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학년도 경희대 논술은 '통합교과형' 형태의 문제가 출제된다. 지난해와 같이 고교 교과과정의 지식을 통합하는 형태다. 2개 이상 교과의 통합으로 이뤄지고, 결과보다는 주어진 문제에 대한 사고 과정을 중시한다.
경희대 입학처는 "인문계 논술의 경우 교과서와 시사이슈, 고전 지문을 읽고 논술에 대비하는 훈련을 쌓아두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또 자연계 논술은 고교 10단계 공통과학과 심화과정 과학Ⅱ 교과서를 기본적으로 잘 읽고 예상 논제를 미리 생각해 보는 것이 유리하다.
정완용 입학처장은 "통합논술인 만큼 인문계열에서도 수리적 논리적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나올 수 있고 자연계열 역시 인문학적 사고방법과 인문계열 소재를 출제할 수 있다는 점에 대비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인문·예체능계 논술
지난 5월 25일 치른 모의논술 문제는 논술Ⅰ과 논술Ⅱ로 나눠 각 3문제씩 출제됐다. 지문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하), 신문 기사, 노자의 '도덕경' '다문화가정 청소년 연구'(한국 청소년상담원 간) '인종'(폴 테일러 저) '사회생물학과 윤리'(피터 싱어 저) 등에서 발췌됐으며 이해하기 그다지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다.
다만 통계자료(쌀 생산량, 소비량, 재고량)를 제시한 뒤 다소 심화된 형태로 수험생의 응용력과 분석력, 수리적, 논리적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일종의 언어와 수리 영역이 통합된 형태다. 문제 형태도 '풀이과정을 쓰고 설명하라'였다.
경희대 입학처 관계자는 "문제는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원리와 개념만 이해하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지만 다만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며 "답뿐만 아니라 풀이과정도 서술해야 하며 그 풀이과정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논리적인가 또한 하나의 평가 대상이 된다"고 했다.
■자연계 논술
모의논술 자연계 문제 역시 논술Ⅰ과 논술Ⅱ에서 각 3문제씩 출제됐다. 경희대 입학처는 "수학 또는 과학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 측정을 지양했다"고 했다. 대신 "교실에서 배운 지식이 현실 생활 또는 사회문제와 어떻게 연관되며 문제해결 과정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물었다"고 강조했다. 논술Ⅰ, Ⅱ의 지문은 신문 기사, 백과사전, 한국생산업협회보, 고교 교과서(과학/물리, 생물Ⅱ)였다.
지난 모의논술에서는 물리의 운동에너지에 관한 사항과 수학의 '미분'에 대한 관련성 및 이해도를 묻는 문제가 출제됐다. 또 교과서 생물Ⅱ에 나오는 포도당과 관련한 내용에다 실생활 문제를 관련시켜 수험생의 논리적 분석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나왔다.
반대로 자연계 논술이지만 인문계 논술과 유사한 형태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쓰라'는 문제가 출제돼 눈길을 끌었다. 모의논술에서는 식량, 에너지, 환경문제를 지적하면서 해결책을 위한 경제적,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묻는 문제가 출제됐다.
정 처장은 "답이 틀렸더라도 풀이과정이 창의적이면 점수를 받을 수 있다"며 "수식과 도형을 이용할 수 있고 분량 제한이 없다"고 했다.
[김태완 맛있는공부 기자]
[
경희대 입학처는 "인문계 논술의 경우 교과서와 시사이슈, 고전 지문을 읽고 논술에 대비하는 훈련을 쌓아두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또 자연계 논술은 고교 10단계 공통과학과 심화과정 과학Ⅱ 교과서를 기본적으로 잘 읽고 예상 논제를 미리 생각해 보는 것이 유리하다.
정완용 입학처장은 "통합논술인 만큼 인문계열에서도 수리적 논리적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나올 수 있고 자연계열 역시 인문학적 사고방법과 인문계열 소재를 출제할 수 있다는 점에 대비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인문·예체능계 논술
지난 5월 25일 치른 모의논술 문제는 논술Ⅰ과 논술Ⅱ로 나눠 각 3문제씩 출제됐다. 지문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하), 신문 기사, 노자의 '도덕경' '다문화가정 청소년 연구'(한국 청소년상담원 간) '인종'(폴 테일러 저) '사회생물학과 윤리'(피터 싱어 저) 등에서 발췌됐으며 이해하기 그다지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다.
다만 통계자료(쌀 생산량, 소비량, 재고량)를 제시한 뒤 다소 심화된 형태로 수험생의 응용력과 분석력, 수리적, 논리적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일종의 언어와 수리 영역이 통합된 형태다. 문제 형태도 '풀이과정을 쓰고 설명하라'였다.
경희대 입학처 관계자는 "문제는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원리와 개념만 이해하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지만 다만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며 "답뿐만 아니라 풀이과정도 서술해야 하며 그 풀이과정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논리적인가 또한 하나의 평가 대상이 된다"고 했다.
■자연계 논술
모의논술 자연계 문제 역시 논술Ⅰ과 논술Ⅱ에서 각 3문제씩 출제됐다. 경희대 입학처는 "수학 또는 과학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 측정을 지양했다"고 했다. 대신 "교실에서 배운 지식이 현실 생활 또는 사회문제와 어떻게 연관되며 문제해결 과정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물었다"고 강조했다. 논술Ⅰ, Ⅱ의 지문은 신문 기사, 백과사전, 한국생산업협회보, 고교 교과서(과학/물리, 생물Ⅱ)였다.
지난 모의논술에서는 물리의 운동에너지에 관한 사항과 수학의 '미분'에 대한 관련성 및 이해도를 묻는 문제가 출제됐다. 또 교과서 생물Ⅱ에 나오는 포도당과 관련한 내용에다 실생활 문제를 관련시켜 수험생의 논리적 분석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나왔다.
반대로 자연계 논술이지만 인문계 논술과 유사한 형태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쓰라'는 문제가 출제돼 눈길을 끌었다. 모의논술에서는 식량, 에너지, 환경문제를 지적하면서 해결책을 위한 경제적,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묻는 문제가 출제됐다.
정 처장은 "답이 틀렸더라도 풀이과정이 창의적이면 점수를 받을 수 있다"며 "수식과 도형을 이용할 수 있고 분량 제한이 없다"고 했다.
[김태완 맛있는공부 기자]
[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험생이 궁금해하는 입시문답/교육대 전형방법은? (0) | 2008.07.04 |
---|---|
여름방학, 大入 영역별 목표 구체화하라 (0) | 2008.07.04 |
[2009 수리논술의 출제 경향과 대책] 출제의 출발점은 교과서 기본 개념 완 (0) | 2008.07.04 |
[입학담당자에게 듣는 2009 대입] ⑬숙명여대 박천일 입학처장 (0) | 2008.07.04 |
건대 1학시 수시정원 90명 입학사정관제로 모두 선발 (0) | 200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