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자료

[스크랩] [대입논술 가이드]고학력자 양산 학벌중시 사회

설경. 2007. 9. 3. 00:14
고교 졸업생의 8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는 대한민국. 세계 최고 수준이다. 약 20여 년 전에는 30%를 조금 넘긴 정도였으니, 대학 진학률이 수직 상승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달라진 것은 무엇일까. 대학교육의 수준이 높아졌을까, 아니면 실용성 있는 교육이 확대되었을까. 우리나라 몇몇 대학의 경쟁력이 과거에 비해 높아진 것도 사실이지만 이것은 진학률의 상승과는 관련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기업들은 대졸 신입사원들의 직무 적합성이 떨어진다고 아우성이니 실용교육 수준의 향상과도 별 상관이 없어 보인다. 늘어난 것은 고학력 실업자의 수효다. 고교 진학률이 거의 100%에 가깝고 그중 8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고 대다수가 대학을 졸업한다고 한다면, 대졸자 취업률이 낮아지는 까닭을 어렵지 않게 짐작해볼 수 있다.

삶의 현장에서 맞이하게 되는 직업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그 상당수는 대학 교육을 받지 않고 고교 수준의 학력만으로도 얼마든지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들이다. 그렇다고 누구나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전문성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 전문성이라는 것은 현장에서 오랜 기간 실무에 종사함으로써 획득된다. 대학에서 몇 년 동안 ‘고등교육’을 받고 난 후 취업을 하려는 사람은 같은 나이 또래로서 현장 실무경험이 있는 사람과 비교해서 전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진정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을 필요로 하는 직업은 한정되어 있다. 적나라하게 말해서 형식적으로 고등교육을 받았지만 실질적으로 고등교육을 충실하게 소화하지 못한 사람들은 갈 곳이 마뜩치 않는 것이 현실이다. 학력과 무관한 직업이라 할 수 있는 환경미화원 모집에 대졸 이상의 학력자가 몰려든다는 뉴스가 화젯거리로 등장하곤 하지만, 이는 노동 현장의 경쟁력(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대졸 이상의 학력자가 갈 수 있는 곳이 지극히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여실하게 증명해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대학 진학률이 이토록 높은 것일까.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밖에 달리 말할 길이 없다. 한 때 ‘먹고 대학생’이라는 말이 회자된 적이 있었다. 남들은, 정확히 말해 같은 또래들은 생산 현장에서 열심히 일하는 데 비해서 대학생들은 공부는 대충 하고 빈둥빈둥 놀면서 밥은 제때 찾아먹는 세태를 비꼬는 말이었다. 그러면서도 대학을 졸업하고 나면 다른 사람과 차별적으로 좋은 직업과 지위를 차지하는 게 현실이었다. 실력이 아니라 학벌의 위력이 실감되었던 것이다. ‘먹고 대학생’은 지금 젊은 세대들의 부모들에게 비꼼의 대상이자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부모 자신이 바로 그 ‘먹고 대학생’이었던 경우도 많을 것이다. 대학 진학률이 높은 까닭을 복합적이라고 했지만 가장 큰 요인은 아마도 바로 이런 까닭 즉 학벌이 많은 이득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믿음에 있다고 단언할 수 있다. 과거 학벌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사람의 사람됨이나 가치와 직접 연관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고졸’ 대통령이 두 명 있었는데, 어느 야당 의원은 현직 대통령을 비난하면서 그의 고졸 학력을 거론한 적도 있다. 사정이 이러하니 학벌에 대한 집착이 예사로운 일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최근 학벌을 위조하거나 속이는 사례가 속속 뉴스거리가 되고 있다. 학벌 위조를 범죄적으로 악용한 경우도 있지만, 학벌 중시의 사회풍조 때문에 엉겹결에 학벌을 속인 사례도 눈에 띈다. 대통령마저 고졸 학력이라는 이유로 비아냥되는 시대에 보통 사람들의 학벌에 대한 콤플렉스는 얼마나 클까. 박사학위를 가진 교수가 논문을 표절하는 행위는 관행이라는 이유로 눈감아주면서도 학력을 ‘비범죄적으로’ 속이는 행위는 ‘범죄적으로’ 단죄되는 현실, 이런 현실이 고학력 과잉을 초래하고 있다. 학력으로 그 사람의 인격이나 가치를 평가하는 시선이 존재하는 한, 무능력한(전문성 없는) 고학력자의 양산은 계속될 것이고, 그 틈에서 학력을 위조하려는 사람은 생겨날 수밖에 없다. 평생 교육의 시대에 나이 들어서도 공부를 계속하려는 자세는 바람직하지만, 단지 학벌 쌓기 풍조에 휩쓸려 무능력한 고학력자의 길에 들어서는 것은 그런 풍조를 애써 바꿈으로써 해결해야 한다.

1.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이 세계 최고인 까닭을 논의해보라.

2. 환경 미화원 모집에 대졸자가 몰리는 까닭을 분석해보라.

3. 학벌 위조 사례를 들어 왜 그러했는지를 논의해보라.

〈최윤재/서울디지털대학 문창학부 교수·한국논리논술연구소장 (klogica@hanmail.net)〉

출처 : 별먹는 빛
글쓴이 : 설경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