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자료

[술술 논술] 전통적 가치관의 순기능과 역기능은

설경. 2007. 9. 29. 00:16
◆이슈 스크랩 / 추석 명절을 통해 본 '전통'의 의미◆

민족 명절이라 일컬어지는 추석이었습니다. 전통 명절인 추석에 즈음하여 우리가 알고 있던 전통이란 무엇이며, 현대 사회에서 전통이 가지는 의미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전통 명절, 추석의 두 풍경

= 요즈음 추석 때만 되면 떠오르는 고속도로 차량 행렬은 우리 사회를 특징지을 수 있을 만큼 보편적인 모습이면서 또한 외국 사회와 구별 짓는 특수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명절이라는 시기는 대가족의 관념적 전통과 핵가족의 일상적 현실이 만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①극심한 교통 체증을 뚫고 귀향길에 오르는 사람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에게 추석은 이색적인 경험 중 하나다. 특히 추석 때마다 가족이나 친지를 방문하는 차량 행렬이 전국 대부분 도로를 가득 메우는 모습은 인상적이다. -고교 사회문화 중

많은 한국인들은 부모님과 가족을 만나기 위해 10시간, 20시간이 걸려도 당연히 고향에 가야 한다고 판단하며, 실제로 많은 이들이 귀성 행렬에 참여한다.

명절 증후군에 시달리는 사람들

또 한편으로 명절 때가 되면 '명절 증후군'으로 정신과를 찾는 주부들이 늘고 있다. 명절 증후군은 전통적인 관습과 현대적인 사회 생활이 공존하는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현상으로, 전문적인 의학 용어는 아니다. 즉, 핵가족 문화에 익숙한 주부들이 갑자기 대가족에 합류되는 명절을 앞두고 느끼는 여러 가지 육체적 심리적 증상을 통칭한다. 한국 사회의 유교적 부계 중심 가족 구조와 가부장적 가치관 등이 명절이라는 시기에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평소 핵가족 구조 속에서 생활하던 주부들의 스트레스가 극심해진다.

◆전통이란 무엇인가

= 그렇다면 추석과 같은 명절을 포괄하여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전통'이란 무엇이며 그 의미는 어떠한가? 당위적으로 전통은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어 지금까지 전래된 것이라는 견해와, 전통은 필요에 따라 가까운 과거에 임의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견해가 대립한다.

①전통에 대한 당위적 견해 : 오랜 기간 형성돼 현대사회에 전래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이란 특정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예전부터 내려온 사상ㆍ관습ㆍ행동 따위의 양식이나 핵심이 되는 정신을 뜻한다고 한다. 우리는 5000년 유구한 역사를 통해 면면이 내려온 전통이 생활양식과 의례, 가치관 등으로 남아 있으며 한민족 정체성을 증명하고 확립한다고 본다.

②전통에 대한 비판적 견해 : 전통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다.

반면 전통은 가까운 과거에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화려한 마차를 타고 근엄하게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국 의회에 행차하는 '전통 의식'을 중계하는 TV 방송은 '1000년 전통'임을 강조하지만 이 의식은 1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흔히 스코틀랜드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체크 무늬의 킬트(kilt)와 백파이프 역시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 에릭 홉스봄 등이 공저한 '만들어진 전통(Invention of Tradition)'은 통상 오래된 문화이자 전통으로 보이는 것들이 실제로는 근래에 만들어진 발명품들임을 입증한다.

근대 국민 국가가 태동하는 시기에 국가의 정당성을 입증함과 동시에 국민들에게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전통이 발명됐다는 것이다.

물론 서구 유럽 사회의 역사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곧바로 한국 사회에 적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지만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전통의 재평가 과정

=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우리 사회의 전통과 전통 문화라고 해서 무비판적으로 현대에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전통적 가치관이 가져오는 부작용을 충분히 인식하면서 이를 수정하고 재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 전통을 계승발전하고 현재의 문화 발달에 기여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①전통적 가치관이 가져오는 부작용 사례 : 맹목적 가족주의와 부계 혈통 중심 가치관

▲우리나라의 가족주의

우리 사회에는 과거 유교 문화의 유산 중에서 사회 공동체 윤리는 경시되고, 효(孝)로 대표되는 가족 윤리가 중시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족 이기주의, 배타주의가 기승을 부리고 공공 이익에 대한 무관심이 만연하게 되었다.

가족주의라는 특수한 가치는 자본주의 발전 속에서도 고스란히 살아남아 자유, 평등, 정의, 인권 등 보편적 가치가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였다. 즉, 친족 집단을 넘어 공적인 윤리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것이다. - 고교 사회 중

▲동성동본 금혼

'29대 할아버지가 같다는 이유로 결혼할 수 없는 이상한 나라'. 1986년 미국 뉴스위크 지에 실린 기사 제목이다. 물론 동성동본 결혼을 금지했던 우리나라 이야기다. 아직도 이 제도가 미풍양속이며 지켜야 할 전통이라고 보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우생학적 근거도 뒷받침할 만한 것이 없으며 고려 시대까지만 해도 동성혼은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조선시대에 부계 혈통 중심 가치관에 의해 '만들어진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②전통은 현대적 재평가 과정을 통해 민족문화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

과거로부터 전래된 것이라고 모두 '전통'으로서 우리가 마땅히 전범으로 삼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고 재평가되는 과정을 거쳐 구태의연한 '인습'은 버리되 현재의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는 우리 유산을 되살려야 한다고 본다.

조선 시대 '언문'이라고 멸시받기도 했던 훈민정음, 즉 한글은 우리의 훌륭한 전통이자 문화유산으로서 현대 한국 사회의 교육ㆍ지식 체계 성립에서부터 모든 문화의 발전에 필수불가결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맹목적 가족주의나 부계 혈통 중심의 가치관 등에서 비롯되는 폐해는 더 이상 사회적 타당성을 인정받기 힘들며, 따라서 열린 자세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치관을 통해 우리 사회에 적합한 전통은 되살리면서 수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현재의 문화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함께 생각해볼 문제

1. 우리 전통과 전통 문화가 이 사회에 기여하는 긍정적 부분과 부정적 부분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2. 온 가족이 즐겁고 화목해야 할 명절에 오히려 모든 가족 구성원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그 원인은 무엇이며, 해결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가?

[박민건 대성논술아카데미 연구원]

[ⓒ 매일경제 & 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