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008학년도 정시 전형에서 면접 및 구술고사를 시행하는 대학은 인문계열이 서울대, 전남대, 전북대, 한국교원대와 서울교대 등 71개교, 자연계열은 서울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등 33개교에 이른다. 면접 및 구술고사는 수험생의 태도, 가치관, 인성 등을 평가하는 기본소양평가와 전공수학능력이나 적성을 알아보는 전공적성평가(심층면접)로 나뉜다.
수험생의 품성과 태도, 의사소통능력과 표현력, 전공 관련 지식, 문제해결능력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된다.
기본소양평가는 주로 계열 공통으로 출제되며 수험생의 가치관, 인생관이나 정보화, 남북문제, 환경문제, 시장경제 등 사회적 쟁점에 대한 견해를 주로 묻는다.
전공적성평가는 전공 교과와 관련된 기본 개념과 원리, 실생활 응용 사례가 출제되는데, 최근 변별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 방면의 출제 빈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계열별 출제 경향과 예상 문제를 정리해 본다. 》
○ 어문·인문계열
인문학의 위기와 극복 방안, 영상 매체 시대의 문학의 위치와 기능, 다문화 가정, 동·서양의 사상 비교, 역사의 이해나 역사가의 역할 등과 관련한 문제가 많고 신문 기사나 칼럼 등이 제시문으로 많이 활용된다. 영어 제시문을 읽고 요지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하는 문제도 출제되고 있다.
○ 사회계열
영어 지문과 시사 문제가 주요 제시문으로 등장한다. 시사 문제는 사회적 관심사를 교과적인 지식과 연계해 얼마나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된다. 최근에는 시사 이슈 외에 각종 사회과학 이론, 인문학 이론, 고전 등 다양한 제재가 주어지고 있으며, 논술고사 못지않은 독해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 경상·법학계열
경상계열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남북 간의 경제교류와 협력, 한국 사회의 반기업 정서, 비정규직 문제, 수도권 과밀화 문제, 경제성장과 환경오염 문제, 기업환경이나 기업윤리 등 시사 이슈에 관한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법학계열은 쟁점이 되고 있는 법안에 대한 견해, 법조인이 가져야 할 태도, 법의 정의나 법체제 등 법학 관련 기본지식을 묻는 경우가 많다.
○ 자연계열
수학 문제로는 주로 지수, 로그, 삼각함수, 미분과 적분, 벡터, 확률 등의 기본 개념이나 원리, 법칙에 대한 수식이나 계산형 문제가 나오거나 기본 개념을 특정한 상황에 응용하는 수리 탐구형 문항이 출제된다. 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과 지식의 이해와 응용력을 평가하는 문제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시사 이슈와 관련 있는 문제 등이 출제된다.
○ 의약계열
기본소양평가는 직업관과 인성에 대한 질문이 있고, 심층면접으로는 수학 및 과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파악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묻는 출제가 많다. 인간 배아 복제, 게놈프로젝트, 유전자 조작 기술, 비만과 다이어트, 성형 열풍 등의 문제가 출제되기도 한다.
○ 교육·사범계열
기본소양평가는 교사로서의 자질을 평가하기 위해 교육관, 가치관을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전공적성평가로는 교육과 관련한 시사적인 문제가 나오기도 한다. 교원평가제, 사립학교법 개정, 입시비리에 대한 처벌, 고교 평준화 등에 관련된 문제가 출제될 가능이 높다.
오종운 청솔학원 평가연구소장
《2008학년도 정시 전형에서 면접 및 구술고사를 시행하는 대학은 인문계열이 서울대, 전남대, 전북대, 한국교원대와 서울교대 등 71개교, 자연계열은 서울대,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 등 33개교에 이른다. 면접 및 구술고사는 수험생의 태도, 가치관, 인성 등을 평가하는 기본소양평가와 전공수학능력이나 적성을 알아보는 전공적성평가(심층면접)로 나뉜다.
수험생의 품성과 태도, 의사소통능력과 표현력, 전공 관련 지식, 문제해결능력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된다.
기본소양평가는 주로 계열 공통으로 출제되며 수험생의 가치관, 인생관이나 정보화, 남북문제, 환경문제, 시장경제 등 사회적 쟁점에 대한 견해를 주로 묻는다.
전공적성평가는 전공 교과와 관련된 기본 개념과 원리, 실생활 응용 사례가 출제되는데, 최근 변별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 방면의 출제 빈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계열별 출제 경향과 예상 문제를 정리해 본다. 》
○ 어문·인문계열
인문학의 위기와 극복 방안, 영상 매체 시대의 문학의 위치와 기능, 다문화 가정, 동·서양의 사상 비교, 역사의 이해나 역사가의 역할 등과 관련한 문제가 많고 신문 기사나 칼럼 등이 제시문으로 많이 활용된다. 영어 제시문을 읽고 요지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하는 문제도 출제되고 있다.
○ 사회계열
영어 지문과 시사 문제가 주요 제시문으로 등장한다. 시사 문제는 사회적 관심사를 교과적인 지식과 연계해 얼마나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출제된다. 최근에는 시사 이슈 외에 각종 사회과학 이론, 인문학 이론, 고전 등 다양한 제재가 주어지고 있으며, 논술고사 못지않은 독해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 경상·법학계열
경상계열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남북 간의 경제교류와 협력, 한국 사회의 반기업 정서, 비정규직 문제, 수도권 과밀화 문제, 경제성장과 환경오염 문제, 기업환경이나 기업윤리 등 시사 이슈에 관한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법학계열은 쟁점이 되고 있는 법안에 대한 견해, 법조인이 가져야 할 태도, 법의 정의나 법체제 등 법학 관련 기본지식을 묻는 경우가 많다.
○ 자연계열
수학 문제로는 주로 지수, 로그, 삼각함수, 미분과 적분, 벡터, 확률 등의 기본 개념이나 원리, 법칙에 대한 수식이나 계산형 문제가 나오거나 기본 개념을 특정한 상황에 응용하는 수리 탐구형 문항이 출제된다. 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과 지식의 이해와 응용력을 평가하는 문제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시사 이슈와 관련 있는 문제 등이 출제된다.
○ 의약계열
기본소양평가는 직업관과 인성에 대한 질문이 있고, 심층면접으로는 수학 및 과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파악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묻는 출제가 많다. 인간 배아 복제, 게놈프로젝트, 유전자 조작 기술, 비만과 다이어트, 성형 열풍 등의 문제가 출제되기도 한다.
○ 교육·사범계열
기본소양평가는 교사로서의 자질을 평가하기 위해 교육관, 가치관을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전공적성평가로는 교육과 관련한 시사적인 문제가 나오기도 한다. 교원평가제, 사립학교법 개정, 입시비리에 대한 처벌, 고교 평준화 등에 관련된 문제가 출제될 가능이 높다.
오종운 청솔학원 평가연구소장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가는 길]우리대학 이렇게 뽑아요/한국외대, 숙대,인하대 (0) | 2007.12.12 |
---|---|
[대학 가는 길]우리대학 이렇게 뽑아요/이화여대 外 (0) | 2007.12.12 |
고려대 재수생에게도 비교내신 적용 (0) | 2007.12.12 |
[2008 정시모집]사범계열 정원 감소 ‘전형 방법’ 꼭 확인을 (0) | 2007.12.11 |
[기고]중상위권 점수대는 한곳정도 소신있게 (0) | 2007.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