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현대 철학자인 롤스는 공정한 케이크 분배를 위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 사람에게 케이크를 자르도록 한 후,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보다 먼저 케이크를 골라 갖도록 하고 케이크를 자른 사람에게는 제일 나중에 남는 한 쪽을 취하도록 한다면 그는 케이크를 균등하게 자를 것이다." 이런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자신의 조건이 유리하거나 불리함에 상관없이 기만적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분배와 관련해서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절차적 정의의 핵심이다. 절차적 정의는 왜 필요하고 그 한계는 무엇인가?》
[탐구 과제 1] 롤스는 사회적으로 가장 열악한 상태에 있는 최소 수혜자 집단(물질적으로 가장 간단한 계층)은 사회적 의사 결정 과정에서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롤스의 견해는 다수결 원리에 정면으로 위배되는데, 이러한 생각은 어떻게 정당활될 수 있는가?
☞ 민주주의적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다수결은 최후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 다수결이 만병통치약처럼 사용되면 소수의 의견이 배제를 당하게 마련이다. 다수라고 항상 옳은 것도 아니고 소수라고 항상 틀린것도 아니다. 그래서 민주주의적 의사결정에서는 결론보다도 거기에 도달하는 과정의 공정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정성 확보를 위해 토론과 공청회 등 많은 논의과정을 통해 자발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지만 실제의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생략되고 다수의 의견이 강요될 수 있기 때문에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장치도 필요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최소 수혜자의 거부권 행사다.
[탐구 과제 2] 롤스는 전통적인 사회계약론을 발전시켜 자신의 이론을 전개했다. 그는 어떤 사회계약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인가?
☞ 사회계약론에는 인간의 이기심과 전략적 합리성에 바탕을 둔 홉스의 전통과 도덕성에 바탕을 둔 루소와 칸트의 전통이라는 두 종류가 있다. 초기 롤스는 사회계약론의 이 두 가지 가능성을 혼동하여 칸트적인 사회계약론의 요소에 홉스적인 요소에서 기인하고 그 당시 경제학에서 통용되던 합리적 선택이론을 결합시킨다. 그러나 이 점 때문에 많은 비판에 직면한 후기 롤스는 철저하게 홉스적 사회계약론(전략적 합리성)보다는 루소나 칸트적 사회계약론(도덕성)의 전통을 따르게 된다.
[Tip]
'정의론'에서 롤스는 그 당시까지 영미 윤리학계를 지배하던 공리주의와 직관주의를 비판하고 사회계약이론을 통해 절차적 정의의 도덕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나는 이 대안적 개념('공정')이 전통적인 도덕 개념들 중에서 우리가 생각한 정의에 대한 신념에 가장 근접하며, 민주사회의 제도를 위한 가장 적합한 토대를 형성한다고 생각했다."
김성우 철학박사, 최강학원 고전논술 대표강사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대 철학자인 롤스는 공정한 케이크 분배를 위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 사람에게 케이크를 자르도록 한 후,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보다 먼저 케이크를 골라 갖도록 하고 케이크를 자른 사람에게는 제일 나중에 남는 한 쪽을 취하도록 한다면 그는 케이크를 균등하게 자를 것이다." 이런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자신의 조건이 유리하거나 불리함에 상관없이 기만적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분배와 관련해서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절차적 정의의 핵심이다. 절차적 정의는 왜 필요하고 그 한계는 무엇인가?》
[탐구 과제 1] 롤스는 사회적으로 가장 열악한 상태에 있는 최소 수혜자 집단(물질적으로 가장 간단한 계층)은 사회적 의사 결정 과정에서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롤스의 견해는 다수결 원리에 정면으로 위배되는데, 이러한 생각은 어떻게 정당활될 수 있는가?
☞ 민주주의적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다수결은 최후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 다수결이 만병통치약처럼 사용되면 소수의 의견이 배제를 당하게 마련이다. 다수라고 항상 옳은 것도 아니고 소수라고 항상 틀린것도 아니다. 그래서 민주주의적 의사결정에서는 결론보다도 거기에 도달하는 과정의 공정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정성 확보를 위해 토론과 공청회 등 많은 논의과정을 통해 자발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지만 실제의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생략되고 다수의 의견이 강요될 수 있기 때문에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장치도 필요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최소 수혜자의 거부권 행사다.
[탐구 과제 2] 롤스는 전통적인 사회계약론을 발전시켜 자신의 이론을 전개했다. 그는 어떤 사회계약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인가?
☞ 사회계약론에는 인간의 이기심과 전략적 합리성에 바탕을 둔 홉스의 전통과 도덕성에 바탕을 둔 루소와 칸트의 전통이라는 두 종류가 있다. 초기 롤스는 사회계약론의 이 두 가지 가능성을 혼동하여 칸트적인 사회계약론의 요소에 홉스적인 요소에서 기인하고 그 당시 경제학에서 통용되던 합리적 선택이론을 결합시킨다. 그러나 이 점 때문에 많은 비판에 직면한 후기 롤스는 철저하게 홉스적 사회계약론(전략적 합리성)보다는 루소나 칸트적 사회계약론(도덕성)의 전통을 따르게 된다.
[Tip]
'정의론'에서 롤스는 그 당시까지 영미 윤리학계를 지배하던 공리주의와 직관주의를 비판하고 사회계약이론을 통해 절차적 정의의 도덕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나는 이 대안적 개념('공정')이 전통적인 도덕 개념들 중에서 우리가 생각한 정의에 대한 신념에 가장 근접하며, 민주사회의 제도를 위한 가장 적합한 토대를 형성한다고 생각했다."
김성우 철학박사, 최강학원 고전논술 대표강사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생각의 보물창고]시체들의 새벽 (0) | 2008.03.24 |
---|---|
[통계로 세상읽기]선물,받을땐 즐겁지만… (0) | 2008.03.24 |
[理知논술/LEET의 A to Z]언어이해 영역별 학습 (0) | 2008.03.24 |
[논술의 길 찾기]홀로코스트 (0) | 2008.03.24 |
[날아오르는 창의사고력]확율 개념의 탄생지는 바로… (0) | 200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