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프리미엄 최은혜 기자]
수능 성적표가 나왔다.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책을 찾는 전략이 필요할 때다. 지금까지 등급제 특성 등 올해 입시의 전반적인 방향을 살펴봤다면 이제는 세부 사항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 교차 지원 여부, 추가 합격 가능성, 경쟁률, 모집 군별 특성 등을 세밀하게 알아보자. 그후 지원 전형이 자신에게 정말 유리한 것인지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자.
■교차 지원 여부를 고려하라
교차 지원이 매년 느는 추세다. 자연계열 학생 중 수리 영역에서 더 좋은 등급을 얻기 위해 어려운 수리 가형 대신 나형을 보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일부 최상위권 대학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대학이 자연계에서도 수리 나 영역 점수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물론 수리 가형은 가산점을 얻을 수 있다. 총 99개 대학이 수리 가형에 가산점을 준다. 그러나 가산점을 얻는 것보다 높은 등급을 받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인문계·자연계 수험생 모두 두 계열 통합 상위 누적 백분위를 참고해 대학별 환산점수기준 가산점이 자연계 학생들에게 부여되었을 때의 유불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통합 백분위는 특히 자연계 학생들이 수리 가·나, 사탐·과탐 모두 인정하는 학과에 지원할 때 꼭 참고하는 것이 좋다. 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지원할 경우 수리 나·과탐 또는 수리 나·사탐을 본 수험생들에게 밀릴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작년 숙명여대 다 군 생활과학부의 경우 경쟁률이 43.8:1에 이르며 인문계 학생들이 대거 지원해, 합격선이 크게 오르고 순수 자연계 학생들은 합격하기 어려웠다.
■경쟁률을 끝까지 주목해야
소신지원이 아니라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의 경쟁률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지원하려는 대학과 모집단위의 지난 3년 간 경쟁률 양상을 꼼꼼히 분석해 본 뒤, 마지막까지 신중하게 결정을 내려야 한다.
2007학년도 이화여대 보건관리학과의 경우 경쟁률이 15:1로 치솟으며 결과적으로 약학과, 사범대 인기학과 다음으로 합격선이 올라갔다. 홍익대 기계시스템디자인 공학과 역시 가·나·다 군의 경쟁률이 급상승하며 높은 합격선을 보였다.
※ 일반적으로 경쟁률이 높은 대학 및 모집단위
① 수능반영영역이 적거나, 반영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모집단위
: ‘2+1’ 반영, 탐구영역 반영 과목수가 적은 경우, 언·외 중 택1 or 언수외탐 중 택3 등
② 전형방법이 단순하거나, 수능 외의 전형요소 반영이 미미한 모집단위
: 수능 100% 전형, 대학별고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학생부의 변별력이 낮은 경우
③ 당해년도 신설된 모집단위
④ 전년도에 지나치게 경쟁률이 낮았거나, 합격선이 내려간 모집단위
⑤ 자연계열 학과에 수리나+과탐, 수리나+사탐 선택자가 지원가능한 모집단위
전통적으로 인기가 있는 경영대·의과대·교육학과·관광 관련 학과 등은 올해에도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취업률이 높은 세무학과, 경원대의 바이오나노학과, 성균관대의 반도체시스템공학, 숭실대 IT대학,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학부,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등도 강세를 보일 것이다. 공무원에 대한 선호가 높아져 법경찰학부·경찰행정학부도 최근 인기를 끄는 학과다.
의치대의 경우 의치학전문대학원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최상위권 학생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의대 커트라인이나 경쟁률은 작년보다 더욱 상승할 것이다. 생명과학·화학·생물 관련 학과들은 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둔 학생들로 인해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로스쿨 도입도 법대 지원율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로스쿨이 도입되면 학생들 입장에선 반드시 법대에 진학할 필요가 없어진다. 게다가 대학이 로스쿨을 유치한다면 그 대학 법학부는 폐지된다. 법조계에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로스쿨 유치 가능성이 높은 대학으로 몰리고, 로스쿨 유치가 힘든 대학의 법대는 지원율이 현저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추가 합격 가능성도 중요 연세대·고려대·서강대·이화여대·성균관대·한양대·중앙대 등 서울 주요 사립대를 비롯한 상당수의 대학이 30~50%의 인원을 수능 우선 선발로 뽑는다. 그러나 이들 중 서울대 혹은 의치·한의대에 동시 합격한 이들이 대거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다. 2007학년도 고려대 법대 정시 모집 합격자 149명 중 111명이 1차 추가 합격자였다. 1차 추가 합격만으로 정원의 74%가 바뀐 것이다.
올해는 특히 등급제로 바뀌어 추가 합격 인원에 대해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자신이 지원하려는 대학 및 모집단위에서 매년 어느 정도의 인원이 다른 대학 및 모집단위로 빠져나갔는지를 세밀하게 검토해야 한다.
프리미엄 최은혜 기자 ehchoi@joongang.co.kr
사진=프리미엄 쵬여헌 기자 choi315@joongang.co.kr
도움말=청솔학원 / www.cheongsol.co.kr
거인의 어깨 / www.imekorea.co.kr
'대입 지원설명회'동영상 볼 수 있습니다.
7~9일 열린 중앙일보·중앙SUNDAY 주최 ‘2008년 대입지원전략설명회’ 주요 내용을 GS강남방송(gsgbi.co.kr)에서 녹화 방영합니다. 중앙일보 프리미엄 홈페이지(jjlife.com)에서도 동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방영 일정은 해당 홈페이지 참조.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journalist.asp
수능 성적표가 나왔다.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책을 찾는 전략이 필요할 때다. 지금까지 등급제 특성 등 올해 입시의 전반적인 방향을 살펴봤다면 이제는 세부 사항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 교차 지원 여부, 추가 합격 가능성, 경쟁률, 모집 군별 특성 등을 세밀하게 알아보자. 그후 지원 전형이 자신에게 정말 유리한 것인지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자.
■교차 지원 여부를 고려하라
교차 지원이 매년 느는 추세다. 자연계열 학생 중 수리 영역에서 더 좋은 등급을 얻기 위해 어려운 수리 가형 대신 나형을 보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일부 최상위권 대학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대학이 자연계에서도 수리 나 영역 점수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물론 수리 가형은 가산점을 얻을 수 있다. 총 99개 대학이 수리 가형에 가산점을 준다. 그러나 가산점을 얻는 것보다 높은 등급을 받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인문계·자연계 수험생 모두 두 계열 통합 상위 누적 백분위를 참고해 대학별 환산점수기준 가산점이 자연계 학생들에게 부여되었을 때의 유불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통합 백분위는 특히 자연계 학생들이 수리 가·나, 사탐·과탐 모두 인정하는 학과에 지원할 때 꼭 참고하는 것이 좋다. 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지원할 경우 수리 나·과탐 또는 수리 나·사탐을 본 수험생들에게 밀릴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작년 숙명여대 다 군 생활과학부의 경우 경쟁률이 43.8:1에 이르며 인문계 학생들이 대거 지원해, 합격선이 크게 오르고 순수 자연계 학생들은 합격하기 어려웠다.
■경쟁률을 끝까지 주목해야
소신지원이 아니라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의 경쟁률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지원하려는 대학과 모집단위의 지난 3년 간 경쟁률 양상을 꼼꼼히 분석해 본 뒤, 마지막까지 신중하게 결정을 내려야 한다.
2007학년도 이화여대 보건관리학과의 경우 경쟁률이 15:1로 치솟으며 결과적으로 약학과, 사범대 인기학과 다음으로 합격선이 올라갔다. 홍익대 기계시스템디자인 공학과 역시 가·나·다 군의 경쟁률이 급상승하며 높은 합격선을 보였다.
※ 일반적으로 경쟁률이 높은 대학 및 모집단위
① 수능반영영역이 적거나, 반영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모집단위
: ‘2+1’ 반영, 탐구영역 반영 과목수가 적은 경우, 언·외 중 택1 or 언수외탐 중 택3 등
② 전형방법이 단순하거나, 수능 외의 전형요소 반영이 미미한 모집단위
: 수능 100% 전형, 대학별고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학생부의 변별력이 낮은 경우
③ 당해년도 신설된 모집단위
④ 전년도에 지나치게 경쟁률이 낮았거나, 합격선이 내려간 모집단위
⑤ 자연계열 학과에 수리나+과탐, 수리나+사탐 선택자가 지원가능한 모집단위
전통적으로 인기가 있는 경영대·의과대·교육학과·관광 관련 학과 등은 올해에도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취업률이 높은 세무학과, 경원대의 바이오나노학과, 성균관대의 반도체시스템공학, 숭실대 IT대학,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학부,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등도 강세를 보일 것이다. 공무원에 대한 선호가 높아져 법경찰학부·경찰행정학부도 최근 인기를 끄는 학과다.
의치대의 경우 의치학전문대학원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최상위권 학생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의대 커트라인이나 경쟁률은 작년보다 더욱 상승할 것이다. 생명과학·화학·생물 관련 학과들은 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둔 학생들로 인해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로스쿨 도입도 법대 지원율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로스쿨이 도입되면 학생들 입장에선 반드시 법대에 진학할 필요가 없어진다. 게다가 대학이 로스쿨을 유치한다면 그 대학 법학부는 폐지된다. 법조계에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로스쿨 유치 가능성이 높은 대학으로 몰리고, 로스쿨 유치가 힘든 대학의 법대는 지원율이 현저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추가 합격 가능성도 중요 연세대·고려대·서강대·이화여대·성균관대·한양대·중앙대 등 서울 주요 사립대를 비롯한 상당수의 대학이 30~50%의 인원을 수능 우선 선발로 뽑는다. 그러나 이들 중 서울대 혹은 의치·한의대에 동시 합격한 이들이 대거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다. 2007학년도 고려대 법대 정시 모집 합격자 149명 중 111명이 1차 추가 합격자였다. 1차 추가 합격만으로 정원의 74%가 바뀐 것이다.
올해는 특히 등급제로 바뀌어 추가 합격 인원에 대해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자신이 지원하려는 대학 및 모집단위에서 매년 어느 정도의 인원이 다른 대학 및 모집단위로 빠져나갔는지를 세밀하게 검토해야 한다.
프리미엄 최은혜 기자 ehchoi@joongang.co.kr
사진=프리미엄 쵬여헌 기자 choi315@joongang.co.kr
도움말=청솔학원 / www.cheongsol.co.kr
거인의 어깨 / www.imekorea.co.kr
'대입 지원설명회'동영상 볼 수 있습니다.
7~9일 열린 중앙일보·중앙SUNDAY 주최 ‘2008년 대입지원전략설명회’ 주요 내용을 GS강남방송(gsgbi.co.kr)에서 녹화 방영합니다. 중앙일보 프리미엄 홈페이지(jjlife.com)에서도 동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방영 일정은 해당 홈페이지 참조.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journalist.asp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 정시모집]사범계열 정원 감소 ‘전형 방법’ 꼭 확인을 (0) | 2007.12.11 |
---|---|
[기고]중상위권 점수대는 한곳정도 소신있게 (0) | 2007.12.11 |
[2008 수능성적 발표] 각 과목별 등급 분포 분석 (0) | 2007.12.07 |
평균등급 1.3이면 고려ㆍ연세大 안정권 (0) | 2007.12.07 |
<표> 수능 등급별 주요대 지원 범위 (0) | 2007.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