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고사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지금부터 학습계획을 세워 새 학기 첫 시험에 좋은 성적을 받아보자.
수업시간에 열심히 하지 않았다면 시험공부 시간을 넉넉히 잡아 교과서를 2~3번 정도 훑어보아야 한다. 교과서를 볼 때는 꼭 요약 노트를 준비해서 중요 내용을 정리해두자. 요약 노트가 있으면 시험 전날이나 당일에 짧은 시간 동안 전체 내용을 한눈에 점검할 수 있고, 시험문제에 관련 내용이 나왔을 때 노트 속에 필기된 내용과 답을 떠올리기 쉽다. 각 과목별 학습 요령을 알아보자.
● 국어: 먼저 교과서 시험 범위를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는 것이 필요하다. 논설문이나 설명문은 주제 찾기 문제가 자주 나오므로, 교과서를 정독하면서 주장하는 바와 설명하는 바가 무엇인지 잘 유추해 요약하는 연습을 한다. 시나 소설, 고전문 등은 글의 주제, 소재, 시대적 배경, 어휘를 체계적으로 정리·암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 영어: 수업을 들으면서 주요 구문과 문법을 정리하고 모르는 어휘를 확실히 암기한다. 교과서 본문의 배경 설명과 기본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한다. 단원별 중요 문법들은 관련 문장과 함께 연결시켜 외운다. 듣기시험에 당황하지 않도록 듣기 훈련을 꾸준히 반복하는 것도 필요하다.
● 수학: 수학은 공식만 모두 암기해서는 좋은 점수를 얻기 힘들다. 먼저 각 단원의 주요 내용을 잘 정리하고 용어를 정확하게 이해해가며 공식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유도해보면서 원리를 이해한 후, 공식을 암기하는 것이 좋다. 수학 공부를 할 때에는 다소 쉬워 보이는 문제부터 차근차근 풀어본다. 문제풀이에 자신감이 붙고 응용력이 생길수록, 복잡하고 난이도 높은 문제에 도전해 보면서 실력을 다져가는 것이 좋다.
● 과학: 기본 개념 이해 이외에도 실험과 도표,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과목이다. 먼저 선생님께서 수업시간에 필기토록 한 내용과 교과서를 차근차근 정독한다. 교과서를 읽어나가면서 단원별 과학 원리를 확실히 이해하면서 참고서의 실험, 도표, 그래프 해석을 잘 살펴본다. 과학은 수업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 후 문제풀이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더 좋다.
● 사회: 역사적 사실은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도식화하여 시각적으로 정리하면 기억하기 쉽다. 국토와 지리 문제는 지도를 제시하는 형식이 많기 때문에 교과서 지도를 유념해서 볼 필요가 있다. 최종적으로 시험 범위 전체를 하나의 역사 이야기로 풀어가듯 남에게 설명할 수 있다면, '중간고사 준비 완료'라고 할 수 있다.
시험 전 이것만은 반드시
국어 : 교과서 본문의 내용을 여러 번 읽어보고 글의 주제 파악을 해놓자.
영어 : 단원별 중요 문법들은 관련 문장과 함께 연결시켜 외운다.
수학 : 교과서에 있는 연습문제는 100% 손으로 다시 풀어서 소화한다.
사회 : 무조건 외우려고 하기보다는 흐름을 먼저 파악해보자.
과학 : 교과서 그래프, 실험, 그림 등은 이해하고 정리해본다.
< 도움말 | 엠베스트, 1318클래스 >
〈 임지선기자 vision@kyunghyang.com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수업시간에 열심히 하지 않았다면 시험공부 시간을 넉넉히 잡아 교과서를 2~3번 정도 훑어보아야 한다. 교과서를 볼 때는 꼭 요약 노트를 준비해서 중요 내용을 정리해두자. 요약 노트가 있으면 시험 전날이나 당일에 짧은 시간 동안 전체 내용을 한눈에 점검할 수 있고, 시험문제에 관련 내용이 나왔을 때 노트 속에 필기된 내용과 답을 떠올리기 쉽다. 각 과목별 학습 요령을 알아보자.
↑ 노트 필기는 좋은 성적의 첫 번째 열쇠다. 중간고사 시험을 한 달 앞둔 시점의 수업시간이 가장 중요하다. 이 시기에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짚어준 부분을 잘 정리해두자. |경향신문 자료사진
● 영어: 수업을 들으면서 주요 구문과 문법을 정리하고 모르는 어휘를 확실히 암기한다. 교과서 본문의 배경 설명과 기본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한다. 단원별 중요 문법들은 관련 문장과 함께 연결시켜 외운다. 듣기시험에 당황하지 않도록 듣기 훈련을 꾸준히 반복하는 것도 필요하다.
● 수학: 수학은 공식만 모두 암기해서는 좋은 점수를 얻기 힘들다. 먼저 각 단원의 주요 내용을 잘 정리하고 용어를 정확하게 이해해가며 공식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유도해보면서 원리를 이해한 후, 공식을 암기하는 것이 좋다. 수학 공부를 할 때에는 다소 쉬워 보이는 문제부터 차근차근 풀어본다. 문제풀이에 자신감이 붙고 응용력이 생길수록, 복잡하고 난이도 높은 문제에 도전해 보면서 실력을 다져가는 것이 좋다.
● 과학: 기본 개념 이해 이외에도 실험과 도표,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과목이다. 먼저 선생님께서 수업시간에 필기토록 한 내용과 교과서를 차근차근 정독한다. 교과서를 읽어나가면서 단원별 과학 원리를 확실히 이해하면서 참고서의 실험, 도표, 그래프 해석을 잘 살펴본다. 과학은 수업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 후 문제풀이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더 좋다.
● 사회: 역사적 사실은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도식화하여 시각적으로 정리하면 기억하기 쉽다. 국토와 지리 문제는 지도를 제시하는 형식이 많기 때문에 교과서 지도를 유념해서 볼 필요가 있다. 최종적으로 시험 범위 전체를 하나의 역사 이야기로 풀어가듯 남에게 설명할 수 있다면, '중간고사 준비 완료'라고 할 수 있다.
시험 전 이것만은 반드시
국어 : 교과서 본문의 내용을 여러 번 읽어보고 글의 주제 파악을 해놓자.
영어 : 단원별 중요 문법들은 관련 문장과 함께 연결시켜 외운다.
수학 : 교과서에 있는 연습문제는 100% 손으로 다시 풀어서 소화한다.
사회 : 무조건 외우려고 하기보다는 흐름을 먼저 파악해보자.
과학 : 교과서 그래프, 실험, 그림 등은 이해하고 정리해본다.
< 도움말 | 엠베스트, 1318클래스 >
〈 임지선기자 vision@kyunghyang.com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룡의 진학 상담실/ 학부와 학과의 다른 점은 (0) | 2008.04.08 |
---|---|
이랑의 진로 Q & A / 호텔리어 근무 환경 어떤가요? (0) | 2008.04.08 |
어떤 ‘영어 경시대회’ 나가볼까 (0) | 2008.04.08 |
대학 편입학 전형 까다로워진다 (0) | 2008.04.05 |
교과부, 학생모집단위 완전자율화 1년 4학기제 가능 … 학·석사 통합과정 (0) | 200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