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학과정보

이화여대 올해 초 '학문 융합' 도입… 서울대 내년 개설

설경. 2007. 9. 27. 00:24
국내 대학 '학문 융합' 현주소

국내 주요 대학 가운데 이화여대의 학문 융합을 위한 움직임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이화여대는 올해 초 ‘이화학술원’과 ‘스크랜튼 대학’을 창설했다. 이화여대를 설립한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 메리 F 스크랜튼(1832~1929)의 이름을 딴 스크랜튼 대학은 하버드대의 기숙대학(Residential College) 개념을 도입했다. 기존 국제학부를 확대해 만든 2년제 과정으로, 올해 처음 30명의 학생들을 모집했다.

학생들은 인문ㆍ자연과학 등 기존 학과 체계를 뛰어 넘어 모든 분야에 걸쳐 자기 목표를 설정한다. 자신이 원하는 전공을 스스로 설계하고 공부하면서 국내외 석학으로부터 디지털 인문학, 문화연구, 생명과학기술 등 통합 과목을 배운다.

이화학술원은 국내외 석학이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어 공동 연구와 강연을 진행하는 연구 기관이다. 1호 국가과학자인 이서구 교수, 이어령 명예 석좌교수 등 국내 석학과 2006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무하마드 유누스(방글라데시) 그라민은행 총재, 침팬지 연구가 제인 구달(영국) 박사 등 해외 석좌교수가 함께 연구와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는 내년 중 경기 수원시 인근 광교신도시의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 ‘범학문통합연구소’를 개설할 예정이다. 연세대도 2010년 인천 송도신도시에 학문융합 관련 연구소를 열 계획이다.

정진홍 서울대 명예교수는 “학문 융합에 대한 교수 사회의 거부감이 심하기 때문에 저변을 넓힐 터전이 필요하다”며 “학문 융합을 전담할 교원을 배치하고 별도 예산을 편성해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준기자

ⓒ 한국아이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