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뉴스

중3 하위권, 고1 첫 시험서 역전하는 법 "나쁜 습관 고쳐 '공부 역전' 했어

설경. 2008. 11. 10. 14:21

고병훈군 "누워서 책 읽던 습관부터 고쳐…공부 안 할 때도 책상에 앉는 습관 길러"
중3 하위권, 고1 첫 시험서 역전하는 법

■고병훈(16·서울 광남고1)군

고병훈군은 중3 1학기까지 전교 250등 근처를 맴돌았다. 시험을 치르면 전 과목 성적이 60점대였고, 수학은 60점도 채 넘지 못했다. 하지만 고1인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 전 과목에서 90점 이상을 받아 상위권 성적을 유지한다. 고군은 중3 2학기부터 집중적으로 공부해 역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교육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대입 레이스는 고1부터 시작된다"며 "하위권 학생들에게는 중3 2학기가 성적 역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고군이 가장 힘들었던 것은 '책상 앞에 앉아있기'. 먼저 고군은 공부를 하지 않을 때도 책상 앞에 앉아있는 습관을 들였다. 책도 누워서 읽던 습관을 버리고 반드시 책상에서 읽었다. 하루 공부 계획도 '1일: 1단원 개념이해, 2일: 1단원 연습문제, 3일: 1단원 심화학습'라는 식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잘못된 공부습관을 고치자 효과는 금세 나타났다. 중3 2학기 평균 성적이 무려 20점이나 올랐다. 고군을 바라보는 선생님들의 눈빛이 달라졌고, 평소 더 공부를 잘하던 친구들이 와서 수학 문제를 물어보는 일도 생겼다. 덕분에 자신감을 안고 고교에 진학할 수 있었다.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먼저 자신의 나쁜 습관을 찾아 고치는 것이 급선무다. TMD교육그룹 이정아 학습컨설턴트는 "시험기간만 되면 자꾸 만화책이 보고 싶다는 학생을 관찰해보니 하굣길 노선에 5곳의 만화방이 있었다"며 "하굣길 노선을 바꾸니 시험성적이 평균 7점 올랐다"고 전했다.

■신한호(16·부산 내성고1)

신한호군은 중3 때 전교 141등이던 성적을 전교 10위권으로 끌어올렸다. 신군 역시 중3 2학기 말에 잘못된 공부습관을 고쳐 역전을 이뤄냈다. 신군은 먼저 교과서를 보지 않고 시험을 보던 습관을 고쳤다. 특히 수학 교과서는 두 번 이상 반복해 풀어봤다. 또 많은 문제를 풀기보다 개념을 확실히 다지는 데 집중했다. 자투리 시간도 최대한 활용했다.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단어를 외우거나 문제를 풀다 보니 잠잘 시간이 충분해졌다. 그러자 수업시간에 졸던 버릇이 없어지고 머리가 맑아져 집중력도 높아졌다.

신한호군 "자투리 시간 활용…수면 시간 많아져 수업시간 졸던 버릇 없어지고 집중력 생겨"

공부법만 배운다고 해서 성적이 오르지는 않는다. 학생 스스로 공부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을 버려야 한다. 학생들에게 '공부'에 대한 생각을 말해보라고 하면 "짜증나요" "싫어요" "공부해서 뭐해요"라는 부정적인 의견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런 아이들의 마음을 자극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네가 진짜 하고 싶은 일이 뭐니?"라는 근본적인 물음부터 시작해 "20년, 30년 뒤 네가 되고 싶은 모습을 그려보자"라며 꿈을 되살려 준다.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하고, 대학은 어디를 가야 하는지 등을 아이와 함께 그려보며 공부의 필요성을 인식시켜 주도록 한다. 이정아 컨설턴트는 "공부법 강의를 10시간 한다면, 공부 이유를 찾아주는 데 9시간을 투자한다"며 "아이 스스로 학습 동기를 찾게 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 과목별 공부법

먼저 '국어는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과목'이라는 선입견을 버린다. 에듀플렉스 이병훈 컨설턴트는 "고교 진학 전, 문학과 비문학 등 글을 최대한 많이 읽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글을 유형별로 읽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국어교과서를 등한시하는데, 사실 교과서에 글 읽는 방법이 다 나와 있다. 예를 들어 논설문이라면 '주장'과 '근거'를 중심으로 글을 읽어야 한다. 교과서의 단원 길잡이, 학습목표 등을 꼼꼼히 살펴보면서 교과서 내의 지문을 글의 종류에 맞게 바른 방법으로 읽는 훈련을 해야 한다.

수학은 이른바 '빠진 벽돌 채우기' 단계를 거쳐야 한다. 현재 자신이 취약한 부분을 찾아 보강하라는 뜻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www.kice.re.kr)에 가면 '수학교육 체계표'를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찾아 보강해야 한다. 수학교육 체계표에는 1학년부터 10학년까지 배우는 과정목록이 나와 있고 기출문제에 들어가면 각 과정별로 문제를 풀어볼 수 있다. 교과서 단원별 예제풀이로도 빠진 벽돌을 찾을 수 있다. 세 권의 문제집을 풀기 보다 한 권을 세 번 반복해서 보도록 한다. 수학은 많은 문제를 푼다고 해서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 한 문제라도 제대로 풀어야 통찰력이 생기고, 이를 다른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우선 영어는 성적을 올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영어를 포함한 모든 언어는 최소 듣기는 3000시간, 말하기는 2000시간 이상 공부해야 실력을 갖출 수 있다.

고교 진학 전 문법을 한번 정리하자. 고등학교에서는 수능 공부 때문에 기초 영문법을 공부할 시간이 없다. 문법책 한 권을 여러 권 반복해 보면서 기초 영문법을 잡고 진학하는 것이 유리하다. 듣기는 꾸준히 듣는 것 외에 왕도가 없다. 따로 시간을 내어 공부한다고 생각지 말고 등굣길 등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 듣도록 한다. 단어는 4~5번 반복해서 외워야 장기 기억된다. 오늘 1~30번까지 외웠다면 내일은 1~45번까지 외우고, 모레는 1~60번까지 외우는 식으로 공부해야 한다.

[오선영 맛있는공부 기자 syo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