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의종이의 집에는 여섯 명의 식구가 있다. 여섯 명의 나이가 다음 과 같을 때, 각 식구의 나이를 구하여라.
[풀이 및 정답]
의종이의 나이를 x라 하면 조건 4에서 (누나의 나이)=x+2
조건 6에서 (어머니의 나이)=3(x+2)=3x+6
조건 3에서 (아버지의 나이)=3x+6+2=3x+8
조건 5에서 (할아버지의 나이)=80-x
조건 2에서 (할머니의 나이)=78-x
조건 1에서 x+(x+2)+(3x+8)+(80-x)+(78-x)=6x+174=240
6x=66 ∴x=11
따라서 가족 모두의 나이는 다음 표와 같다.
다음 시들을 읽고 감상을 말한 학생들의 이야기 가운데 이 시들이 공통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인간 삶의 보편적 원리'를 가장 잘 말한 사람은 누군지 고르시오.
① 지현: 사람이란 소극적으로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더 높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해.
② 동규: 맞아,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고 하잖아. 시련과 역경이란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고 문제는 얼마나 인내력을 가지고 도전하는가에 달려 있어.
③ 해성: 그러나 세상살이가 얼마나 험악한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아, 아무것도 모르면 뜻하지 않게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거든.
④ 윤우: 그런데 난 인간의 꿈과 이상은 막연한 동경과 반복적 노력만 가지고는 도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는 것과 그 슬픔에 대해 깨닫게 되었어.
⑤ 정미: 그러니까 험난한 세상에 섣부르게 뛰어들지 말고, 그것이 인간의 순수 의지로 이룰 수 있는 것인지를 잘 확인하고 주도면밀하게 분석하는 태도가 필요해.
[풀이 및 정답]
이 문제는 시를 읽고 나서, 시인이 문학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여러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추론해 내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이다.
우선 '인간 삶의 보편적 원리'라는 것은 현실적 삶을 살아감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흔히 만나게 되는 삶의 모습을 뜻한다.
(가) 시에서는 '나비'가 '바다'를 '청무우밭(이상적 삶의 세계)'으로 알고 날아들다가 날개가 절어서 '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오는' 모습을 통해 인간이 더 나은 세계를 찾다가 현실의 냉혹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좌절하는 모습을 읽을 수 있다. 또 (나) 시에서는 춘향이 '바다'와 '하늘'이라는 이상적 세계를 향해 그네를 타지만 '서(西)로 가는 달'처럼 끝내 도달할 수 없음을 자인하는 부분에서 이상향을 향한 인간의 노력이 현실적 한계를 넘어설 수 없다는 슬픔을 읽어낼 수 있다. 그리고 (다) 시에서 '깃발'은 깃대 끝에 매여 있기 때문에 결코 '푸른 해원'을 향해 떠날 수 없는 '애달픈 마음'으로 형상화된다. 이는 이상 세계를 늘 동경하지만 현실적 한계를 극복할 수 없는 인간의 숙명과 그 비애를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러한 입장에서 이야기한 '윤우'가 된다.
정답: 윤우
다음 각 글의 요지를 (보기)에서 골라 연결하시오.
(보 기) (1) Please respect other members and posters.
(2) Please do not make posts in all capital letters.
(3) Please post under onE user name only.
(4) Please don't post inappropriate content.
[풀이 및 정답]
인터넷 이용자들이 지켜야 할 네티켓의 일부이다. (A)는 어느 누가 보더라도 적절한 내용인가를 확인하라는 것이고, (B)는 생각과 의견이 다르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모욕감을 주지 말라는 것이고, (C)는 사용자 이름은 하나만 사용하라는 내용이다.
정답: (A) - (4), (B) - (1), (C) - (3)
※ 이지논술에서는 새로운 외국어고 입시 유형에 맞는 구술면접 문제를 게재합니다. 해설 강의는 서울시내 외국어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등 명문대에 진학한 대학생들이 맡습니다.
▶www.easynonsul.com에 동영상 강의
의종이의 집에는 여섯 명의 식구가 있다. 여섯 명의 나이가 다음 과 같을 때, 각 식구의 나이를 구하여라.
[풀이 및 정답]
의종이의 나이를 x라 하면 조건 4에서 (누나의 나이)=x+2
조건 6에서 (어머니의 나이)=3(x+2)=3x+6
조건 3에서 (아버지의 나이)=3x+6+2=3x+8
조건 5에서 (할아버지의 나이)=80-x
조건 2에서 (할머니의 나이)=78-x
조건 1에서 x+(x+2)+(3x+8)+(80-x)+(78-x)=6x+174=240
6x=66 ∴x=11
따라서 가족 모두의 나이는 다음 표와 같다.
다음 시들을 읽고 감상을 말한 학생들의 이야기 가운데 이 시들이 공통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인간 삶의 보편적 원리'를 가장 잘 말한 사람은 누군지 고르시오.
① 지현: 사람이란 소극적으로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더 높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해.
② 동규: 맞아,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고 하잖아. 시련과 역경이란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고 문제는 얼마나 인내력을 가지고 도전하는가에 달려 있어.
③ 해성: 그러나 세상살이가 얼마나 험악한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아, 아무것도 모르면 뜻하지 않게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거든.
④ 윤우: 그런데 난 인간의 꿈과 이상은 막연한 동경과 반복적 노력만 가지고는 도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는 것과 그 슬픔에 대해 깨닫게 되었어.
⑤ 정미: 그러니까 험난한 세상에 섣부르게 뛰어들지 말고, 그것이 인간의 순수 의지로 이룰 수 있는 것인지를 잘 확인하고 주도면밀하게 분석하는 태도가 필요해.
[풀이 및 정답]
이 문제는 시를 읽고 나서, 시인이 문학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여러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추론해 내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이다.
우선 '인간 삶의 보편적 원리'라는 것은 현실적 삶을 살아감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흔히 만나게 되는 삶의 모습을 뜻한다.
(가) 시에서는 '나비'가 '바다'를 '청무우밭(이상적 삶의 세계)'으로 알고 날아들다가 날개가 절어서 '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오는' 모습을 통해 인간이 더 나은 세계를 찾다가 현실의 냉혹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좌절하는 모습을 읽을 수 있다. 또 (나) 시에서는 춘향이 '바다'와 '하늘'이라는 이상적 세계를 향해 그네를 타지만 '서(西)로 가는 달'처럼 끝내 도달할 수 없음을 자인하는 부분에서 이상향을 향한 인간의 노력이 현실적 한계를 넘어설 수 없다는 슬픔을 읽어낼 수 있다. 그리고 (다) 시에서 '깃발'은 깃대 끝에 매여 있기 때문에 결코 '푸른 해원'을 향해 떠날 수 없는 '애달픈 마음'으로 형상화된다. 이는 이상 세계를 늘 동경하지만 현실적 한계를 극복할 수 없는 인간의 숙명과 그 비애를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러한 입장에서 이야기한 '윤우'가 된다.
정답: 윤우
다음 각 글의 요지를 (보기)에서 골라 연결하시오.
(보 기) (1) Please respect other members and posters.
(2) Please do not make posts in all capital letters.
(3) Please post under onE user name only.
(4) Please don't post inappropriate content.
[풀이 및 정답]
인터넷 이용자들이 지켜야 할 네티켓의 일부이다. (A)는 어느 누가 보더라도 적절한 내용인가를 확인하라는 것이고, (B)는 생각과 의견이 다르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모욕감을 주지 말라는 것이고, (C)는 사용자 이름은 하나만 사용하라는 내용이다.
정답: (A) - (4), (B) - (1), (C) - (3)
※ 이지논술에서는 새로운 외국어고 입시 유형에 맞는 구술면접 문제를 게재합니다. 해설 강의는 서울시내 외국어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등 명문대에 진학한 대학생들이 맡습니다.
▶www.easynonsul.com에 동영상 강의
'특목고,자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입시 멘토링 ⑥ 영어 점수로 민사고에 가고 싶은데… (0) | 2008.04.29 |
---|---|
과학고·영재학교 좁은문 어떻게 뚫을까…입시요강 및 학습대책 (0) | 2008.04.29 |
올림피아드 성공 준비법/②한국천문올림피아드(KAO) (0) | 2008.04.29 |
"한국 명문고(高)들, 미(美)명문대(大) 진학위해 혹독한 교육" (0) | 2008.04.29 |
정상JLS, 2009 특목고 입시 설명회 열어 (0) | 200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