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별 과년도 출제경향 파악 필수 지성 면접시, 지문 토대로 답변해야
2009학년도 의학전문대학원 심층면접이 이달 중순 대학별로 각각 실시된다. 전체 의학전문대학원 모집 정원의 65%인 1070명을 선발하는 정시 모집은 MEET 성적이 가장 큰 배점을 차지하지만, 2단계 전형은 심층면접에 달렸다.
심층면접은 크게 인성면접과 지성면접으로 나눌 수 있다. 심층면접은 대학마다 출제경향과 면접유형이 다르다. 따라서 지망대학의 출제경향과 기출문제, 특징 등을 미리 파악하고 사전연습까지 할 필요가 있다.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입시전문 PMS 김정현 원장은 "대학마다 전형방식이 다른 의학전문대학원 심층면접은 과년도 면접 출제 경향부터 분석하는 것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가톨릭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 주요 의전원에서 생물학적 지식을 평가하는 지성면접을 시행한다. 평소 꾸준히 전공용어에 대한 학습과 기초의학관련 논문, 에세이 등을 통해 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인성면접 대비전략
인성면접은 의사가 갖춰야 할 도덕성, 가치관, 기본적 자질 등을 평가한다. 인성면접의 유형은 개인신상형, 상황제시형, 집단토론형, 시사상식형 등으로 나뉜다.
―개인 신상형: 가장 기본적인 질문 유형으로 자기소개서에 기재된 내용을 근거로 한다. 보통 지원동기, 학부생활, 학업계획, 향후 진로 등과 관련된 것을 묻는다. 고려대, 제주대, 충북대 등은 지성면접 없이 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에 근거를 둔 개인 신상형 인성면접을 시행했다. 면접에 앞서 제출한 자기소개서를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상황 제시형: 가톨릭대, 경희대 등의 인성면접에서 시행했던 상황 제시형은 지원자에게 특정상황을 제시하고 그 안에서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면접관의 질문에 대답하는 유형이지만 가톨릭대처럼 사전에 훈련된 연기자를 상대로 정해진 시간 안에 주어진 임무를 완수하는 문제가 주어지기도 한다. 무엇보다 순발력과 독창성을 요구하며, 지원자의 전공지식보다는 품성과 가치관 등을 평가 한다.
―집단 토론형: 가톨릭대, 전남대 등에서 채택하는 면접유형. 지원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평가한다. 토론 주제는 정치, 사회, 의료 등 다양하므로 틈틈이 신문을 통해 배경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토론면접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며 배려하는 자세를 보이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시사 상식형: 주로 의학 분야와 관련된 현상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경북대, 영남대, 인하대, 전북대, 조선대 등의 면접 유형이다. 유전자조작식품, 안락사, 미용성형 등 주로 사회적 논쟁이 되는 의료윤리와 생명에 관한 몇 가지를 질문한다. 질문의 핵심파악과 답변의 일관성이 주요하다.
■지성면접 대비전략
지성면접은 기초과학 관련분야에 대한 지식을 평가한다. 지성면접의 유형은 지문제시형, 일반서술형으로 나눌수 있다.
―지문 제시형: 가톨릭대, 경북대, 부산대, 성균관대, 연세대, 영남대, 이화여대 등의 지성면접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지문제시형이다. 전공 관련 지문 또는 그래프, 도표 등을 사전에 보여주고 몇 분 동안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각한 후 답변하도록 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전공 수준을 묻는 것이 아니라 지문을 읽고 얼마나 정확하게 내용을 이해하고 대답하는가를 평가한다. 따라서 지문을 근거로 답해야 한다.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은 영어로 된 지문을 제시한다. 전공용어 등은 영어로 답변할 수 있을 정도의 개념 정리를 해야 하고 최신 과학잡지 등을 접하면서 글의 주제 및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연습도 필요하다.
―일반 서술형: 경상대, 인하대 등에서 진행하는 일반서술형은 기초적인 생물, 화학 분야의 지식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다. 주로 전공용어 및 현상 등을 질문하므로 평소 생물기초 서적을 보며 용어의 정의와 현상 등을 차곡차곡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류재광 맛있는공부 기자 zest@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학교 학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대-생명공학연 업무협정 체결 (0) | 2008.11.07 |
---|---|
[줌인]서울대 경영대, 경영학은 부전공? (0) | 2008.11.07 |
"의학전문대학원에 박사학위 주지말라" (0) | 2008.11.06 |
대학, 알고 갑시다<1>생소한 이색학과 (0) | 2008.11.04 |
中企 창업ㆍ컨설팅 대학원 생긴다 (0) | 200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