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다로워진 대학 편입학]
대학 편입학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형기준도 까다로워지고 있다. 대학마다 어학비중을 높이거나 수학시험을 추가하고 학적을 옮기기 이전 학부의 이수학점 기준도 높일 태세다. 이래저래 수험생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각 대학들의 편입학 전형안과 대비법을 알아본다.
■까다로운 편입학
대개 대학별 편입시험은 영어, 학부성적, 면접으로 선발한다. 여기다 영어와 수학, 영어와 국어를 함께 보거나 전공시험 또는 공인영어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대학도 있다. 예체능은 실기과목이 추가된다.
그러나 2009학년도 대학 편입부터는 새로운 전형방식이 도입된다. 고려대 세종캠퍼스는 면접을 폐지하고 영어비중을 높이기로 했다. 그동안 영어성적 30%, 학부성적 40%, 면접 30% 였지만, 내년부터는 영어성적 60%, 학부성적 40%로 조정할 계획이다.
서울시립대는 영어성적 기준인 토익점수가 인문계 550점, 자연계 500점 이상이였지만 인문계 700점, 자연계 650점 이상으로 높였다.
연세대는 일부 학과의 학부 이수학점 기준을 높일 계획이다. 지난해까지는 학적을 옮기기 이전 대학에서 63학점 이상만 따면 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문과대, 이과대, 생명시스템대, 신학대 등의 19개 학과는 모두 68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공과대와 음악대 등 16개 학과는 7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지원할 수 있다.
덕성여대 의상디자인학과는 편입시험과목을 영어 및 전적 대학 성적에서 영어 및 실기로 바꿨다.
수학 필기고사를 도입한 학교도 늘어났다. 올해는 건국대, 상명대, 성신여대, 서강대, 인하대, 한양대, 아주대, 홍익대, 연세대, 동국대, 숭실대,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13개 대학이 수학 또는 자연계열 일부학과 편입에서 수학을 평가했다. 내년에는 동국대가 정보통신공학, 게임멀티미디어공학과에 수학시험을 치른다. 세종대도 자연계열 학과에, 국민대도 수학과에 수학시험을 추가로 도입한다.
■어떻게 대비할까
편입을 결심했다면 어떻게 공부할지 방향을 명확히 잡는 것이 중요하다. 목표대학은 어떤 유형의 난이도로 출제하는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대학에서 영어를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영어를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4월부터 6월까지는 자신의 영어 실력을 진단하고 기초실력을 다지는 시기다. 영어 실력이 낮다고 낙심하지 말고 중·고교 어휘부터 외워야 한다. 이 시기에 영어 문법정리를 끝내야만 추후 독해에 전념할 수 있다.
7월과 8월은 그동안 새롭게 배운 문법과 단어를 반복 학습하는 시기다. 공부할 시간이 넉넉한 여름방학인 만큼 영어 기본실력을 완벽히 다져놓는다. 이공계 학과나 자연계열 편입을 계획한다면 목표하는 대학에서 수학전형을 실시하는지 살펴보고 수학공부를 시작해야 한다. 갑자기 수학전형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할 수도 있어 수시로 대학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9월부터 11월까지는 자신의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는 시기이다. 주 1회 이상 실전문제를 계속 풀어 자신이 어떤 유형에 약한지 파악하고 보충한다. 편입 시험문제의 난이도와 문제유형은 대학별로 차이가 있다. 희망하는 대학의 출제경향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학습전략을 세운다.
12월부터 1월까지는 공부를 마무리를 하는 시기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이 기간 동안 모집요강을 발표한다. 목표 대학의 모집요강을 꼼꼼히 살펴보고, 예상문제 및 모의고사 분석을 통해 나타난 자신의 약점을 보완한다. 실전에 대비해 시험 일정 대로 몸의 컨디션을 미리 조절해 주는 것이 좋다.
김영편입학원 한만경 대표는 "최근 대학들이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영어 비중을 높이고 있다"며 "영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고 목표대학의 입시전형에 따른 맞춤형 학습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재광 맛있는공부 기자 zest@chosun.com ]
[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대학 편입학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형기준도 까다로워지고 있다. 대학마다 어학비중을 높이거나 수학시험을 추가하고 학적을 옮기기 이전 학부의 이수학점 기준도 높일 태세다. 이래저래 수험생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각 대학들의 편입학 전형안과 대비법을 알아본다.
■까다로운 편입학
대개 대학별 편입시험은 영어, 학부성적, 면접으로 선발한다. 여기다 영어와 수학, 영어와 국어를 함께 보거나 전공시험 또는 공인영어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대학도 있다. 예체능은 실기과목이 추가된다.
서울시립대는 영어성적 기준인 토익점수가 인문계 550점, 자연계 500점 이상이였지만 인문계 700점, 자연계 650점 이상으로 높였다.
연세대는 일부 학과의 학부 이수학점 기준을 높일 계획이다. 지난해까지는 학적을 옮기기 이전 대학에서 63학점 이상만 따면 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문과대, 이과대, 생명시스템대, 신학대 등의 19개 학과는 모두 68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공과대와 음악대 등 16개 학과는 7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지원할 수 있다.
덕성여대 의상디자인학과는 편입시험과목을 영어 및 전적 대학 성적에서 영어 및 실기로 바꿨다.
수학 필기고사를 도입한 학교도 늘어났다. 올해는 건국대, 상명대, 성신여대, 서강대, 인하대, 한양대, 아주대, 홍익대, 연세대, 동국대, 숭실대,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13개 대학이 수학 또는 자연계열 일부학과 편입에서 수학을 평가했다. 내년에는 동국대가 정보통신공학, 게임멀티미디어공학과에 수학시험을 치른다. 세종대도 자연계열 학과에, 국민대도 수학과에 수학시험을 추가로 도입한다.
■어떻게 대비할까
편입을 결심했다면 어떻게 공부할지 방향을 명확히 잡는 것이 중요하다. 목표대학은 어떤 유형의 난이도로 출제하는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대학에서 영어를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영어를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4월부터 6월까지는 자신의 영어 실력을 진단하고 기초실력을 다지는 시기다. 영어 실력이 낮다고 낙심하지 말고 중·고교 어휘부터 외워야 한다. 이 시기에 영어 문법정리를 끝내야만 추후 독해에 전념할 수 있다.
7월과 8월은 그동안 새롭게 배운 문법과 단어를 반복 학습하는 시기다. 공부할 시간이 넉넉한 여름방학인 만큼 영어 기본실력을 완벽히 다져놓는다. 이공계 학과나 자연계열 편입을 계획한다면 목표하는 대학에서 수학전형을 실시하는지 살펴보고 수학공부를 시작해야 한다. 갑자기 수학전형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할 수도 있어 수시로 대학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9월부터 11월까지는 자신의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는 시기이다. 주 1회 이상 실전문제를 계속 풀어 자신이 어떤 유형에 약한지 파악하고 보충한다. 편입 시험문제의 난이도와 문제유형은 대학별로 차이가 있다. 희망하는 대학의 출제경향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학습전략을 세운다.
12월부터 1월까지는 공부를 마무리를 하는 시기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이 기간 동안 모집요강을 발표한다. 목표 대학의 모집요강을 꼼꼼히 살펴보고, 예상문제 및 모의고사 분석을 통해 나타난 자신의 약점을 보완한다. 실전에 대비해 시험 일정 대로 몸의 컨디션을 미리 조절해 주는 것이 좋다.
김영편입학원 한만경 대표는 "최근 대학들이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영어 비중을 높이고 있다"며 "영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고 목표대학의 입시전형에 따른 맞춤형 학습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재광 맛있는공부 기자 zest@chosun.com ]
[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상 상담] 취약부분 점검해 줄 오답노트/정리만 신경쓰다간 '무용지물' (0) | 2008.04.24 |
---|---|
[나의 대학 합격기]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합격한 권순모 (0) | 2008.04.24 |
'한국판 토익·토플' 영어능력평가 5월13일 예비시험 (0) | 2008.04.23 |
영어칼럼니스트 우보현씨의 ‘영어 잘하는 비법’ (0) | 2008.04.22 |
제2회 IEWC 국제영어글쓰기 대회 도전하세요 (0) | 200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