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원,국제중

국제중 졸업하면 어디로?

설경. 2008. 9. 24. 19:48

[서울신문]‘국제중 졸업하면 특목고 가기 쉽다?’

문제는 국제중학교를 졸업한 이후라고 전문가들은 얘기한다. 학부모가 자녀의 국제중 입학에 관심을 갖는 까닭은 ‘특목고에 가기 쉽다.’는 인식 때문이다. 국제중에서 영어몰입교육을 받으면 특목고에 입학하기 쉽고 결국 명문대 합격으로 이어진다는 게 학부모의 생각이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부산국제중의 ‘최근 3년간 졸업생 진학실태’를 살펴보면 국제고를 비롯해 외고와 과고, 자사고에 입학한 학생들은 2007년에 27명으로 전체 58명 가운데 47%에 달했다.2006년도와 2007년에는 각각 39명과 27명으로 절반을 웃돌았다. 일반계 중학교에서 1% 이내의 학생이 특목고에 입학하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많은 수치다. 하지만 최근 특목고 입시에서는 내신 반영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서울지역 외고 입시의 내신 반영비율이 2009학년도에 40∼50%까지 확대된 반면 기존의 토익·텝스 등 공인 영어성적은 배제됐다. 영어실력이 뛰어난 인재를 뽑는 특별전형은 1∼3개로 축소돼 ‘중학교 학생부’의 위력이 강해지고 있다. 중학교 내신성적만으로 뽑는 인원은 대원·한양·이화·서울외고를 합쳐 119명에서 268명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이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우수한 자원이 많이 모인 국제중은 내신에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 국제중을 가려는 이유가 특목고뿐이라면 학부모들은 이를 재고해야 할 상황인 것이다. 온라인 교육업체인 하늘교육 관계자는 “국제중을 졸업한 학생이 외고 입시에 절대 유리하다고 볼 수 없다.”면서 “학교내신의 불이익이 있고 비교내신제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곰곰이 고민해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