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논술고사 일정은 주로 1월에 몰려 있으며, 논술고사 실질반영비율은 3∼30%로 대학별로 차이가 크다.
올해부터는 대부분의 대학이 수시와 정시 논술고사의 출제경향을 통합논술로 일원화하고, 정시 자연계열에서도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이 대폭 늘어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
논술 문항은 복수의 제시문이 주어지고 다양한 분량의 답안을 요구하는 논제를 제시하는 형태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정을 최대한 반영한다는 방침에 따라 교과서를 지문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자연계열은 교육과정과의 친밀도가 매우 높은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2008학년도 정시 논술고사의 대학별 출제경향은 올해 실시한 모의논술 및 수시 기출문제를 토대로 파악해야 한다.
올 들어 모의논술을 실시한 주요 대학은 경북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동국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 등이다. 이 외에도 모집단위(의예과)별로 모의논술을 실시한 대학이 있다.
올해 모의논술을 발표하지 않은 서강대와 이화여대는 최근 실시한 수시 논술고사의 출제 방식을 따를 계획이다.
인문계열은 단일 논제 방식에서 벗어나 세트형 복수 논제를 출제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최근에는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는 교과 간 통합에 치중하고 있다.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교과영역을 서로 전이하기보다는 인문계열은 언어와 사회과 영역의 통합을 중시하고, 자연계열은 수리와 과학을 중심으로 영역의 통합을 이루려는 경향을 보인다.
복수의 세트형 논제를 출제하면서 제시문의 개수와 종류는 늘어나는 반면 길이는 짧아지고 있다.
제시문으로 교과서를 활용하는 경향이 매우 뚜렷해지고 있는데, 이는 고교 교육과정에서 배운 개념과 원리를 사회현상에 유기적으로 연관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답안의 분량이 다양해지고 고사 시간과 분량이 늘었다.
자연계열은 수리·과학 통합형 문제가 주를 이룬다. 올해 실시된 모의논술과 수시 기출문제를 보면 수리 및 과학 교과 지식을 통합하고 활용하는 문제가 많았다.
문제는 주로 교과 원리를 토대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거나 상황을 추론해 내는 형태였는데, 이 과정에서 수학과 과학의 교과 원리를 서로 통합하거나 단일 교과 내의 여러 원리를 통합하는 사고가 요구됐다.
제재의 범위가 수리, 과학 위주로 좁혀진 대신 ‘깊이 있는 개념 이해’와 ‘실생활의 적용 능력’이 중시되고 있다. 독해력과 논증력도 필수 요소다. 과학논술의 경우 문제의 성격이 다양해질 수 있다.
이경희 기자 sorimoa@segye.com
* 제17대 대선 특별 사이트 http://17daesun.segye.com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해부터는 대부분의 대학이 수시와 정시 논술고사의 출제경향을 통합논술로 일원화하고, 정시 자연계열에서도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이 대폭 늘어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
논술 문항은 복수의 제시문이 주어지고 다양한 분량의 답안을 요구하는 논제를 제시하는 형태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정을 최대한 반영한다는 방침에 따라 교과서를 지문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자연계열은 교육과정과의 친밀도가 매우 높은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2008학년도 정시 논술고사의 대학별 출제경향은 올해 실시한 모의논술 및 수시 기출문제를 토대로 파악해야 한다.
올 들어 모의논술을 실시한 주요 대학은 경북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동국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 등이다. 이 외에도 모집단위(의예과)별로 모의논술을 실시한 대학이 있다.
올해 모의논술을 발표하지 않은 서강대와 이화여대는 최근 실시한 수시 논술고사의 출제 방식을 따를 계획이다.
인문계열은 단일 논제 방식에서 벗어나 세트형 복수 논제를 출제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최근에는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는 교과 간 통합에 치중하고 있다.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교과영역을 서로 전이하기보다는 인문계열은 언어와 사회과 영역의 통합을 중시하고, 자연계열은 수리와 과학을 중심으로 영역의 통합을 이루려는 경향을 보인다.
복수의 세트형 논제를 출제하면서 제시문의 개수와 종류는 늘어나는 반면 길이는 짧아지고 있다.
제시문으로 교과서를 활용하는 경향이 매우 뚜렷해지고 있는데, 이는 고교 교육과정에서 배운 개념과 원리를 사회현상에 유기적으로 연관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답안의 분량이 다양해지고 고사 시간과 분량이 늘었다.
자연계열은 수리·과학 통합형 문제가 주를 이룬다. 올해 실시된 모의논술과 수시 기출문제를 보면 수리 및 과학 교과 지식을 통합하고 활용하는 문제가 많았다.
문제는 주로 교과 원리를 토대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거나 상황을 추론해 내는 형태였는데, 이 과정에서 수학과 과학의 교과 원리를 서로 통합하거나 단일 교과 내의 여러 원리를 통합하는 사고가 요구됐다.
제재의 범위가 수리, 과학 위주로 좁혀진 대신 ‘깊이 있는 개념 이해’와 ‘실생활의 적용 능력’이 중시되고 있다. 독해력과 논증력도 필수 요소다. 과학논술의 경우 문제의 성격이 다양해질 수 있다.
이경희 기자 sorimoa@segye.com
* 제17대 대선 특별 사이트 http://17daesun.segye.com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수험생 `최악의 고통'..논술이 본고사(?)> (0) | 2007.11.22 |
---|---|
[2008 대입가이드] SKY 당락 수리영역이 좌우 (0) | 2007.11.21 |
이제는 정시다!… 大入지원전략은 (0) | 2007.11.21 |
연세대, 2008학년도 정시모집 수능 영역 반영비율 돌연 바꿔 (0) | 2007.11.21 |
무더기 ‘등급 동점’ 골치…상위권대 동점자 처리 기준 (0) | 200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