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고,자사고

서울지역 과학고 입시분석과 2010학년도 입시 전망

설경. 2009. 1. 14. 23:42

[동아일보]

서울지역 과학고인 한성과학고와 세종과학고의 2009학년도 입시가 끝났다. 올해 서울지역 과학고 입시를 분석하고 2010학년도 입시를 예상해 본다.

1. 2010학년도 지원경향 전망

2010학년도부터 자율형 사립고가 신설된다. 그러나 과학고의 경우 기존에도 지역제한제가 실시되었고, 수험생들이 외국어고나 자립형 사립고에 중복지원을 하지 않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과학고 지원 경쟁률이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 오히려 경기과학고가 2010학년도에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됨에 따라 과학고 지원자가 늘어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실제로 올해 과학고 입시에서 서울과학고가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됨에 따라 서울과학고 지원자가 지난해 2916명에서 올해 4679명으로 증가했다.

2. 2009학년도 지원경향 분석

서울지역 과학고인 한성과학고와 세종과학고의 지원자는 지난해 1182명에서 올해 1533명으로 351명 증가했다. 경쟁률도 3.94 대 1에서 5.11 대 1로 상승했다.

일반전형은 지원자가 지난해 752명에서 올해 1082명으로 330명 증가했고 경쟁률은 4.92 대 1에서 7.07 대 1로 크게 상승했다. 반면, 올림피아드 전형은 지난해 모집인원 82명에 255명이 지원하여 경쟁률이 3.11 대 1이었으나, 올해는 모집인원 97명에 279명이 지원하여 경쟁률이 2.88 대 1이었다. 이처럼 올림피아드 전형의 경쟁률이 하락한 것은 올림피아드 수상자의 상당수가 서울과학영재학교에 지원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09학년도 서울과학영재학교 합격자의 81.7%가 올림피아드 최소 1개 부문 이상 수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추천자 전형은 지난해 모집인원 65명에 175명이 지원하여 경쟁률이 2.69 대 1이었고, 올해는 50명 모집에 172명이 지원하여 경쟁률이 3.44 대 1이었다.

한성과학고는 모집인원 140명에 552명이 지원하여 3.94 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고, 세종과학고는 모집인원 160명에 981명이 지원하여 6.1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세종과학고의 경우, 2008년도에 개교하여 졸업생 실적이 없는 상황이고, 한성과학고는 서울과학고가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위권 학교로 인식된 경향이 있다. 한성과학고와 세종과학고의 경쟁률을 통해 하향 안정지원 추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3. 선발시험 출제 경향

올해 한성과학고와 세종과학고에 지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 수험생 체감난이도가 수학은 상승한 반면, 과학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전체 5문항 중 4문항이 사고력 유형의 문제인 장문형 문장제 문제 또는 조건 해석을 요하는 문제로 출제됐다. 기본 교과 개념이 직접적으로 출제되기보다 사고력 유형으로 통합되어 출제되는 창의사고력 문제의 비중이 강화되어 체감난도가 상승했다. 문제를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가 문제 풀이의 관건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경향은 과학영재학교 선발시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기존의 과학고 기출문제와 다른 유형의 사고력 문제가 출제되어 다소 생소했다는 반응이 많았다. 그러나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이해하고 조건 활용법에만 익숙하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평이었다.

과학은 전체적인 문제 유형 및 난이도가 지난해와 유사했다. 2008학년도 선발시험과 비교했을 때, 사고력을 요하는 창의력 구술시험의 형태보다는 교과개념을 이용한 탐구력 구술시험 형태와 유사한 유형의 문제가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 화학, 생물은 각 과목의 Ⅰ, Ⅱ에서 출제됨으로서 전년과 비슷한 난이도를 유지했으나, 지구과학은 중학교 수준에서 출제되어 전년보다 낮은 난이도를 보였다. 또한 생물과목을 제외하고 물리는 전기, 역학, 화학은 압력, 화학식, 지구과학은 달의 운동, 위상과 같이 자주 출제되는 범위에서 문제가 출제됐다. 화학, 생물의 경우 평소 접하지 않은 자료해석 문제들이 출제되어 다른 과학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감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2010학년도 서울권 과학고 입시 전략

1) 과학고와 과학영재학교를 동시에 대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라.

2) 올림피아드 최소 1개 부문 이상 수상을 목표로 하라.

3) 조건이 복잡한 장문형 문장제 형식의 수리사고력 문제에 익숙해져라.

4) 과학은 고등학교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Ⅱ까지 학습하라.

5) 중학교 학교내신 성적은 최소 2∼3%로 관리하라.

임성호 ㈜하늘교육 기획이사 반포 영재교육센터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