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여름 한때에 몰리는 강수, 인구는 계속 느는데
물, 공급 확대가 먼저? 절약이 우선?
《최근 방송에선 사하라 사막의 건조한 지역에서 소를 기르며 생활하는 유목민들의 삶을 보여준 적이 있다. 그중 잊혀지지 않는 장면이 있다. 이른 아침 한 소년이 암소의 생식기에 머리를 처박고 공기를 있는 힘껏 불어넣는 모습이었다. 그래야 암소가 자극을 받아 젖이 더 많이 나온다고 한다. 이어서 소는 오줌을 누기 시작했고 소년은 그것으로 세수를 하고 머리를 감았다. 이처럼 물이 부족한 지역의 모습을 보면 항상 함께 떠오르는 의문이 있다. 과연 우리는 물이 부족한 나라일까?》
○ 생각의 시작
○ 뒤집어 보자
한국의 연강수량은 1283mm로 세계 평균(973mm)의 1.3배가 된다. 그럼에도 물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에서 사용한 수식 때문이다. 이 수식은 '1인당 이용할 수 있는 재생 가능 수자원의 양'을 기준으로 물 부족 현황을 분류하는데, 연평균 자연하천 유출량을 인구수로 나눈 값을 사용한다. 한국과 같이 하천 유출량에 비해 인구수가 많은 나라에서는 그 수가 작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공식을 만든 학자는 급속한 인구 증가의 위험을 알리기 위해서 물 자원 수치를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 한국과 같이 최근 출산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물 부족의 심각성이 덜한 것이다.
물 부족이 인구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물 빈곤지수(WPI)'를 사용한다. 이 경우 한국은 147개국 중 43위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수자원량은 부족하지만 물 공급 시설 및 사회경제적 요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물이 부족하지 않다는 것이다. 최근 정부에서 발간한 문서에서도 물 부족 국가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 한 번 더 뒤집어 보자
국내의 수자원 현황이 심각한 상황이냐 아니면 낙관적인 상황이냐 하는 문제는 어떤 지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여름에 강수가 집중된다는 특성, 인구 증가에 따라 물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 등을 감안하면 물 자원이 부족해지고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개발론자들은 물 부족에 대비해 댐 건설과 지하수 개발과 같은 물 공급 정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환경 보호론자들은 대형 댐 건설 같은 환경파괴적인 물 공급 정책보다는 수요를 억제하고 물을 절약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어떤 방법이 옳은지는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물 자원은 어떤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제는 물 자원이 많다 적다의 논란에서 벗어나야 한다. 미래를 위해서 물은 보호되어야 할 자원이다.
최유진 청솔 아우름 통합논술 강사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에 관한 더 많은 자료와 해설은 이지논술 홈페이지(easynonsul.com)에 있습니다.
여름 한때에 몰리는 강수, 인구는 계속 느는데
물, 공급 확대가 먼저? 절약이 우선?
○ 생각의 시작
○ 뒤집어 보자
한국의 연강수량은 1283mm로 세계 평균(973mm)의 1.3배가 된다. 그럼에도 물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에서 사용한 수식 때문이다. 이 수식은 '1인당 이용할 수 있는 재생 가능 수자원의 양'을 기준으로 물 부족 현황을 분류하는데, 연평균 자연하천 유출량을 인구수로 나눈 값을 사용한다. 한국과 같이 하천 유출량에 비해 인구수가 많은 나라에서는 그 수가 작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공식을 만든 학자는 급속한 인구 증가의 위험을 알리기 위해서 물 자원 수치를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 한국과 같이 최근 출산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물 부족의 심각성이 덜한 것이다.
물 부족이 인구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물 빈곤지수(WPI)'를 사용한다. 이 경우 한국은 147개국 중 43위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수자원량은 부족하지만 물 공급 시설 및 사회경제적 요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물이 부족하지 않다는 것이다. 최근 정부에서 발간한 문서에서도 물 부족 국가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 한 번 더 뒤집어 보자
국내의 수자원 현황이 심각한 상황이냐 아니면 낙관적인 상황이냐 하는 문제는 어떤 지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여름에 강수가 집중된다는 특성, 인구 증가에 따라 물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 등을 감안하면 물 자원이 부족해지고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개발론자들은 물 부족에 대비해 댐 건설과 지하수 개발과 같은 물 공급 정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환경 보호론자들은 대형 댐 건설 같은 환경파괴적인 물 공급 정책보다는 수요를 억제하고 물을 절약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어떤 방법이 옳은지는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물 자원은 어떤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제는 물 자원이 많다 적다의 논란에서 벗어나야 한다. 미래를 위해서 물은 보호되어야 할 자원이다.
최유진 청솔 아우름 통합논술 강사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에 관한 더 많은 자료와 해설은 이지논술 홈페이지(easynonsul.com)에 있습니다.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영역 (2) 현대시 (0) | 2008.04.29 |
---|---|
[역사에서 논술의 길 찾기]윌슨의 민족자결주의 (0) | 2008.04.29 |
[理知논술/명화, 생각의 캔버스]‘모나리자의 초상화’ (0) | 2008.04.29 |
토플러가 말한 ‘비살상 전쟁’을 논하라 (0) | 2008.04.29 |
[한국일보-EBS 공동 논술기획] 과학지상주의의 문제점 (0) | 200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