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을 재단으로 맞이한 중앙대가 28일 이사회를 열어 새로운 재단 이사진을 구성한다.
박용성 전 두산그룹 회장과 박용현 두산건설 회장 등 두산 측 인사 4명이 이사진에 새로 포함될 예정이다.
신임 이사장으로는 박용현 회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번 지배구조 개편을 기점으로 병원 증축 등 중앙대의 각종 투자사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두산그룹은 27일 박용성 전 회장과 박용현 회장이 새로 구성되는 중앙대 이사진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또 두산 계열사 전문 경영인 2명도 이사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중앙대 재단 이사회 멤버는 모두 12명.이 중 28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박범훈 총장,개방형 이사 3명,총동문회장 등 5명을 제외한 7명을 새로 뽑게 된다.
신임 이사 중 두산 측 인사 4명을 제외한 3명은 교육계 등의 저명 인사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신임 이사장으로 유력시되는 박 용현 회장은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대병원장을 역임했고 2005년부터 두산그룹의 장학재단인 연강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는 등 교육 관련 사업에 폭넓게 참여해 왔다.
박범훈 총장은 27일 "서울대병원장과 연강재단 이사장 등 교육사업 관련 경험이 풍부한 만큼 박용현 회장이 새 이사장으로 적합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많다"고 말했다.
새 이사진 구성을 계기로 병원 증축,연구개발센터 건설 등 중앙대에 대한 두산의 투자도 본격 개시될 것으로 두산과 중앙대는 예상하고 있다.
우선 560병상으로 규모가 다소 작은 중앙대병원(서울 흑석동)을 1000병상으로 늘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박 총장은 "병원 증축의 경우 협상과정에서 두산그룹이 먼저 제안을 해올 정도로 두산의 지원의지가 확고하다"고 말했다.
특히 박용현 회장이 서울대병원장 재직시절 조직 통폐합 등을 통해 서울대병원을 대대적으로 혁신했던 경험도 갖고 있는 만큼 병원 운영의 새로운 기틀이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공학부와 약학부 연구개발센터 건립,경기도 하남시 미군기지 공여지에 제3 캠퍼스 조성 등 재정 부족으로 난관에 부딪쳤던 중앙대 숙원사업들도 속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박 총장은 "두산그룹이 중앙대 인수 조건으로 병원증축과 연구개발센터 설립,하남 캠퍼스 조성 등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오진우 기자 docu@hankyung.com
ⓒ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용성 전 두산그룹 회장과 박용현 두산건설 회장 등 두산 측 인사 4명이 이사진에 새로 포함될 예정이다.
신임 이사장으로는 박용현 회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번 지배구조 개편을 기점으로 병원 증축 등 중앙대의 각종 투자사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두산그룹은 27일 박용성 전 회장과 박용현 회장이 새로 구성되는 중앙대 이사진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또 두산 계열사 전문 경영인 2명도 이사진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중앙대 재단 이사회 멤버는 모두 12명.이 중 28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박범훈 총장,개방형 이사 3명,총동문회장 등 5명을 제외한 7명을 새로 뽑게 된다.
신임 이사 중 두산 측 인사 4명을 제외한 3명은 교육계 등의 저명 인사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신임 이사장으로 유력시되는 박 용현 회장은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대병원장을 역임했고 2005년부터 두산그룹의 장학재단인 연강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는 등 교육 관련 사업에 폭넓게 참여해 왔다.
박범훈 총장은 27일 "서울대병원장과 연강재단 이사장 등 교육사업 관련 경험이 풍부한 만큼 박용현 회장이 새 이사장으로 적합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많다"고 말했다.
새 이사진 구성을 계기로 병원 증축,연구개발센터 건설 등 중앙대에 대한 두산의 투자도 본격 개시될 것으로 두산과 중앙대는 예상하고 있다.
우선 560병상으로 규모가 다소 작은 중앙대병원(서울 흑석동)을 1000병상으로 늘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박 총장은 "병원 증축의 경우 협상과정에서 두산그룹이 먼저 제안을 해올 정도로 두산의 지원의지가 확고하다"고 말했다.
특히 박용현 회장이 서울대병원장 재직시절 조직 통폐합 등을 통해 서울대병원을 대대적으로 혁신했던 경험도 갖고 있는 만큼 병원 운영의 새로운 기틀이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공학부와 약학부 연구개발센터 건립,경기도 하남시 미군기지 공여지에 제3 캠퍼스 조성 등 재정 부족으로 난관에 부딪쳤던 중앙대 숙원사업들도 속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박 총장은 "두산그룹이 중앙대 인수 조건으로 병원증축과 연구개발센터 설립,하남 캠퍼스 조성 등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오진우 기자 docu@hankyung.com
ⓒ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학교 학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ㆍ연대ㆍ성대 등 주요 메디컬스쿨‥신입생 선발 '정면 대결' (0) | 2008.05.28 |
---|---|
개교 10주년 ICU는 어떤 학교?…지난 10년 간의 발자취 (0) | 2008.05.28 |
대졸자 대기업 취업률1ㆍ2위는 간호학과, 의학과 상위 10개중 8개 공학계열 (0) | 2008.05.26 |
[로스쿨 이런 인재 뽑는다] "직장 그만두고 '올인' 한 응시자, 심층면접서 (0) | 2008.05.26 |
커버스토리 / 사관학교 전형(육군,공군,해군,국군간호) (0) | 200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