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인질사태가 막을 내리면서 많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인질 구출 협상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잠복해 있던 문제들이 일제히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논란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개될 경우 인질사건을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으며, 또 얻어야 한다.
현재 전개되는 논의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우선 선교 행태 문제다. 2004년 이라크에서 김선일씨가 피살된 이후 한때 물불 가리지 않는 해외 선교활동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았지만 그 효과는 얼마 가지 못했다. 이번에도 기독교 교회협의회(KNCC), 한국기독교 총연합회(한기총) 등이 해외 선교활동에 신중을 기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교회들이 여전히 대규모 선교사 파송계획을 갖고 있다. 차제에 교계 차원에서 해외 선교활동을 공론화해 새로운 선교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교회가 선교행태를 반성하지 못하면 더 이상 국민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
인질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 능력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정부는 인질사태가 발생하자 대통령 등 최고위층이 나서 ‘공개적으로’ 인질구출 노력에 나섰다. 청와대 고위인사가 아프간을 방문해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에게 수감자 석방을 요청했으며 외교부 장관도 미 국무장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국민의 생명을 지키려는 정부의 입장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정부의 초기대응은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 사태를 장기화하고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입지만 좁혔다. 앞으로 규모나 지역은 다를지라도 제 2, 3의 인질사태의 가능성은 열려 있는 만큼 정부는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대응 매뉴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분쟁 지역 전문가와 네트워크 부족도 구출노력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
해외 파병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번 사태가 우리의 아프간 파병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하지만 아프간 철군이 납치범들의 요구사항에 포함된 것은 사실이다. 해외 파병을 이제라도 되돌아보아야 할 상황이다. 정부는 유엔의 결의가 아니라 미국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 아프가니스탄의 동의·다산부대와 함께 이라크의 자이툰 부대 철군 계획을 빨리 확정지어야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한·미 동맹 문제가 자동적으로 논란의 한가운데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 더 이상 한·미 동맹에 대한 논의를 회피하거나, 흑백 논리로만 보지 말고 활발한 논의를 통해 시대에 맞게 재정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현재 전개되는 논의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우선 선교 행태 문제다. 2004년 이라크에서 김선일씨가 피살된 이후 한때 물불 가리지 않는 해외 선교활동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았지만 그 효과는 얼마 가지 못했다. 이번에도 기독교 교회협의회(KNCC), 한국기독교 총연합회(한기총) 등이 해외 선교활동에 신중을 기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교회들이 여전히 대규모 선교사 파송계획을 갖고 있다. 차제에 교계 차원에서 해외 선교활동을 공론화해 새로운 선교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교회가 선교행태를 반성하지 못하면 더 이상 국민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
인질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 능력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정부는 인질사태가 발생하자 대통령 등 최고위층이 나서 ‘공개적으로’ 인질구출 노력에 나섰다. 청와대 고위인사가 아프간을 방문해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에게 수감자 석방을 요청했으며 외교부 장관도 미 국무장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국민의 생명을 지키려는 정부의 입장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정부의 초기대응은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 사태를 장기화하고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입지만 좁혔다. 앞으로 규모나 지역은 다를지라도 제 2, 3의 인질사태의 가능성은 열려 있는 만큼 정부는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대응 매뉴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분쟁 지역 전문가와 네트워크 부족도 구출노력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
해외 파병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번 사태가 우리의 아프간 파병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하지만 아프간 철군이 납치범들의 요구사항에 포함된 것은 사실이다. 해외 파병을 이제라도 되돌아보아야 할 상황이다. 정부는 유엔의 결의가 아니라 미국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 아프가니스탄의 동의·다산부대와 함께 이라크의 자이툰 부대 철군 계획을 빨리 확정지어야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한·미 동맹 문제가 자동적으로 논란의 한가운데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 더 이상 한·미 동맹에 대한 논의를 회피하거나, 흑백 논리로만 보지 말고 활발한 논의를 통해 시대에 맞게 재정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오피니언(사설,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데스크] 입시 지옥은 인권 문제다 (0) | 2007.09.02 |
---|---|
[경제초점] 재테크, 잔치는 끝났다 (0) | 2007.09.01 |
[박서기 칼럼] 100만대 서버와 구글의 경쟁력 (0) | 2007.08.30 |
[논단―이한구] 영웅 부모 (0) | 2007.08.30 |
[강상구의 성공키워드](143)독서의 힘 (0) | 2007.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