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답안> |
이번 논제에서는 교과 과정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실생활에서의 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고자 했다.
어렵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잘 살펴보면 교과 과정에서 배운 범위를 벗어나는 이론은 없음을 알 수 있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들을 암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론이 만들어진 배경을 정확히 이해하며 이론이 설명할 수 있는 실생활 속의 현상에 대해 탐구하는 노력을 계속한 학생이라면 크게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논제의 두 가지 물음에 대해 두 단락으로 나누어 적절하게 답하고 있는 무난한 답안이다. 하지만 예측되는 현상만을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했지만, 서술이 구체적이지 않아 논리 연결이 자연스럽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 또한 굳이 서술하지 않아도 되는 이론들을 설명하여 글의 집중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①, ②, ⑤는 정확하지 못한 표현을 사용하고 결과만이 제시돼 학생의 생각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다. 논술문은 학생이 왜 그러한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논리적으로 서술해 보여주는 글이므로 구체적으로 논리전개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꼭 기억하도록 하자. ③을 보면 이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논제는 현상을 예측하고 이를 설명하기를 요구하고 있지 어떠한 이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론적 내용을 길게 서술하는 것은 글의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①좀 더 명확하게 표현할 필요가 있다. 소금이 가열되기 위해서는 Na+ 이온과 Cl- 이온이 전자기파를 흡수해야 한다. 전자기파는 주기적으로 세기가 변화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한 쌍을 이루어 공간 속으로 전파된다. 전자기파는 횡파에 속하며 전기장과 자기장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전자기파도 진동하는 파동이므로 전기를 띠고 있는 Na+ 이온과 Cl- 이온을 가속시킬 수 있고 이때 소금이 가열될 것이다.
②소금이 고유한 진동수로 진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잘 제시하였다. 그런데 소금은 이온결합을 하고 전기적인 인력에 의해 붙잡혀 있어 자유롭지 못하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기파의 진동수가 소금의 고유 진동수와 다르면 공명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 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서술할 필요가 있다.
③고유 진동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하지만 이 논제에서는 고유 진동수에 대해 자세하게 논할 것을 요구하지 않았으므로 간략하게 적거나 생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겠다. 특히 '이러한~'의 부분은 불필요한 내용이므로 오히려 감점 요인이 된다.
④전자레인지에 소금을 넣고 작동시켜도 가열되기 어려운 이유를 잘 서술하였다. 하지만 '전자레인지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진동수'나 '소금을 구성하는 이온의 진동수'와 같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도록 하자.
⑤금속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작동시켰을 때 자유 전자들이 에너지를 흡수하게 됨을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자유 전자의 공명에 의한 것이 아니다. 자유 전자라고 해도 전자레인지에서 주어지는 전자기파의 진동수와 같은 고유 진동수를 갖지 않으므로 공명에 의한 에너지 흡수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하자.
자유 전자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운동을 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주어진 전기장의 진동수에 관계없이 그 진동수에 맞춰서 가속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 가지 더 주의할 점은 금속의 원자핵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이다. 원자핵 또한 금속을 이루는 요소이므로 이에 대해서도 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자핵은 고정된 위치에서 미세한 진동을 하고 있는데 이 고유 진동수가 전자기파의 진동수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공명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게 된다.
⑥전자레인지에 금속을 넣고 작동시키면 일어나게 되는 현상을 결론으로 잘 제시하였다.
<논제해설>
파동과 공명 현상을 테마로 하여 물리학과 화학의 전반전인 내용을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고 이를 응용해 실생활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예측하고 잘 설명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고자 했다. 논제는 두 가지를 묻고 있지만 이 둘은 같은 이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물음이다.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네 가지 과학과목 중 화학과 물리는 서로 연관이 깊은 학문이다. 물리학의 이론이 화학에 응용되고 화학이 다시 물리학에 응용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이다.
이 논제도 어느 한 가지 학문에 대한 이론만을 단편적으로 알고서 물음에 답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평소에 공부할 때 두 학문의 연관성을 정확하게 이해해 큰 틀에서 사고하고자 노력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첨삭지도 = 신규철 대성논술아카데미 연구원]
출처 : 별먹는 빛
글쓴이 : 설경 원글보기
메모 :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술술~논술] `가설→결론→법칙` 추론과정 익혀라 (0) | 2007.09.03 |
---|---|
[스크랩] [한석원의 수리논술] 서울대 정시모집 자연계 논술 (0) | 2007.09.03 |
[스크랩] [술술 논술] 유토피아와 이기적 인간 (0) | 2007.09.02 |
[스크랩] [술술~논술] 표현의 정확성을 키우자(下) (0) | 2007.09.02 |
[스크랩] 신문 만들며 생각 키우며 ‘논술 기본기’ 가꿔보자 (0) | 2007.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