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반 친구인 고3 수험생 김모(17) 양과 박모(17) 양은 성적도 비슷하고 나란히 반장, 부반장을 맡고 있다. 하지만 대입 수시2학기 원서 접수 양상은 사뭇 달랐다. 김 양은 서울 소재 대학 6곳에 원서를 접수한 반면 박 양은 부산지역 국립대 1곳에만 원서를 냈다. 지원 가능한 대학은 두 명이 엇비슷했지만 집안 형편 때문에 선택권은 판이했다.
각 대학의 수시모집 전형일자가 분산돼 수험생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나 전형료와 교통비, 숙박비 등의 경비로 입시원서 접수에도 양극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김 양의 경우 6개 대학의 전형료만 40만 원이 넘는다. 매번 부산과 서울을 오가는 교통비에 숙박비, 식비 등을 더하면 김 양이 이번 입시에 쓰게 될 돈은 100만 원이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별 수시2학기 전형료는 4만~8만 원 선이며, 논술을 치르는 학교는 1차로 낙방한 수험생들에게 2만~3만 원가량을 돌려준다. 김 양은 지원 가능한 서울 소재 대학에 모조리 지원했다.
김 양은 "기회가 많은데 응시하지 않으면 나중에 후회할 것 같다"며 "원하는 대학에만 갈 수 있다면 돈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양의 어머니(52) 역시 "서울 쪽엔 한 달 과외비로 수백만 원도 쓰는데 그에 비하면 많은 액수가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양은 사정이 다르다. 김 양과 성적도 비슷하고 학교 임원이어서 지원 기회가 많지만 어려운 집안 형편상 여기저기 원서를 낼 엄두가 나지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 국립대를 택했지만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그는 "조건이 비슷한 친구가 많은 곳에 지원하는 것을 보면 심란하다"며 "수시모집은 어쩔 수 없지만 정시모집 때는 수능을 치고 아르바이트라도 해서 서울 쪽 대학에 지원해 보고 싶다"고 털어놨다.
이 같은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비단 이번 수시모집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수시모집에 떨어진 학생들은 수능 이후 정시모집에 지원해야 하고 이때 역시 3~4 곳의 대학에 응시할 수 있어 양극화 현상은 계속될 전망이다.
부산 A고 최모(55) 교사는 "대학이 비싼 전형료를 낮추고 지방 수험생들을 위해 숙박시설을 마련해 주는 등 편의를 제공해 이 같은 현상을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국제신문 이병욱 기자 junny97@kookje.co.kr / 노컷뉴스 제휴사
각 대학의 수시모집 전형일자가 분산돼 수험생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나 전형료와 교통비, 숙박비 등의 경비로 입시원서 접수에도 양극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김 양의 경우 6개 대학의 전형료만 40만 원이 넘는다. 매번 부산과 서울을 오가는 교통비에 숙박비, 식비 등을 더하면 김 양이 이번 입시에 쓰게 될 돈은 100만 원이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별 수시2학기 전형료는 4만~8만 원 선이며, 논술을 치르는 학교는 1차로 낙방한 수험생들에게 2만~3만 원가량을 돌려준다. 김 양은 지원 가능한 서울 소재 대학에 모조리 지원했다.
김 양은 "기회가 많은데 응시하지 않으면 나중에 후회할 것 같다"며 "원하는 대학에만 갈 수 있다면 돈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양의 어머니(52) 역시 "서울 쪽엔 한 달 과외비로 수백만 원도 쓰는데 그에 비하면 많은 액수가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양은 사정이 다르다. 김 양과 성적도 비슷하고 학교 임원이어서 지원 기회가 많지만 어려운 집안 형편상 여기저기 원서를 낼 엄두가 나지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 국립대를 택했지만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그는 "조건이 비슷한 친구가 많은 곳에 지원하는 것을 보면 심란하다"며 "수시모집은 어쩔 수 없지만 정시모집 때는 수능을 치고 아르바이트라도 해서 서울 쪽 대학에 지원해 보고 싶다"고 털어놨다.
이 같은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비단 이번 수시모집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수시모집에 떨어진 학생들은 수능 이후 정시모집에 지원해야 하고 이때 역시 3~4 곳의 대학에 응시할 수 있어 양극화 현상은 계속될 전망이다.
부산 A고 최모(55) 교사는 "대학이 비싼 전형료를 낮추고 지방 수험생들을 위해 숙박시설을 마련해 주는 등 편의를 제공해 이 같은 현상을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국제신문 이병욱 기자 junny97@kookje.co.kr / 노컷뉴스 제휴사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짱의 수능 마무리 전략 (0) | 2007.09.17 |
---|---|
"[기자의 눈/최창봉]KEDI의 ‘外高죽이기 보고서’" (0) | 2007.09.15 |
대입 수시2학기 등급별 학습전략 (0) | 2007.09.15 |
재수생 줄고 수리 '나' 형 선택 크게 늘어 (0) | 2007.09.14 |
스터디 매니저 - 효과적인 노트 필기법 (0) | 200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