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Q : 신문을 읽으면 논술에 도움이 된다는데 어떻게 읽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나요?
이승미(미림여고 2)
A : 신문을 읽을 때는 구체적인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논술을 위해 신문에서 취해야 할 것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논술문을 쓸 때 활용할 소재 거리를 찾는 것입니다. 신문은 하루만 펼쳐 봐도 다양한 논술 소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서울대 공대 뽑을 교수가 없다’는 제목의 기사 내용은 ‘우수 인재 해외 유출’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신자유주의와 평준화 교육, 양극화’라는 주제를 끄집어 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재 거리를 꾸준히 찾다 보면 관련 주제를 받았을 때 자신 있게 사례를 들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오피니언 면에 실리는 칼럼을 자주 읽는 겁니다. 전문가 필자가 사회현상을 어떻게 보는지 따져보다 보면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습니다.
칼럼은 글쓰기에 단련된 전문가의 글입니다. 글쓴이가 주장을 펼 때 어떤 식으로 근거를 들어 상대의 주장을 비판하는지 주의 깊게 보십시오. 특히 자기 주장에 대한 상대의 반박을 거론한 뒤 재반박하는 식의 글은 더 집중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논술문을 쓸 때 주장을 펴기 위해 반대 의견까지 고려하면 설득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류헌명(백년대계 진명학원 원장)
이승미(미림여고 2)
A : 신문을 읽을 때는 구체적인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논술을 위해 신문에서 취해야 할 것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논술문을 쓸 때 활용할 소재 거리를 찾는 것입니다. 신문은 하루만 펼쳐 봐도 다양한 논술 소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서울대 공대 뽑을 교수가 없다’는 제목의 기사 내용은 ‘우수 인재 해외 유출’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신자유주의와 평준화 교육, 양극화’라는 주제를 끄집어 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재 거리를 꾸준히 찾다 보면 관련 주제를 받았을 때 자신 있게 사례를 들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오피니언 면에 실리는 칼럼을 자주 읽는 겁니다. 전문가 필자가 사회현상을 어떻게 보는지 따져보다 보면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습니다.
칼럼은 글쓰기에 단련된 전문가의 글입니다. 글쓴이가 주장을 펼 때 어떤 식으로 근거를 들어 상대의 주장을 비판하는지 주의 깊게 보십시오. 특히 자기 주장에 대한 상대의 반박을 거론한 뒤 재반박하는 식의 글은 더 집중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논술문을 쓸 때 주장을 펴기 위해 반대 의견까지 고려하면 설득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류헌명(백년대계 진명학원 원장)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용’은 인간 존중일까 불편한 신념일까 (0) | 2007.09.07 |
---|---|
"대학 입학처장-고교 진학교사들이 말하는 ‘감점 답안’" (0) | 2007.09.06 |
대입 통합논술 매거진 ‘엔비’ 판형 바꾸고 탐구 섹션 확대 (0) | 2007.09.05 |
[대입논술 가이드]합리적 판단 위한 과학적 태도 (0) | 2007.09.04 |
논술,벼락치기론 어림없다/‘읽기’의 기반없이 논술은 불가능 (0) | 2007.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