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람사르 습지'로 공식등록된 전남 무안군 해제면 일대 갯벌 모습. / 조선일보 DB |
■람사르 협약 당사국 총회 개최
10월 28일부터 11월 4일까지 경남 창원에서 2008년 람사르 협약 당사국 총회가 개최됐다. 1993년 일본 쿠시로 총회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 번째로 열렸다.
'건강한 습지, 건강한 인간'이라는 주제 하에서 습지와 관련된 다양한 의제가 다뤄졌다. 우리나라와 일본은 공동으로 '습지 시스템으로서 논의 생물 다양성 증진에 관한 결의안'을 제출하면서 습지로서 논이 가진 가치를 강조했다. 람사르 협약은 '물새의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으로 1971년 이란의 람사르에서 모임이 시작됐다. 우리나라는 1997년에 가입했고, 오대산 용늪을 처음으로 창녕 우포늪, 세계5대 갯벌 습지인 순천만, 제주도 물장오리 습지 등 11개가 등록됐다.
■습지의 가치
습지(濕地, wetland)는 나라마다 정의가 다르지만 대부분은 람사르 협약에서 정의하는 기준을 따른다. 호수, 하천, 밀물 때 수심 6m이하 갯벌을 비롯해 넓은 의미에서 양식장, 해안, 논까지도 포함해 자연적인 습지만이 아니라 인공적인 습지도 포함된다. 습지의 가치에 대한 관심은 최근에 증가하고 있고 생태학적, 수리학적, 경제적, 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첫째, 생태학적 가치로 각종 야생 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을 보호한다.내륙 습지의 식물들은 물의 흐름을 지연시켜 홍수를 막아주고, 연안 습지에서는 갯벌이 해일이나 태풍의 위력을 약화시켜 준다. 대기 중으로 탄소 유입을 차단해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양을 조절한다.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 최적의 생존 터전을 마련한다. 습지는 질소와 인을 축적해 수질을 개선하고, 습지 저층을 통해 지하수층으로 물을 보내는 과정에서 오염원을 여과시키기 때문에 '자연의 콩팥'으로 불린다.
둘째, 물의 순환을 중심으로 다루는 수리학적(水理學的) 가치가 뛰어나다. 우기나 가뭄의 피해를 막는 댐의 역할을 한다. 습지 토양은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나 수분을 적절히 조절해 토양 침식을 방지한다. 지하수층으로 유입된 물은 생활·농업·공업용수로 이용된다. 연안에서는 염수의 유입을 막는 역할도 한다.
![]() |
강방식 동북고 교사 EBS 사고와 논술 강사 |
넷째, 미학적 가치로 문화적인 존재로서 인간의 삶을 풍족하게 해준다. 갈대밭 풍경은 한 폭의 그림이다. 철새들의 모습을 찍기 위해 사진작가들이 몰려드는 것도 미적 가치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습지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찌든 마음을 여유롭게 만들어준다. 멸종 위기의 다양한 동식물들을 관찰하고 기록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아 교육적 가치도 높다.
■람사르 협약과 관련된 국제 환경 협약
서식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물새를 보호하기 위한 관심에서 모임이 시작됐으나, 물새의 주요 서식지인 습지를 전반적으로 보호하는 방향으로 람사르 협약이 체결됐다. 이어 1972년에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WHC), 1973년에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1979년에 '이동성 야생 동물 실전 협약'(CMS)이 체결됐다. 위 4개의 협약은 야생 동식물 보호를 위한 국제 환경 협약으로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세부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역할을 했다. 1992년에는 생물 다양성 보호를 위한 포괄적 협약으로 발전해 '생물 다양성 협약'(CBD)이 체결됐다. 이외에도 람사르 협약은 각종 국제기구와 연대한다.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MAB), 건조 지역에서 습지의 중요성을 논하는 '사막화 방지 협약'(CCD), 습지의 기후 조절 역할에 관심을 가지는'기후 변화 협약'(UNFCCC), 습지에서 생산되는 산물과 혜택에 대한 무역과 투자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UN 무역 및 개발회의'(UNCTAD)가 있다.
■람사르 총회 개최의 의의
습지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은 매우 낮은 편이다. 각종 환경체험프로그램을 통해 환경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선진적인 환경 의식이 함양될 것이다. 중국이나 일본 등 주변국들과의 양자 간 철새보호협정을 체결하고 동북아 철새보호협약을 공동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우포늪이나 순천만 갈대밭은 생태 관광지로 경제적 부수입을 올리고 있다. 21세기는 환경의 세기로 환경 우수 국가·도시 이미지가 생기면 국제 인식도가 달라진다.
이번 총회를 개최로 인간, 동물, 무기물이 얼마나 상호 의존적인지를 깨닫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반면에 환경 관련 국제회의를 준비하면서 단기적인 수익을 올리는 것에만 신경을 써서 오히려 환경을 파괴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은 현명한 이용(wise use)이 아니다.
8회 람사르 총회에서 비난받았던 새만금 간척 사업으로 도요·물떼세 74%가 줄었다는 조류보호단체의 보고서는 습지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강방식 동북고 교사 EBS 사고와 논술 강사]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와 논술] 美 대선 유세 유쾌하게 풍자 '왝 더 독(Wag The Dog)' (0) | 2008.11.06 |
---|---|
[시사 키워드] 고리이론 (0) | 2008.11.06 |
세계관을 바꿀 것인가 기술로 극복할 것인가 (0) | 2008.11.03 |
18. 선택 및 근거 제시/선택한 관점의 근거·한계를 지적하라 (0) | 2008.11.03 |
우리말 논술/18. 선택 및 근거 제시 (0) | 200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