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같은 모집군에 경쟁대학 많으면 경쟁률↓
분할모집은 모집인원 많은 쪽으로 고려
다군, 경쟁률 높지만 추가합격률도 높아
입시요강에 드러나지 않는 합격의 마지막 변수가 있다. 경쟁률이다. 대전 대성고 김동춘 교사는 “학생부, 수능, 대학별고사 등 전형요소의 유불리를 분석한 뒤 남는 마지막 변수는 경쟁률”이라며 “때로 경쟁률은 당락에 대해 수능 점수 10점에 맞먹는 영향을 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경쟁률이 중요한 이유는 합격선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경쟁률이 오르면 합격선도 높아진다는 게 통설이다. 서울 휘문고 신동원 교사는 “자기 점수보다 높여 쓴 소신지원 학생과 알맞게 쓴 적정지원 학생, 낮춰 쓴 하향지원 학생이 같은 비율이라고 봤을 때 적정 경쟁률은 3:1 정도”라며 “경쟁률이 3:1을 넘으면 자기 점수보다 낮춰 쓰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져서 합격선이 올라간다고 본다”고 말했다. 즉 경쟁률이 변하면 합격선도 달라진다. 경쟁률의 변화를 통해 합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2009학년도 입시의 경쟁률은 어떻게 달라질까. 올해 입시의 변화를 꼽아보면 경쟁률의 변화가 보인다.
■ 모집군의 변화
모집군을 이루는 대학의 구성이 바뀌면 경쟁률도 달라진다. 새로 진입한 대학과 비슷한 수준의 대학들은 특히 경쟁률에 영향을 받는다. 실제로 2008학년도 입시에서 성균관대가 처음 나군 모집을 실시하자 서강대의 경쟁률은 2007학년도 6:1에서 5:1로 줄었다. 중앙대도 6:1 수준에서 4:1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경희대, 서울시립대, 아주대, 중앙대 등이 모집군을 늘렸다. 특히 서울시립대, 아주대, 중앙대 등 중상위권 대학들이 가군에 새로 진입하게 된 것을 눈여겨봐야 한다.
분할모집에 따른 모집인원의 변화도 경쟁률에 영향을 준다. 분할모집을 하면 각 군에 모집인원을 분산 배정하게 되므로 하나의 군에서 뽑는 인원이 줄어든다. 문이 좁아지면 경쟁률은 오른다. 예를 들어, 2008학년도에 다군에서 1181명을 뽑았던 아주대에 3000명이 지원해서 3: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하자. 가군에서 281명을, 다군에서 672명을 뽑는 올해는 각각 1500명씩만 몰려도 경쟁률은 달라진다. 유성룡 이투스 입시정보실장은 “모집인원이 많으면 경쟁률과 합격선이 덩달아 낮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며 “대학들이 모집인원을 쪼개서 분할모집을 하는 것은 합격선을 높여 좀더 성적이 좋은 학생을 유치하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분할모집을 하는 대학에 지원할 때는 모집인원이 좀더 많은 쪽을 고려하는 게 좋다. 신동원 서울 휘문고 교사는 “경쟁률은 다른 대학들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모집인원이 많다고 반드시 경쟁률이 낮아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한 뒤 “다만 100명을 모집하는 데보다는 500명을 모집하는 데가 합격의 가능성이 좀더 높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가군과 나군의 전체 모집인원은 6만1000여명 정도로 비슷하지만 상위권 대학의 모집인원은 나군이 가군보다 2000여명 정도 적다”며 “나군의 상위권 대학 경쟁률과 합격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상위권 대학을 지원하는 학생들은 나군보다 가군에 안정지원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 전형방법의 변화
대학이 수능성적을 반영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언어, 외국어, 수리 영역에 탐구영역을 반영하는 ‘3+1체제’와 언어, 외국어, 수리 영역 가운데 두 영역을 선택하고 탐구영역을 반영하는 ‘2+1체제’다. 이런 수능 반영 방법의 차이도 경쟁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이 낸 ‘2009학년도 대입 정시전형 진학지도 길잡이’를 보면 ‘지원전략 수립을 위한 전형 요강 분석’에서 “‘2+1’ 대학은 다른 대학보다도 경쟁률이 더 치열해 합격점이 더 높게 형성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며 2008학년도에 경쟁률과 합격선이 크게 오른 홍익대 자율전공의 사례를 들었다. 이곳은 언어, 수리, 외국어, 사회탐구/과학탐구 영역 가운데 세 영역을 선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지원하는 대학의 전형방법이 지난해와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확인하는 게 좋다. 2009학년도 입시에서 ‘2+1체제’에서 ‘3+1체제’로 전형방법을 바꾼 대학들은 인문계열에는 국민대, 세종대 등이 있고, 자연계열에서는 고려대 세종캠퍼스, 국민대, 서울산업대 등이 있다. 반대로 ‘3+1체제’에서 ‘2+1체제’로 바꾼 대학은 자연계열의 가톨릭대와 가천의과대 등이 있다. 김동춘 교사는 “지난해에 견줘 반영 영역이 늘어나면 적어도 합격선이 올라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계산이 가능하고 반대로 반영 영역이 줄었을 때는 합격선이 내려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보수적인 계산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경쟁률과 추가합격의 관계를 파악하라
2008학년도 고려대 법과대학은 133명 모집에 87명이 추가로 합격했다. 첫 합격자의 65.4%가 다른 학교로 빠져나갔다는 말이다. 수험생들이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기다리는 게 이런 추가합격이다. 실제로 대다수의 대학이 50%가 넘는 추가합격자를 가리는 일이 많다. 2008학년도 연세대 경영계열은 161명 모집에 추가합격한 인원이 107명이다. 나군의 공학부는 93명 모집에 130명까지 추가로 합격해 추가합격 인원이 모집정원을 훌쩍 넘기기도 했다. 연세대는 전체 모집인원의 46.9%, 고려대는 25.3%가 추가합격을 했다는 자료도 있다. 경쟁률이 높다고 지레 포기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 있다. 특히 다군은 가, 나군에 견줘 모집인원이 2만여명 정도 적기 때문에 경쟁률은 높지만 가, 나군에 합격한 학생들의 이동으로 추가합격률도 높다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 한다. 따라서 지원하는 대학의 최근 3년간 경쟁률과 추가합격률을 살펴보는 일은 필수적이다. 김동춘 교사는 “‘입시바라지’(www.baraji.co.kr) 등을 통해 최근 3년의 경쟁률과 추가합격률을 따져 본 뒤에 추가합격률이 일관되게 높은 대학은 경쟁률이 높더라도 과감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물론 추가합격이 턱없이 부족한 점수를 만회해 줄 거란 기대는 하지 않는 게 좋다. 유성룡 입시정보실장은 “지난해 합격선은 추가합격자의 성적까지 반영한 것이므로 커트라인에 턱없이 모자라는 점수로는 지원해도 추가합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진명선 기자 edu@hani.co.kr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역별 성적 분석하기 -> 대학 3~4곳 고르기 -> 반영비율 따지기 (0) | 2008.12.15 |
---|---|
수능반영 영역과 비율이 ‘전략 핵심’이다 (0) | 2008.12.15 |
정시지원 포트폴리오 모집군별 3~5개 적당 (0) | 2008.12.15 |
정시 원서접수 유의사항은? (0) | 2008.12.15 |
사탐공부 ‘지름길’은 있다 (0) | 200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