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자료

[고등자연계] 서울대 실전 논술

설경. 2008. 12. 10. 14:48


[중앙일보] STEP1 오늘의 논술 들어가기

서울대 정시 논술은 내년 1월 12일 치러진다. 논술 문항은 크게 제시문과 논제 2개로 구성된다. 제시문은 문항에 선지식·개념·문항 풀이 근거를 제공한다. 서울대 논술은 얼핏 논제가 쉬워 보여도 질문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수험생들이 적다. 자연계에서 논제는 '논리적으로 증명해야 할 내용'이다. 논술 문항을 풀 때는 논제를 파악해 무엇에 답해야 하는지 분석해야 한다. 그렇다면 논제 파악은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사람의 의중을 이해하고 전달한 다음의 일화를 보자.

미군정 시절, 대표인 하지 장군이 대중 앞에서 연설을 하게 됐다. 장군은 청중들의 분위기가 어색해 농담을 꺼냈다. 한국군 장교의 번역에 청중이 큰 소리로 웃었고, 하지 장군은 편안한 마음으로 연설했다. 장군은 재미있는 농담이 아닌데도 시민들이 웃은 이유가 궁금해 한국군 장교에게 물었다. 그는 “장군님의 미국식 농담은 한국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워 청중들에게 '장군님께서 여러분이 웃어주시기를 바라니 크게 한 번 웃어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했다. 이에 장군은 “정말 뛰어난 통역”이라고 칭찬했다.

말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의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논술 문항에도 질문 의도가 있다. 그 의도는 마지막 서술 부분에 직접 제시되지만, 지시어나 의문형이 아닌 단순한 내용 설명 및 서술에도 숨어 있다.

그렇다면 논제 분석 과정은 어떻게 이뤄질까. 첫째, 명령어나 의문형으로 제시되는 지시어를 구분해 묻는 내용을 단문으로 구성해본다. 둘째, 논제의 설명 문장이 문제 풀이에 어떻게 이용되는지 판단한다. 셋째, 수식이나 그래프는 그 의미를 해석하고 활용한다. 수식·그림·그래프는 질문 의도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자료다.

자연계 논술 필진

김기권(경희고·지구과학) 김은주(덕수고·생물) 김흥규(광신고·수학) 이동흔(남강고·수학) 이효근(보인고·과학) 정형식(숭실고·물리)

STEP 2  논제 분석을 통해 논제 의도 파악하기

서울대 실전 논술 그림·수식에 담긴 출제 의도 파악이 '열쇠'

위의 분석 과정을 이용해 다음 논제의 의도를 파악해 보자.

<2008학년도 서울대 정시 논술>

▶논제 우리 몸속 대동맥의 총 단면적은 3㎠정도이고 대동맥에서의 혈류 속도는 30㎝/s 정도다. 모세혈관들의 총 단면적 합이 900㎠일 때 모세혈관 안에서의 혈류 속도를 구하고, 대동맥과 모세혈관 각각에서 보존되는 양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모세혈관에서 이 정도의 혈류 속도가 가지는 의미를 생물학적 관점에서 기술하시오.

▶ 논제 분석

(1) 질문의 지시어는 세 가지다.

① 모세혈관에서의 혈류 속도를 구한다.

② 대동맥과 모세혈관에서 보존되는 양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③ 모세혈관의 혈류 속도가 갖는 의미를 쓴다.

(2) 각 답안은 다음 조건을 활용해야 한다.

① 혈류속도를 구하려면 세 가지 조건을 이용한다(물 리적인 계산이 필요하다).

-대동맥의 총 단면적이 3㎠

-대동맥에서의 혈류 속도는 30㎝/s

-모세혈관들의 총 단면적 합이 900㎠

② 대동맥이나 모세혈관에서 보존되는 양은 혈류 속도를 구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즉 혈류 속도를 구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제시하라는 요구다.

③ 모세혈관의 혈류 속도가 갖는 의미를 쓸 때, 반드시 생물학적 관점을 언급해야 한다.

(3) 이 논제에서는 그래프가 제시되지 않았지만 제시문에 동맥과 모세혈관의 구조와 혈액의 순환 그림이 주어져 있다. 폐쇄혈관이라는 근거와 모세혈관이 간단한 구조로 돼 있어 물질의 확산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해준다. 서울대 논술채점 결과 발표를 보면 이를 활용한 수험생은 매우 적었다. 위 논제 분석을 통해 답안 구성은 적어도 지시어 3개에 대한 답안으로 문단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혈류 속도는 보존되는 양의 조건과 주어진 값에 의해 구해지고, 생물학적인 의미도 알 수 있다. 하나의 논제가 왜 이렇게 구성됐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논제 분석은 답안 개요 구성을 알려주므로 의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답을 구성하게 해준다.

STEP 3  실전 글쓰기

<2008학년도 서울대 정시문항 1번> 제시문 (다)의 일부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후 지난 200여 년 동안 사람들의 활동이 만들어낸 온실기체 때문에 대기에서 지구 표면으로 복사되는 단위면적당 에너지는 약 3W/㎡를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에서 약 1/3은 최근 10여 년간 배출된 온실기체에서 기인했고, 그 중 1/2은 화석연료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10여 년 동안 인간이 사용하는 화석연료에 의해 생산된 에너지는 인구 1인당 평균 3㎾로 추정된다. 이는 인간의 생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약 100W)의 약 30배에 달하는 수치다.

▶논제 지구의 인구는 60억 명이고, 지구 반경은 6000㎞라고 할 때 인간이 1인당 3㎾에 달하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 지난 10년간 배출한 온실기체로 인해 대기가 지구 표면에 추가적으로 복사하는 에너지를 인구 1인당으로 구해보시오(유효숫자 1자리). 그리고 이 값에 비추어 지구 온난화 속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하시오.

▶논제 분석

논제가 묻는 사항은 두 가지다.

(1) 대기가 지구표면에 추가적으로 복사하는 에너지를 인구 1인당으로 구한다.

(2) 이 값을 고려해 지구 온난화 속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논한다.

(1)의 답안 작성에 필요한 조건은

① 지구의 인구는 60억 명, 지구의 반경은 6000km 이다.

② 인간 1인당 3kW에 달하는 에너지를 얻기 위한 10년간 배출한 온실기체로 인한 에너지를 구한다.

③ 유효숫자 1자리로 구한다.

이상은 논제에서 제시된 조건이다. 아래는 제시문에서 주어진 조건이다.

④ 200여 년 동안 추가된 대기에서 지표면으로 복사된 단위면적당 에너지는 약 3W/㎡이고 이 중 약 1/3은 최근 10여 년간 배출된 온실기체에서 기인했다. 그중 1/2는 인간이 사용한 화석연료에 의한 것이다.

⑤ 화석연료에 의해 생산된 에너지는 인구 1인당 평균 3kW에 이른다(이 값은 총생산에너지가 아닌 인간에게 활용된 에너지다).

⑥ 인간의 생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약 100W 이다.

(2) 위에서 언급한 값을 고려한 방법을 제시해야 하므로 이에 필요한 값은

① 1인당 3kw의 에너지 사용 ② 화석연료로 생산되는 총 에너지, 이 두 값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구할 수 있다. 인간이 소모하는 에너지를 줄이는 방법과 온실기체 발생을 줄이는 화석연료의 대체연료를 언급해야 한다.

▶글의 개요 작성

위 조건으로부터 3W/㎡의 1/3이 최근 10년간 배출된 온실기체에서 기인했으며, 그중 1/2이 인간이 사용한 화석연료에 의한 것이므로 대기가 1인당 3kW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구 표면으로 복사되는 총 복사에너지는 지표면의 넓이를 고려하고, 이것을 인구수로 나누면 첫 번째 구해야 할 내용이 된다. 위 결과에서 얻는 값은 다음과 같다.

-인구 1인당 생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약 100W

-인구 1인당 화석연료에 의해 얻는 에너지=약 3kW

-인구 1인당 약 3kW를 얻기 위해 배출한 온실기체로 인한 지구 추가 복사 에너지=

지구 온난화 속도를 줄이려면 크게 ① 에너지 절약을 통해 인간이 얻는 에너지의 총량을 줄이거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 ② 화석연료 대신 다른 에너지를 통해 온실기체의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이를 고려해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는 것이 좋다.

▶예시 답안

제시문 (다)에서 3W/㎡의 이 최근 10년간 배출된 온실기체에서 기인했으면, 그중 이 인간이 사용한 화석연료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이로부터 인간이 지난 10년간 배출한 온실기체로 인해 대기가 지구 표면에 추가적으로 복사하는 에너지의 총량은 다음과 같다.

위 값으로부터 인구 1인당의 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해석하면 지난 10년간 인구 1인당 평균 3kW의 에너지를 얻기 위해 지구 표면에 추가적으로 40kW의 에너지를 복사하는 온실기체를 배출해 왔다는 것이다. 이는 에너지 효율면에서 3kW를 얻기 위해 낭비되는 에너지가 40kW임을 의미하므로 에너지 효율은

정도로 매우 작다.

위 값은 화석연료를 사용해 인간이 에너지를 얻을 때, 이 결과로 에너지의 약 13배에 해당하는 온실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지구 온난화와 관련지어 볼 때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최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인간의 생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100(W/명)이므로 굳이 3(kW/명)까지 생산할 필요도 없다.

위의 값으로부터 지구 온난화 속도를 줄이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이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다. 최소생명 유지를 위한 에너지가 100(W/명)이므로 굳이 3(kW/명)까지 생산하지 않고 이를 더 줄여야 한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 이용, 가까운 거리는 자전거 이용, 냉·난방을 유지할 때 외부 기온과의 온도차 줄이기, 전기 사용 절제 등의 방법이 있다.

둘째,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3(kW/명)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한 화석연료의 양은 40(kW/명)에 해당돼 매우 낮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관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에너지를 화석 연료가 아닌 다른 자원에서 얻는 것이다. 화석연료는 온실효과 기체를 발생시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이런 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대체에너지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