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 대학 수시전형에서 아이비리그 명문 컬럼비아대 국제관계학과에 합격한 용인 외대부속외고 3학년 하승준(19·사진)군의 말이다.
SAT(미국 대학입학자격시험)에서 2400점 만점에 2350점을 받은 하군은 에세이를 포함, 쓰기(writing)에서 800점 만점을 받았다. 입학원서의 에세이도 아버지와 자신을 비교하는 글을 써 “주제가 참신하다”는 평을 받았다.
하군은 초등학교 6학년 때 부모님을 따라 6개월 남짓 미국에 체류한 것이 해외 경험의 전부지만 꾸준히 영어로 된 책을 읽어왔다.
“고등학교 때도 기분전환을 하려고 움베르토 에코의 영어 소설을 읽었어요. 역사를 좋아해서 『역사란 무엇인가』도 영어로 읽었죠. 자주 읽다 보니 자연스럽게 좋은 표현이나 구문을 익히게 되더라고요. 물론 시험에서도 응용할 수 있었고요.”
하군은 개인의 가치관이나 철학적인 내용을 다루는 SAT 에세이 준비에 공을 많이 들였다.
“단락마다 주요 단어로 구성한 한 줄짜리 문장을 적어놓고 글을 썼습니다. 논지가 흔들리는 걸 막으려고요. 그렇게 하면 주장이 너무 강해지는 것도 예방할 수 있거든요.”
하군은 에세이에 주어지는 25분 안에 자기가 쓰고자 하는 내용을 다 소화하기 위해 가급적 형용사나 부사는 줄이고, 문장도 세 줄이 넘지 않도록 압축해서 쓰는 훈련을 했다.
“에세이엔 정답이 없잖아요. ‘이런 의견도 생각해 볼 만하다’는 식으로 반론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관용과 포용의 정신을 담았죠.”
또 입학원서 에세이는 입학 사정관이 지원자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쓰라고 권했다.
“저는 솔직하게 쓰려고 했습니다. 편지체로 쉬운 단어를 골라 제 진정성을 표현했어요. 예시나 대화를 많이 넣어 실감나게 했고요. 내레이션이 가능한 이야기 형식의 1인칭 소설을 많이 참조했죠.”
하군은 누구나 쓰는 과시형 이야기보다는 독특한 내용으로 자신의 성장 이야기를 써야 차별화된 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나만의 이야기를 쓰는 게 입학원서 에세이의 포인트거든요. 문법은 약간 틀려도 무리 없이 읽히면 되거든요.”
글=신상윤 기자, 사진=안윤수 기자
'유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 Can Do It! - 미고교 졸업장 없이 하버드대 박사됐다 (0) | 2008.02.25 |
---|---|
아시아계 학생 적어야 장학금 받기 유리 (0) | 2008.02.25 |
비싼 사립대학이냐 부담적은 주립대냐 (0) | 2008.02.25 |
유학정보 /미국 한의사 꿈꾼다면 ‘퍼시픽 한의대’ (0) | 2007.10.08 |
학부성적이 좋아야 MBA 간다? (0) | 2007.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