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뉴스

수능 아랍어 열풍,3만여명 최다

설경. 2008. 11. 17. 17:29

[서울신문]“아랍어 응시자는 늘고 있는데, 배울 곳은 없다?”

지난 13일 치러진 2009학년도 수능시험의 제2외국어 영역에서는 일본어를 제치고 아랍어 응시자가 3만여명으로 8개 과목 중 가장 많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아랍어를 선택한 응시자는 1만 3588명(15.2%)으로 전체에서 네번째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운영부 정수백 차장은 “아랍어를 선택하는 응시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고 올해는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른 관계자는 “대략 3만명 이상이 응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랍어를 선택하는 이유는 다른 제2외국어에 비해 문제가 쉽게 출제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입시전문 학원에서도 아랍어 응시자 증가 현상을 ‘점수 따기가 쉽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수능에 유리한 아랍어를 선택한 응시자는 갈수록 늘지만 현재 전국 고등학교 가운데 아랍어를 가르치는 학교는 단 한 곳도 없다. 엄연히 교육과정에 들어가 있고 수능에 출제되고 있지만 공교육을 통해 아랍어를 배울 방법이 없다는 얘기다. 이종화 명지대 아랍지역학과 교수는 “7차 교육과정의 요점은 수요자 중심 교육을 하자는 건데 이렇게 많은 수요가 있어도 가르치는 곳이 없다는 건 큰 문제”라면서 “아랍어 응시자 수가 많아지는 현상을 단순히 수능점수 때문에 벌어지는 기현상으로만 봐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대학 관계자는 “입시에 유리해서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은 게 사실이지만 두바이 발전이나 석유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아랍에 대한 관심이 확연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