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서울 반포동과 개포동, 상암동에 영국의 4대 명문사학으로 꼽히는 '해로 스쿨' 등 명문학교의 설립이 추진된다. 국내에 살고 있는 외국인 자녀와 5년 이상 해외에 거주한 내국인 자녀가 다닐 수 있는 초·중·고교다.
17일 서울시의 '외국인학교 건립 계획'에 따르면 강남구 개포동의 일본인학교(유·초·중등학교 재학생 430명)를 2010년까지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로 옮기도록 부지(1만 3532㎡)를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개포동 일본인학교 부지에는 국제 수준의 영·미국계 우수 외국인학교를 유치해 2012년에 문을 열기로 했다. 일본인들은 상당수가 강북권의 동부이촌동에 살아 강남권 통학을 불편하게 여기고 있다.
서초구 반포동 1만 548㎡의 부지에는 해로 스쿨, 덜위치 칼리지 등 영국의 명문사학을 유치해 첨단시설과 커리큘럼을 갖추고 2010년에 문을 열기로 했다. 학교 측은 곧 실사단을 서울에 파견할 것으로 알려졌다. 상암 DMC 안의 9974㎡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우수 외국인학교를 유치해 2010년까지 새로 건립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외국인학교 설립 운영자로 WASC(미국 서부교육평가위원회) 등 국제공인기관의 학력 인준을 받은 국제적 수준의 우수 학교를 유치할 방침이다. 학교 건립 때 건축비는 설립 운영자가 조달하지만, 부지는 연간 부지가액의 100분의1 수준의 파격적인 조건에서 유상 임대하거나 매각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서울의 외국인학교는 21개교, 학생 수는 5822명이다. 하지만 OECD 국가의 외국인 중 5∼19세 취학 연령 인원은 6929명으로 공급이 부족한 상태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17일 서울시의 '외국인학교 건립 계획'에 따르면 강남구 개포동의 일본인학교(유·초·중등학교 재학생 430명)를 2010년까지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로 옮기도록 부지(1만 3532㎡)를 제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개포동 일본인학교 부지에는 국제 수준의 영·미국계 우수 외국인학교를 유치해 2012년에 문을 열기로 했다. 일본인들은 상당수가 강북권의 동부이촌동에 살아 강남권 통학을 불편하게 여기고 있다.
서초구 반포동 1만 548㎡의 부지에는 해로 스쿨, 덜위치 칼리지 등 영국의 명문사학을 유치해 첨단시설과 커리큘럼을 갖추고 2010년에 문을 열기로 했다. 학교 측은 곧 실사단을 서울에 파견할 것으로 알려졌다. 상암 DMC 안의 9974㎡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우수 외국인학교를 유치해 2010년까지 새로 건립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외국인학교 설립 운영자로 WASC(미국 서부교육평가위원회) 등 국제공인기관의 학력 인준을 받은 국제적 수준의 우수 학교를 유치할 방침이다. 학교 건립 때 건축비는 설립 운영자가 조달하지만, 부지는 연간 부지가액의 100분의1 수준의 파격적인 조건에서 유상 임대하거나 매각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서울의 외국인학교는 21개교, 학생 수는 5822명이다. 하지만 OECD 국가의 외국인 중 5∼19세 취학 연령 인원은 6929명으로 공급이 부족한 상태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들아, 여성에게 맞는 직업은 따로 없단다” (0) | 2008.04.21 |
---|---|
과학자 10명중 8명 “한국 떠나고 싶다”/서울대-KAIST 등 200명 설문 (0) | 2008.04.21 |
***** 교사 10년차, 명문고에서 느낀 우열반의 모순 (0) | 2008.04.17 |
[나의 대학 합격기] 경희대 한의예과 합격한 손명균 (0) | 2008.04.17 |
학교도 학원처럼 ‘서울대반’?… ‘학교·학생 양극화’ 우려 (0) | 2008.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