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논제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아이들은 아주 어릴 때부터 브랜드를 의식하기 시작한다. 어떤 아이는 리복(Reebok) 브랜드로 온몸을 휘감은 한 또래가 지나가자 “아디다스(Adidas)가 더 괜찮은데…”라고 중얼거렸고 그보다 더 어린 꼬마 아이는 패러마운트(Paramount) 티셔츠 차림의 친구를 발견하고는 “블루스 클루스(Blue’s Clues)다!”라고 소리쳤다. 산 위에 하얀 눈이 덮여 있는 모양의 패러마운트 브랜드가 ‘블루스 클루스’라는 어린이용 TV 프로그램에 방영되기 때문에 눈에 익숙해진 브랜드를 금세 알아본 것이다. 수학여행을 가는 초등학교 3학년 정도 나이가 되면 맥주병 색깔만 봐도 그 이름을 정확하게 안다.(버드와이저는 갈색, 하이네켄은 녹색 병이다.)
오늘날 10대는 요람에서부터 강력한 마케팅의 힘에 계속 노출돼 왔기 때문에 그로 인한 부작용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사회에서는 물론 학교 교실에서도 속물적인 욕망에서 기인한 계급의식에 지배 받고 있으며, 또 그 경향이 날로 악화되고 있는 추세다. ‘예쁘고 매력적’이라는 말의 기준도 변했다. 지금의 아이들은 친구들이 입은 브랜드나 그 가정이 얼마나 부유한지에 따라 사람을 판단한다.
자메이카 출신 빈곤층 여자아이든, 부촌에서 왕족처럼 사는 도회지 여자아이든, 한결같이 공감하고 있는 사실이 있다. 사립학교이든 공립학교이든 또는 시골이든 도시 중심가든 상관없이 초라한 옷차림을 하고 있으면 또래 그룹에서 소외 당한다는 것이다.
“어떤 옷을 입어야 하는지 저절로 알게 돼요. TV에서 보거든요.” 브루클린 출신의 레나타라는 열세 살짜리 아이가 입을 열었다. “리바이스(Revi’s)나 푸부(Fubu) 광고는 버스에서도 자주 봐요. 친구들 사이에서 왕따 당하지 않으려면 그런 옷을 입어줘야 돼요.” 레니타의 친구인 리니가 맞장구를 친다. 그 아이는 부유층이 밀집한 웨스트체스터 카운티 출신이다. “맞아요, 좀 엉터리 같지만 학교에서는 어떤 옷을 입느냐가 중요하거든요. 말하자면 옷 상표가 우리의 지위를 정해주는 셈이죠.”
-엘리사 쿼트 ‘나이키는 왜 짝퉁을 낳았을까’
(나) 브랜드 패러디
문제1. 제시문(가)는 미국의 청소년 세태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는 글이다. 이와 유사한 풍조가 한국사회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이유를 제시하고 이러한 청소년 문화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자유롭게 논술하시오.(±600자)
문제2. 제시문(가)를 참조해 제시문(나)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패러디 광고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해서 논술하시오.(±400자)
6월 21일자‘힙합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는’에 대한 학생 글
(1)제시문 (가)와 (나)에서 보여 지는 현상의 공통점은 바로 그것들이 비주류 계층으로부터 파생되었다는 점이다. 힙합은 당시 미국의 백인중심사회에서 소외 당했던 흑인들의 생활방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흑인들은 철저한 백인중심의 사회에서 인정 받지 못하였고, 결국엔 그들로부터 갈라져 나와 자신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 낸 것이다. 샤넬의 푸어룩(Poor Look) 역시 그 당시 여성 패션스타일의 주요 흐름인 화려함에 가려져 있던 단순성과 실용성을 찾아내 응용함으로써 새로운 패션아이템으로 급부상했다. (2)이처럼 힙합과 푸어룩은 주류 사회에 반하는 비주류 계층으로부터 생겨난 문화임과 동시에 현재 우리에게 사회 문화적으로 상당한 파급효과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4)[(3)이 같은 현상을 통해 볼 때, 문화라는 것은 그것이 생겨난 시대의 모습을 통해 그 문화의 생성원인이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데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제시문의 문화적 현상들은 당시의 시대상황이나 기성사회의 문화에 대해 도전적인 성향을 띠며 나타났고, 그로 인해 초기에는 사회적인 무시와 냉대를 받았으나 결국에는 그것을 딛고 세계적인 반향을 일구어 냈다.]
‘가장 큰 가치를 지닌 것은 가장 작은 것에서 비롯된다’는 말이 있다. (5)어떠한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화는 그 사회의 이면에 존재하는 가장 작은 것으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것이다. 현재의 한국 사회에서도 그 이면의 가장 작은, 사람들에게 인정 받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힙합이나 푸어룩 같은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킬 수 있는 문화적 아이콘이 태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역시 그러한 문화가 새롭게 탄생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845자, 이혜진 학생 글)
첨삭지도
사람에게 과거나 출생의 비밀이 있듯이, 현재 청소년들이 향유하는 문화 역시 그 기원과 변화의 과정을 겪었다. 이번 논제는 이렇게 학생들에게 친근한 문화 현상들도 태초에는 미비한 모래와 같았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 다른 측면에서는 자신이 즐기고 있는 문화의 가치를 더 증진시킬 수 있는 문제의식과 참여 의식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도 있었다.
그런 만큼, 쉽고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논의를 전개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는 문화적 경험과 문화 현상으로서의 힙합과 푸어룩을 논리적으로 연결 짓지 못했다. 대표 첨삭으로 선정된 혜진 학생 역시 논리적 연결성을 정교화 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보였다. 하지만, 비판적인 시각을 계속 견지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전개해나가는 논리 구성력은 매우 우수하였다. 혜진 학생의 말처럼 현재 청소년들이 만들어가는 아기자기한 문화 현상들이 세계적인 문화 조류로 큰 물결을 일으키기를 기대한다.
(1)제시문에 나타난 문화 현상의 공통점을 명확하게 파악했다. 문장 표현에만 조금 신경을 쓰도록 하자. ‘공통적으로 비주류 계층으로부터 생성되었다’는 점이 학생이 강조하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을 살리는 표현이 좋다. 특히, 제일 첫 문장은 간결하면서도 강한 인상을 주어야 한다. → “힙합과 푸어룩(Poor Look)은 비주류 계층의 문화가 사회적으로 확대된 대표적인 예다.”
(2) 다시 강조를 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정교화 하는 부분이다. 그런데, 제시문(가)와 (나)의 내용에 대한 분석에 비해, 혜진 학생의 주장이 정교화 되지 못하고 있다. 힙합은 백인중심의 사회에서 소외 당하던 흑인들의 문화 속에서 생성된 것이 맞지만, 푸어룩은 시각과 관점의 전환으로 보는 것이 더 명확하다. 즉, 두 문화 현상은 기존의 문화에 대한 대안이나 대항문화의 성격이 강한 것이지, 주류 사회에 반하는 것은 아니다.
(3) (1)에서와 유사하게, 학생의 중심 생각이 드러나는 부분이 길게 늘여지고 있다. 주장은 간결하고 명확하게, 논증의 상세화는 구체적이며 정교하게, 그리고 사례가 이들을 뒷받침하게 단락을 구성해야 한다. → “이는 세계적 흐름을 타고 있는 문화의 기원과 변화 과정을 보여주었다는데 가치가 있다.”
(4) 논의의 전개 과정상 이 부분이 한 단락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상세화가 부족하다.
(5) 새로운 문화 현상이 지니는 가치와 한국 사회에서 문화적 아이콘 생성이라는 두 가지 테마를 연결시키는 문장이다. 이러한 논리 전개는 매우 우수하며, 탁월하다. 그런데, 단순히 앞 문장을 다시 풀어 설명한 것만으로는 논리적 연결성이 떨어진다. → “나비의 날개짓이 폭풍을 일으키듯 사소한 문화 현상이 전체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열려라!논술] 영역별로 짚어 보는 존엄사 논쟁과 생명윤리 (0) | 2007.09.03 |
---|---|
[스크랩] 논제의 ‘본질·이면’ 짚어내는 사고 연습을 (0) | 2007.09.03 |
[스크랩] "[理知논술]학생과학논술 대상 받은 이다은 양의 논술 노하우" (0) | 2007.09.03 |
[스크랩] "[理知논술/영화, 생각의 보물창고]‘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0) | 2007.09.03 |
[스크랩] "[理知논술/교과서 통계 제대로 읽기]낙태의 원인" (0) | 2007.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