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영어 교육의 광풍이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다. '몰입교육'이 논란이 되기도 했고 '영어 공용화'를 외치는 주장도 있었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우리말'을 지키자는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거세지는 영어광풍… 한국어 지키기 목청도 커지지만
순수한 우리말 있을까, 그 실체는?
생각의 시작
생물학자 최재천 교수는 외래종인 황소개구리, 블루길 등의 유입이 토종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처럼 영어가 우리말을 위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토종이 제자리를 지키면 외래종이 쉽사리 뿌리를 내릴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말을 바로 세우기 위한 노력이 선행될 때 우리말을 당당히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말'의 개념은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 걸까. 먼저 사전을 살펴보면 우리말은 '우리 겨레가 쓰는 고유의 말' 혹은 '우리나라 사람의 말'이라고 나와 있다. 이에 따르면 우리말에서의 '우리'가 지칭하는 대상은 단일민족인 한민족일 수도 있고 대한민국이라는 정치공동체 안에서 삶을 영유하는 사람들로 볼 수도 있다.
어떻게 보든 사전적 의미의 우리말 규정은 참 배타적이다. 우리 겨레가 아닌 많은 사람들의 언어는 우리말이 아닌 것이 되어버린다. 또한 '고유'가 아닌 많은 언어도 우리말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우리말은 범위가 고정되어 있고 변하지 않는 실체로 존재한다는 사고가 전제된 것이다. 그러나 언어가 고정 불변의 순수한 실체로 존재할 수 있을까?
뒤집어 보자
언어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해가는 생물체 같은 것이다. 이 세상에 태초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언어는 없다. '한국어' 또한 여러 이질적 요소들이 섞여서 구성되어온 감염된 언어였고, 지금도 감염되고 있다. 오히려 이러한 과정은 우리말과 우리의 삶을 좀 더 풍부하고 아름답게 해 줄 수 있다.
한번 더 뒤집어 보자
중요한 것은 관념 속의 '순수한 우리말'이 아니라 일상에서 소통되는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다. 이를 위해 한국어는 언제나 열려 있었고 또한 열려 있어야 한다. '순수한 한국어'를 지키려는 시도는 오히려 한국어 자체를 '수척(瘦瘠)'한 언어로 만드는 행위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김수영 청솔아우름 통합 논술 강사
《영어 교육의 광풍이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다. '몰입교육'이 논란이 되기도 했고 '영어 공용화'를 외치는 주장도 있었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우리말'을 지키자는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거세지는 영어광풍… 한국어 지키기 목청도 커지지만
순수한 우리말 있을까, 그 실체는?
생각의 시작
그렇다면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말'의 개념은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 걸까. 먼저 사전을 살펴보면 우리말은 '우리 겨레가 쓰는 고유의 말' 혹은 '우리나라 사람의 말'이라고 나와 있다. 이에 따르면 우리말에서의 '우리'가 지칭하는 대상은 단일민족인 한민족일 수도 있고 대한민국이라는 정치공동체 안에서 삶을 영유하는 사람들로 볼 수도 있다.
어떻게 보든 사전적 의미의 우리말 규정은 참 배타적이다. 우리 겨레가 아닌 많은 사람들의 언어는 우리말이 아닌 것이 되어버린다. 또한 '고유'가 아닌 많은 언어도 우리말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우리말은 범위가 고정되어 있고 변하지 않는 실체로 존재한다는 사고가 전제된 것이다. 그러나 언어가 고정 불변의 순수한 실체로 존재할 수 있을까?
뒤집어 보자
언어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해가는 생물체 같은 것이다. 이 세상에 태초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언어는 없다. '한국어' 또한 여러 이질적 요소들이 섞여서 구성되어온 감염된 언어였고, 지금도 감염되고 있다. 오히려 이러한 과정은 우리말과 우리의 삶을 좀 더 풍부하고 아름답게 해 줄 수 있다.
한번 더 뒤집어 보자
중요한 것은 관념 속의 '순수한 우리말'이 아니라 일상에서 소통되는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다. 이를 위해 한국어는 언제나 열려 있었고 또한 열려 있어야 한다. '순수한 한국어'를 지키려는 시도는 오히려 한국어 자체를 '수척(瘦瘠)'한 언어로 만드는 행위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김수영 청솔아우름 통합 논술 강사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논술 교과서 / (49) 소수집단과 주류의 갈등과 통합 (0) | 2008.05.26 |
---|---|
[영화, 생각의 보물창고]에반게리온:서(序) (0) | 2008.05.26 |
언어영역/고전소설 (0) | 2008.05.26 |
[고전여행]당신들의 천국 (0) | 2008.05.26 |
[역사에서 논술의 길 찾기]루스벨트의 뉴딜 정책 (0) | 200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