여야 한다.
○ 군주는 잔혹한 행위는 단번에 하고, 은혜는 조금씩 베풀어야 한다.
지금 여러분에게 들려준 이야기는 모두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에서 주장한 내용입니다. 위 이야기 속에서 국가를 이끌 바람직한 군주(지도자)의 모습을 발견했습니까? 혹시 발견하지 못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럼 지금부터 ‘백과사전 군주론’에 수록되어 있는 또 다른 항목인 ‘인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인간에 관한 마키아벨리의 주장에 대해서도 여러분이 직접 판단해 보기 바랍니다. 단, 여러분이 기억해야 할 것은 마키아벨리가 말하는 ‘인간’이란 국가를 다스리는 군주를 제외한 모든 국민을 뜻한다는 사실입니다. 자, 그럼 마키아벨리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볼까요?
○ 인간이란 아주 부드럽게 대하거나, 아주 강하게 짓눌러야 한다.
○ 인간이란 자신이 두려워하거나 증오하는 사람에게는 해를 입히기 마련이다.
○ 인간은 힘들 것이 예상되는 싸움은 가급적 시작하지 않으려 한다.
○ 인간은 자신이 받은 혜택과 자신이 준 혜택에 의해서 친밀감이 강하게 형성된다.
○ 인간은 은혜를 모르며, 사기꾼에 위선자이며, 자기의 이익만 밝힌다.
○ 인간은 아버지의 죽음보다 자기 재산을 빼앗긴 것을 더욱 못 잊는다.
○ 인간은 너무 순진해서 순간적인 속임수에 쉽게 속는다.
○ 모든 인간, 특히 군주의 설명을 직접 들을 기회가 없는 인간은 결과에 주목한다.
○ 인간들은 ‘믿음’이 깊지 못한 존재이다.
마키아벨리의 이야기에서 ‘인간’의 참모습을 찾았습니까? 여러분은 인간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주장에 동의할 수 있습니까?
‘군주론’은 16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강력한 힘을 가졌던 귀족 가문 메디치가(家)에 바치기 위해 쓰여진 책입니다. 마키아벨리는 크고 작은 분쟁이 끊이지 않았던 이탈리아에 메디치가가 안정과 번영을 가져다 주길 바라면서 이 책을 바쳤습니다. 하지만, 메디치가에서는 마키아벨리가 정성스럽게 쓴 ‘군주론’을 읽어 보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도대체 왜 읽지 않았을까요?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 말고도 ‘군주론’에는 ‘사자와 여우’에 관한 이야기, 일찍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대신해 자신을 길러 준 외삼촌을 살해한 사람의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이 함부로 얘기해서는 안 되는 ‘교회 국가’에 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 모든 이야기의 결론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직접 읽어 보세요. 하지만 ‘빨간책’인 ‘군주론’을 펼치기 전에 반드시 부모님의 동의를 얻기 바랍니다.
황성규 학림 필로소피 논술전문 강사
출처 : 별먹는 빛
글쓴이 : 설경 원글보기
메모 :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작속 논술비법찾기]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0) | 2007.09.03 |
---|---|
[스크랩] "[理知논술/교과서로 논술 잡기]사회영역" (0) | 2007.09.03 |
[스크랩] [생각키우기] 7월 24일 (0) | 2007.09.03 |
[스크랩] "[理知논술]‘도전! 독서골든벨’ 전국 우승 문형범 군의 책읽기" (0) | 2007.09.03 |
[스크랩] "[理知논술/이슈&이슈]‘가짜 박사’ 파문" (0) | 2007.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