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학과정보

◆수시 2학기 합격이 보인다 / 대학별 고사 총정리 - 중앙대학교(자연계

설경. 2007. 9. 29. 00:13
◆수시 2학기 합격이 보인다 / 대학별 고사 총정리 - 중앙대학교(자연계)◆

▶정재원 연구원=중앙대는 수리ㆍ과학 영역 논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유형으로 논제를 출제한다고 밝혔어.

△제시문 (가)의 주장의 타당성과 문제점을 지적하시오. 혹은 제시문 (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제시문 (나)의 주장을 근거를 제시하면서 반박하시오. 혹은 가능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면서 논하시오. △두 제시문에 나타난 관점 중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하여,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시오. 혹은 두 제시문의 관련성을 설명하시오. △제시문 (다)를 참고하여 제시문 (라)의 자료에 나타난 변화의 특징을 해석하시오. △제시문 (마)를 읽고 실험과 통계에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시오.

이 논제의 유형들을 살펴보면 어떤 구체적인 지식의 유무를 측정하겠다는 것이 아니고, 주어진 현상과 원리를 논리적으로 해석ㆍ판단ㆍ예측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겠다는 의도임을 알 수 있어.

따라서 제시문을 정확히 분석하고, 제시문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아울러 중앙대에서 발표한 수리ㆍ과학 논술의 감점 요인을 분석해 보면 좀 감이 올 거야.

① 논리적 전개 없이 문제풀이식 답안을 제시하는 경우.

② 자신의 생각을 문장의 연결고리 없이 단순히 나열한 경우.

③ 문제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문제의 논점에서 벗어난 경우.

④ '구체적인 예'를 들라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생략한 경우

⑤ 본문의 내용을 인용부호 없이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

위의 감점 요인들 역시 모두 제시문의 정확한 분석과 올바른 활용과 관련되어 있어. 문제 해결 과정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기 때문에 학생의 답안 작성에 어느 정도의 방향성을 주기 위해 제시문을 통해 제한된 조건을 설정한다는 말이야.

그런데, 인문계는 수리 영역의 논술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학생들이 대부분이야. 언어ㆍ사회 영역의 논술에 대해서는 충분한 수준의 답안을 작성한 학생이 수리 영역의 논술 문항에는 손조차 대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 수리 영역 문항이 수능에 비해 결코 높은 수준의 지식과 사고력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하고, 자신감을 갖고 문제를 접하는 것이 좋아.

반면, 자연계의 경우 2차 모의 논술에 언어 논술 문항이 빠졌다고 해서 글쓰기에 대한 연습을 등한시해서는 안 돼. 수리 및 과학 영역의 논술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도 글쓰기 능력이 필수이기 때문이야.

[정리 = 이소아 기자]

--------------------------------[본문 3:3]-----------------------------------

[ⓒ 매일경제 & 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