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교육홀딩스의 논술 이것이 핵심이다]
■자연계|수리논술에서 논제의 요구사항을 세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출제됐던 수리논술 논제는 몇 가지 유형들이 있다. 이러한 유형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기 이전에 우선적으로 논제분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제한된 시간이 지나도 전혀 답안을 작성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학생들이 한결같이 하는 이야기가 뭘 써야 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수능 모의고사 수리영역에서 1~2등급의 성적을 받는다면 수학실력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수리논술의 논제를 받고서는 답안 작성을 엄두도 내지 못한 채 마냥 시간만 보내고 있는 것이다.
반면 아는 것은 너무 많은데 답안에 자신이 생각한 것들 중에서 무엇을 써야 하는지, 또는 자신이 생각한 내용을 답안지에 써야 할 지 말아야 할 지를 고민하는 학생들도 있다. 이런 경우에 스스로 답안을 작성해보라고 하면 대부분 문제의 출제의도와 다른 답안을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논제의 요구사항에 한정된 답안을 작성하지 못하거나 논제의 세부적인 요구조건을 구분해 순서대로 답안을 작성하는 연습을 많이 해보지 않은 학생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통합교과논술의 수리논술 논제들은 한 개의 논제 내에서도 여러 가지의 요구사항이 포함돼 있다. 따라서 한 개의 논제도 여러 개로 나눠서 봐야 한다. 예를 들어 2005년도 고려대 예시문항과 2008년도 연세대 수시 의·치예계열 기출문제를 살펴보자.
두 사이트의 ① 매월 접속건수와 ② 월간 접속건수의 변화에 대한 추이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두 사이트의 ③ 누적접속건수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을 비교 설명하라.
함수 ① ??(?)가 ?=0에 대하여 기함수이고, ?=½에 대해 우함수임을 수식으로 입증하고, ② 함수 ??(?)가 ?=0과 ?=½에 대해 우함수 혹은 기함수인지를 결정하고 증명하시오.
위와 같이 한 개의 논제를 여러 개의 요구조건으로 나눈 다음에 세분화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물론 위와 같이 질문내용이 무엇을 써야 할 지 알기 쉬운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2008년도 성균관대 예시문항을 살펴보자.
(3-iii) (3-i)에서 얻은 결과와 (3-ii)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했을 때, 발생된 오차를 줄이기 위한 실험 개선 방안에 대해서 간단히 논하시오.
이 문항은 우선 (3-i)과 (3-ii)의 결과가 실제로 오차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 후 마지막으로 실험 개선 방안을 찾으라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대학 실험리포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 고교 학생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질문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문제의 답안작성 포인트를 정확히 짚어 놓지 않으면 간단한 1줄 답안이 되거나 어떤 것부터 손을 대야 할 지 몰라 계속 시간만 보내게 되는 결과를 낳고 만다.
논제를 먼저 보고 답안 작성에 필요한 생각들을 정리하도록 연습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실제 논술답안 작성시 여러 문항 중 자신이 풀 수 있는 문제와 풀 수 없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빠르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 한 문항의 일부분이라도 좀 더 높은 점수를 받는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박세환 타임교육대입논술센터 학림논술연구소 자연계팀장 ]
[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자연계|수리논술에서 논제의 요구사항을 세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출제됐던 수리논술 논제는 몇 가지 유형들이 있다. 이러한 유형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기 이전에 우선적으로 논제분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제한된 시간이 지나도 전혀 답안을 작성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학생들이 한결같이 하는 이야기가 뭘 써야 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수능 모의고사 수리영역에서 1~2등급의 성적을 받는다면 수학실력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수리논술의 논제를 받고서는 답안 작성을 엄두도 내지 못한 채 마냥 시간만 보내고 있는 것이다.
반면 아는 것은 너무 많은데 답안에 자신이 생각한 것들 중에서 무엇을 써야 하는지, 또는 자신이 생각한 내용을 답안지에 써야 할 지 말아야 할 지를 고민하는 학생들도 있다. 이런 경우에 스스로 답안을 작성해보라고 하면 대부분 문제의 출제의도와 다른 답안을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논제의 요구사항에 한정된 답안을 작성하지 못하거나 논제의 세부적인 요구조건을 구분해 순서대로 답안을 작성하는 연습을 많이 해보지 않은 학생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통합교과논술의 수리논술 논제들은 한 개의 논제 내에서도 여러 가지의 요구사항이 포함돼 있다. 따라서 한 개의 논제도 여러 개로 나눠서 봐야 한다. 예를 들어 2005년도 고려대 예시문항과 2008년도 연세대 수시 의·치예계열 기출문제를 살펴보자.
두 사이트의 ① 매월 접속건수와 ② 월간 접속건수의 변화에 대한 추이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두 사이트의 ③ 누적접속건수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을 비교 설명하라.
함수 ① ??(?)가 ?=0에 대하여 기함수이고, ?=½에 대해 우함수임을 수식으로 입증하고, ② 함수 ??(?)가 ?=0과 ?=½에 대해 우함수 혹은 기함수인지를 결정하고 증명하시오.
위와 같이 한 개의 논제를 여러 개의 요구조건으로 나눈 다음에 세분화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물론 위와 같이 질문내용이 무엇을 써야 할 지 알기 쉬운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2008년도 성균관대 예시문항을 살펴보자.
(3-iii) (3-i)에서 얻은 결과와 (3-ii)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했을 때, 발생된 오차를 줄이기 위한 실험 개선 방안에 대해서 간단히 논하시오.
이 문항은 우선 (3-i)과 (3-ii)의 결과가 실제로 오차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 후 마지막으로 실험 개선 방안을 찾으라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대학 실험리포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 고교 학생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질문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문제의 답안작성 포인트를 정확히 짚어 놓지 않으면 간단한 1줄 답안이 되거나 어떤 것부터 손을 대야 할 지 몰라 계속 시간만 보내게 되는 결과를 낳고 만다.
논제를 먼저 보고 답안 작성에 필요한 생각들을 정리하도록 연습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실제 논술답안 작성시 여러 문항 중 자신이 풀 수 있는 문제와 풀 수 없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빠르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 한 문항의 일부분이라도 좀 더 높은 점수를 받는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박세환 타임교육대입논술센터 학림논술연구소 자연계팀장 ]
[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가 꿈틀 논술이 술술] 조선 창업의 주인공, 정도전 (0) | 2008.04.24 |
---|---|
[시사이슈로 본 논술] 낮은 투표율, 한국 정치의 위기? (0) | 2008.04.24 |
논술 이것이 핵심이다/ 인문계 철저한 논제분석이 첫걸음 (0) | 2008.04.24 |
[옛글의 숨결]보르헤스, ‘전체와 무(無)’ (0) | 2008.04.23 |
[영화, 생각의 보물창고]‘라쇼몽’ (0) | 200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