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문제풀이에만 매달리지 말고 ‘숲’을 가꿔라
《이제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도 후반에 접어들었습니다. 무언가 그냥 될 것만 같던 막연한 기대도 점수가 얼마나 나올 것인가에 대한 불안감으로 바뀌었을 것입니다. 이제는 수험생 여러분의 지금까지 성적변화 추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마무리 학습전략을 잘 짜야 결전의 순간 원하는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이 유형1과 같은 성적향상을 꿈꾸지만 현실적으로 유형1의 가능성은 아주 희박합니다. 대부분은 유형2와 유형3의 경우를 거칩니다. 그중에서도 유형3의 경우가 더 현실적입니다. 이 성적상승과 시간의 함수관계를 제대로 이해한 학생은 학습 과정의 안정을 꾀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과도한 불안감과 회의에 사로잡혀 급격한 생활과 학습의 변화를 도모하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되돌아갈 수 없는 길이라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이 수험생의 올바른 자세일 것입니다.
[성공 학습전략 1] ‘과도한 문제풀이’ 중심의 학습은 금물
대부분의 학생이 중반 이후 문제풀이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합니다. 현재의 성취 수준에 따라 문제풀이의 양이 달라지겠지만 문제풀이만으로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합니다. 성적이 원하는 만큼 오르지 않는 이유는 아직도 나에게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험생이 이러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습의 중심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약점을 해결하는 데 있어야 합니다.
[성공 학습전략 2] 전반기에 많은 나무를 심었다면 후반기에는 숲을 가꿔라.
모든 수험생이 지금쯤이면 수능 과목을 한두 번쯤은 섭렵했을 것입니다. 학습은 항상 부분과 전체를 동시에 보고 진행돼야 합니다. 전반부에 주로 부분적이고 구체적인 내용학습을 진행해왔다면 이제는 그 내용들을 묶어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과도한 문제풀이’가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문제풀이만을 통해 ‘숲’을 가꿀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암기된 지식으로, 습관적으로, 단편적으로 문제의 답을 찾는 것보다는 능동적인 학습을 통해 문제 속에서 해당 단원의 원리나 개념을 깨쳐 가는 학습이 수능에서 최고의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것은 ‘언수외탐’ 모든 과목에 해당하는 원칙입니다.
[성공 학습전략 3] 반드시 과목별 학습 균형을 유지하라.
이 시점에서 자신의 취약 과목에 ‘과도한’ 시간을 투자하게 되면 자연히 다른 과목을 소홀히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과목별 성적의 널뛰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머릿속 지식은 전문가적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기억 속에서 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수가 잘 나온다고 해서 등한시해서는 안 됩니다. 대학 진학은 표준점수든 백분위든 학교별로 요구하는 과목의 ‘총점’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학습은 총점을 높이는 데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잘 할 수 있는 과목은 확실하게 점수를 확보해가면서 부족한 과목에 대해 시간적 배려를 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옳은 방법입니다.
[성공 학습전략 4] 답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최초에 문제를 풀 때 왜 오답을 선택했는지 그 원인을 찾아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그 안에 성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비결’이 담겨있습니다.
[성적변화 유형 1] 성적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이 유형에 해당하는 학생은 지금까지의 학습과정에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학습 방법에 과도한 변화를 주기보다는 수능까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전반기 학습 내용을 관리하기 위해 과목별 모의고사 풀이를 병행하면 수능에서 좋은 결과가 예상됩니다.
[성적변화 유형 2] 1유형과 반대로 성적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학생입니다. 이 유형은 진도(학습량)가 쌓일수록 문제가 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초반 높은 점수대는 학생이 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복습되지 않은 학습 내용이 머릿속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성적변화 유형 3] 이 유형은 초반의 성취에 도취되어 과도한 욕심을 부리면서 복습을 소홀히 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원칙은 지켜가면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앞에서 얘기한 성적변화의 핵심은 복습의 정도에 있습니다.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라는 공자님의 말씀을 되새겨야 합니다. 최상위권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가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정말 제대로 알고 있는가를 점검해야만 합니다. 점수는 ‘이해’가 아닌 ‘기억’에서 나온다는 것을 명심하고 꾸준히 복습과 정리를 소홀히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수능 대박’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강성진 부천 청솔학원 원장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제풀이에만 매달리지 말고 ‘숲’을 가꿔라
《이제 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도 후반에 접어들었습니다. 무언가 그냥 될 것만 같던 막연한 기대도 점수가 얼마나 나올 것인가에 대한 불안감으로 바뀌었을 것입니다. 이제는 수험생 여러분의 지금까지 성적변화 추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마무리 학습전략을 잘 짜야 결전의 순간 원하는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이 유형1과 같은 성적향상을 꿈꾸지만 현실적으로 유형1의 가능성은 아주 희박합니다. 대부분은 유형2와 유형3의 경우를 거칩니다. 그중에서도 유형3의 경우가 더 현실적입니다. 이 성적상승과 시간의 함수관계를 제대로 이해한 학생은 학습 과정의 안정을 꾀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과도한 불안감과 회의에 사로잡혀 급격한 생활과 학습의 변화를 도모하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되돌아갈 수 없는 길이라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이 수험생의 올바른 자세일 것입니다.
[성공 학습전략 1] ‘과도한 문제풀이’ 중심의 학습은 금물
대부분의 학생이 중반 이후 문제풀이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합니다. 현재의 성취 수준에 따라 문제풀이의 양이 달라지겠지만 문제풀이만으로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해야합니다. 성적이 원하는 만큼 오르지 않는 이유는 아직도 나에게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험생이 이러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습의 중심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약점을 해결하는 데 있어야 합니다.
[성공 학습전략 2] 전반기에 많은 나무를 심었다면 후반기에는 숲을 가꿔라.
모든 수험생이 지금쯤이면 수능 과목을 한두 번쯤은 섭렵했을 것입니다. 학습은 항상 부분과 전체를 동시에 보고 진행돼야 합니다. 전반부에 주로 부분적이고 구체적인 내용학습을 진행해왔다면 이제는 그 내용들을 묶어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과도한 문제풀이’가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문제풀이만을 통해 ‘숲’을 가꿀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암기된 지식으로, 습관적으로, 단편적으로 문제의 답을 찾는 것보다는 능동적인 학습을 통해 문제 속에서 해당 단원의 원리나 개념을 깨쳐 가는 학습이 수능에서 최고의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것은 ‘언수외탐’ 모든 과목에 해당하는 원칙입니다.
[성공 학습전략 3] 반드시 과목별 학습 균형을 유지하라.
이 시점에서 자신의 취약 과목에 ‘과도한’ 시간을 투자하게 되면 자연히 다른 과목을 소홀히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과목별 성적의 널뛰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머릿속 지식은 전문가적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기억 속에서 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수가 잘 나온다고 해서 등한시해서는 안 됩니다. 대학 진학은 표준점수든 백분위든 학교별로 요구하는 과목의 ‘총점’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학습은 총점을 높이는 데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잘 할 수 있는 과목은 확실하게 점수를 확보해가면서 부족한 과목에 대해 시간적 배려를 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옳은 방법입니다.
[성공 학습전략 4] 답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최초에 문제를 풀 때 왜 오답을 선택했는지 그 원인을 찾아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그 안에 성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비결’이 담겨있습니다.
[성적변화 유형 1] 성적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이 유형에 해당하는 학생은 지금까지의 학습과정에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학습 방법에 과도한 변화를 주기보다는 수능까지 지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전반기 학습 내용을 관리하기 위해 과목별 모의고사 풀이를 병행하면 수능에서 좋은 결과가 예상됩니다.
[성적변화 유형 2] 1유형과 반대로 성적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학생입니다. 이 유형은 진도(학습량)가 쌓일수록 문제가 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초반 높은 점수대는 학생이 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복습되지 않은 학습 내용이 머릿속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성적변화 유형 3] 이 유형은 초반의 성취에 도취되어 과도한 욕심을 부리면서 복습을 소홀히 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원칙은 지켜가면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앞에서 얘기한 성적변화의 핵심은 복습의 정도에 있습니다.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라는 공자님의 말씀을 되새겨야 합니다. 최상위권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가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정말 제대로 알고 있는가를 점검해야만 합니다. 점수는 ‘이해’가 아닌 ‘기억’에서 나온다는 것을 명심하고 꾸준히 복습과 정리를 소홀히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수능 대박’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강성진 부천 청솔학원 원장
내 손안의 뉴스 동아 모바일 401 + 네이트, 매직n, ez-i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 대입 수시 2학기 가이드] 학생부 반드시 대학별 환산점수 따져봐야 (0) | 2008.09.02 |
---|---|
수시 2학기 논술대비 어떻게 (0) | 2008.09.01 |
수험생이 궁금해하는 입시문답/자유전공학부 어떻게 선발하나 (0) | 2008.09.01 |
대입정보 5대천왕을 만나다-이영덕 대성학원 평가이사 편 "수시에선 논술이 (0) | 2008.09.01 |
대입정보 5대천왕을 만나다-이영덕 대성학원 평가이사 편 "수시에선 논술이 (0) | 2008.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