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프리미엄 최석호 기자]
성균관대는 수시모집 정원을 51%에서 60%로 확대하고, 학생부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특히 지난해 2단계 전형(1단계 학생부, 2단계 면접)을 치렀던 학업우수자 전형은 면접고사를 폐지했다(사범·건축학 등 일부 모집군 제외). 정시는 수능 중심 전형으로 특화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정시에서는 논술을 치르지 않으며, 가·나군 분할모집을 유지한다. 성균관대 성재호 입학처장과의 일문일답.
- 가장 큰 전형변화는.
성균관대는 수시모집 정원을 51%에서 60%로 확대하고, 학생부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특히 지난해 2단계 전형(1단계 학생부, 2단계 면접)을 치렀던 학업우수자 전형은 면접고사를 폐지했다(사범·건축학 등 일부 모집군 제외). 정시는 수능 중심 전형으로 특화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정시에서는 논술을 치르지 않으며, 가·나군 분할모집을 유지한다. 성균관대 성재호 입학처장과의 일문일답.
- 가장 큰 전형변화는.
"수시모집 정원확대다. 2008학년도 합격생들의 학점을 조사한 결과 수시합격생의 평균이 높았다. 이를 반영한 결정이다. 수시 2-1 학업우수자 전형 면접이나 정시논술을 폐지한 것은 이로 인해 당락이 뒤바뀐 경우가 극소수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 수시2-1에서 비교과·서류평가를 하는데, 비중이 어느 정도인가.
"지원자들의 학생부성적은 770~780점(만점 800점)에 몰려있어 점수차를 내기 어렵다. 그러나 비교과는 활동 유무에 따라 2~3점 차가 날 수 있다.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는 얘기다. 비교과·서류심사에 가산점이 부가되는 분야는 공인영어성적, 교내외 수상실적, 입증된 기관에서 발급한 자격증, 교내 자치·서클활동, 봉사활동 등 다양하다. 수시 2-1을 노린다면 신경 써야 한다."
- 수시2-2 일반전형은 논술 비중이 높은데.
"1단계는 모집정원(1055명)의 50%를 논술 100%로 우선 선발한다. 우선선발 학력기준은 '수능 언어·수리·외국어 3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로 높다. 2000개가 넘는 인문계 고교의 학력차를 보정하는 장치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예년 수시2-2 일반전형 경쟁률이 20~30대1 정도였는데, 우선선발의 경우 2~3대1이었다. 합격 가능성이 훨씬 크다. 나머지 50%는 학생부 40%(교과 30+비교과 10)와 논술 60%로 평가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논술을 잘 하면 학생부 2등급까지는 뒤집을 수 있다."
- 수시2-1 글로벌리더 전형에서 자연계 모집단위를 신설한 목적은.
"외고 출신도 재수를 통해 자연계를 가는 경우가 있다. 이들 어학우수자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주기 위해 자연계 모집단위 신설 등 글로벌리더 전형을 확대했다. 공인어학성적이 좋은 학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이다."
- 입학사정관 제도를 활용하는 리더십 전형에 대해 설명한다면.
"고교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학년장을 1년 이상 수행(예정)한 자로 지원 자격을 규정했다. 보이·걸스카우트 연합회장 등 대형단체 리더까지 지원 자격을 넓힐 수도 있다. 1단계(학생부 40+서류 30)에서 모집정원의 3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 활동검증 과정에서 입학사정관을 활용할 예정이다. 각 활동을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든 상태다."
- 논술고사는 어떻게 평가하는지.
"이해력·논지파악력·사실에 기반한 논리전개력을 평가한다. '제시문에 답이 있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인문계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리근거를 제시문에서 뽑아야 한다. 자연계는 제시문에서 수학·과학원리를 정확히 뽑아내 증명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 학생부성적은 학년별로 어떻게 차등 적용하나.
"3학년 1학기 학생부성적을 50% 반영(1학년 20%·2학년 30%)한다. 1·2학년 성적이 조금 떨어진다 해도 3학년 1학기 성적을 철저히 관리하면 승산이 있다."
- 학생부 교과 성적에서 표준화점수 z값을 반영한다는데, 어떤 방식인가.
"학생부에 석차등급은 제시되지만, 정확한 석차는 알 수 없다. 학생부에 나오는 원점수와 평균점수, 표준편차를 활용해 z값(원점수-평균점수/표준편차)을 구해 역추적하면 석차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온 석차를 이용, 학생부 점수를 다시 부과한다. 등급을 세분화하는 효과가 있다."
- 지난해 신설된 글로벌경영학과 합격생의 수능성적은.
"수시모집에서는 해당 학교 최상위권 학생 등 우수한 학생들이 합격했다. 정시에서는 합격생 대부분이 삼성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원어민 수준의 영어실력을 갖춘 학생이 대부분이다. 2009학년도에도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 마지막으로 성균관대 지망생들에게 도움이 될 말이 있다면.
"수시를 잘 활용했으면 한다. 수시2-1 학업우수자 전형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학생부 100%로 뽑는다고 해서 교과 성적만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1~2개 비교과가 우수한 학생은 교과 성적 2~3점을 보완할 수 있다. 수능성적이 좋지 않다면 수시2-2 일반전형에서 논술로 승부해 보는 것도 좋다."
정리=프리미엄 최석호 기자 < bully21joongang.co.kr >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journalist.asp
- 수시2-1에서 비교과·서류평가를 하는데, 비중이 어느 정도인가.
"지원자들의 학생부성적은 770~780점(만점 800점)에 몰려있어 점수차를 내기 어렵다. 그러나 비교과는 활동 유무에 따라 2~3점 차가 날 수 있다.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는 얘기다. 비교과·서류심사에 가산점이 부가되는 분야는 공인영어성적, 교내외 수상실적, 입증된 기관에서 발급한 자격증, 교내 자치·서클활동, 봉사활동 등 다양하다. 수시 2-1을 노린다면 신경 써야 한다."
- 수시2-2 일반전형은 논술 비중이 높은데.
"1단계는 모집정원(1055명)의 50%를 논술 100%로 우선 선발한다. 우선선발 학력기준은 '수능 언어·수리·외국어 3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로 높다. 2000개가 넘는 인문계 고교의 학력차를 보정하는 장치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예년 수시2-2 일반전형 경쟁률이 20~30대1 정도였는데, 우선선발의 경우 2~3대1이었다. 합격 가능성이 훨씬 크다. 나머지 50%는 학생부 40%(교과 30+비교과 10)와 논술 60%로 평가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논술을 잘 하면 학생부 2등급까지는 뒤집을 수 있다."
- 수시2-1 글로벌리더 전형에서 자연계 모집단위를 신설한 목적은.
"외고 출신도 재수를 통해 자연계를 가는 경우가 있다. 이들 어학우수자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주기 위해 자연계 모집단위 신설 등 글로벌리더 전형을 확대했다. 공인어학성적이 좋은 학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이다."
- 입학사정관 제도를 활용하는 리더십 전형에 대해 설명한다면.
"고교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학년장을 1년 이상 수행(예정)한 자로 지원 자격을 규정했다. 보이·걸스카우트 연합회장 등 대형단체 리더까지 지원 자격을 넓힐 수도 있다. 1단계(학생부 40+서류 30)에서 모집정원의 3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 활동검증 과정에서 입학사정관을 활용할 예정이다. 각 활동을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든 상태다."
- 논술고사는 어떻게 평가하는지.
"이해력·논지파악력·사실에 기반한 논리전개력을 평가한다. '제시문에 답이 있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인문계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리근거를 제시문에서 뽑아야 한다. 자연계는 제시문에서 수학·과학원리를 정확히 뽑아내 증명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 학생부성적은 학년별로 어떻게 차등 적용하나.
"3학년 1학기 학생부성적을 50% 반영(1학년 20%·2학년 30%)한다. 1·2학년 성적이 조금 떨어진다 해도 3학년 1학기 성적을 철저히 관리하면 승산이 있다."
- 학생부 교과 성적에서 표준화점수 z값을 반영한다는데, 어떤 방식인가.
"학생부에 석차등급은 제시되지만, 정확한 석차는 알 수 없다. 학생부에 나오는 원점수와 평균점수, 표준편차를 활용해 z값(원점수-평균점수/표준편차)을 구해 역추적하면 석차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온 석차를 이용, 학생부 점수를 다시 부과한다. 등급을 세분화하는 효과가 있다."
- 지난해 신설된 글로벌경영학과 합격생의 수능성적은.
"수시모집에서는 해당 학교 최상위권 학생 등 우수한 학생들이 합격했다. 정시에서는 합격생 대부분이 삼성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원어민 수준의 영어실력을 갖춘 학생이 대부분이다. 2009학년도에도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 마지막으로 성균관대 지망생들에게 도움이 될 말이 있다면.
"수시를 잘 활용했으면 한다. 수시2-1 학업우수자 전형을 노리는 학생이라면 학생부 100%로 뽑는다고 해서 교과 성적만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1~2개 비교과가 우수한 학생은 교과 성적 2~3점을 보완할 수 있다. 수능성적이 좋지 않다면 수시2-2 일반전형에서 논술로 승부해 보는 것도 좋다."
정리=프리미엄 최석호 기자 < bully21joongang.co.kr >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journalist.asp
.............................................
‘학업우수자’ 당락엔 비교과 성적 무시못해
성균관대 수시2-1 학업우수자 전형은 사범대 및 일부 학과(건축, 의상, 영상, 스포츠)를 제외하면 면접고사를 폐지하고 학생부 교과 80%, 비교과 20%로 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학업우수자 전형은 629명 모집에 1만603명이 지원, 16.8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 전형에서 면접 없이 우선 선발된 합격자의 교과 성적은 인문계열이 1.4등급, 자연계열이 2.0등급 이내였고, 비교과 성적도 당락에 영향을 미쳤다. 수시2-1 특별전형에는 외고·국제고 출신자 등이 지원 가능한 글로벌리더 전형, 과학고 출신자가 지원하는 과학인재전형이 있다.
각 전형 모두 학생부 비교과 영역을 포함하여 글로벌리더는 공인어학성적, 과학인재는 수학·과학 부문 수상 실적 등의 서류 평가에 잘 대비해야 한다.
수시2-2 일반전형은 수능 우선선발 전형이 도입됐다. 1단계 전형(우선선발)에서 언어·수리·외국어 등급의 합이 5 이하인 경우는 논술만으로 모집인원의 50% 내외를 선발하고, 2단계(일반선발)는 학생부 40%(교과 30, 비교과 10)와 논술 60%로 전형한다. 지난해 결과를 보면, 우선선발 자격기준에 드는 인원이 인문계열(사회탐구 및 수리 < ec37 > 나' 선택)은 1만3584명으로 해당 응시생의 4.24%, 자연계열(과학탐구 및 수리'가' 선택)은 7321명으로 해당 응시생의 6.23%였다.
지난해 일반전형 경쟁률이 840명 모집에 3만914명이 지원, 36.80대 1로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해당 수능 자격 기준에 도달한 수험생들 간 실질 경쟁률이 약 2대 1 전후일 것으로 보여 수능 우수자의 합격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정시 전형은 '가'·'나'군으로 분할 모집한다. 지난해 정시 경쟁률은 '가'군이 3.80대 1, '나'군은 7.20대 1로 논술 시험 없이 전형한 '나'군의 경쟁률이 높았고, 합격선도 높았다. 올해는 로스쿨 설치에 따라 법대 모집이 없어지고, 글로벌경영학과에 이어 글로벌경제학과를 신설하면서 경영학 계열을 독립 모집한다. 지난해 신설한 글로벌경영학과는 '가'군의 우선선발 커트라인이 언수외 모두 1등급, 탐구 1·1·2등급 선, '나'군은 해당 영역 모두 1등급선이었다.
정시모집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은 인문, 자연계열 모두 언어 20%·수리 30%·외국어 30%·탐구(3과목 반영) 20%다.
지난해와 비교해 인문계열은 수리 비중이, 자연계열은 언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이 두 영역의 표준점수를 잘 받을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오종운 중앙일보 프리미엄 교육자문위원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center/journalist.asp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두야 대학가자<4>사회탐구 영역 역사군 (0) | 2008.03.31 |
---|---|
2009대입 오해와 진실 (0) | 2008.03.31 |
우리 대학 지원전략 이렇게 - 한양대 <차경준 입학처장> (0) | 2008.03.31 |
[이영덕 대성학원 평가이사] 2009학년도 대입 전망과 대책 (0) | 2008.03.28 |
신성균 교육평가원장 직대 일문일답"언어·외국어지문 교과서 밖서 나올수 (0) | 200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