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고,자사고

2009 장영실과학고 입시를 분석해보니

설경. 2008. 12. 25. 18:21

[중앙일보 프리미엄 김관종 기자] 장영실과학고 2009학년도 전체 입시 경쟁률은 평균 4.5대 1을 기록했다. 전형별로는 특별전형 학교장 추천제에 46명이 지원해 3.8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각종 대회입상자에 55명이 지원해 4.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254명이 지원한 일반전형은 5.9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난해(2008학년도)보다 낮아진 경쟁률은 내신 강화에 따른 학생들의 부담과 특목고 선택의 폭이 좀 더 넓어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별전형

학교장추천제에서는 내신 1.1∼1.2%의 합격선을 보였다. 2010학년도 입시에도 학교장추천제의 안정권은 내신 1% 이내로 잡아야 할 것 같다. 각종 대회입상자전형에서는 올림피아드 금상을 받아야 합격선에 놓일 수가 있다. 물론 금상 입상자 내에서도 내신을 산출해야 할 것 같다. 2010학년도 입학전형에 변화가 있더라도 대회입상자전형은 올림피아드 금상 이상은 받아둬야 한다.

■일반전형

1차 전형에서 내신 5배수에서 3배수로 바뀌었다. 내신이 약한 학생들이 가장 우려했던 부분이다. 지난해 5배수에서 7∼8%의 합격선이 올해는 5% 내에서 결정됐다. 지원 학생들을 보면 200점(내신)+5점(수상실적)을 합한 205점에서 191.2점은 떨어지고 191.8이 합격한 것을 볼 때 약 191.5점은 돼야 합격 가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2차 전형에서는 지난해 2, 3차(기초구술+창의력)가 올해는 2차(창의력)로 통합되면서 문제유형에 많은 관심을 모여졌다. 과목별 시험을 보면 오전 과학실험보고서 시험에서 과목별 2문제(각 4.5점) 36점 만점에 1시간 시험을 치렀고, 수학 창의력검사 10문항 40점 만점, 과학 창의구술검사 과목별 2문제(각 3점) 24점 만점에 50분간 시험을 치렀다. 1, 2차 합산에서 243.8점으로 예상되는 학생이 합격한 것을 보면 2차 100점 만점에서는 50점 이상이면 합격선을 예상할 수 있다.

■문제 분석

▶수학

10문항에 1시간이 주어졌다. 장영실과학고의 입시설명회에서 발표한 대로 2008학년도의 2, 3차 유형이 혼합된 형태로 출제됐다. 예년에 비해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문항의 경우 높은 수준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됐다. 경시문제·수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면서문제의 폭을 넓게 가졌던 학생들이 유리했을 것 같다. 모든 문제를 풀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있는 문제를 하나하나 풀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약배수 문제를 비롯해 초등학교 때 많이 접했을 시계문제를 재탄생시킨 문제, 함수의 정의에서부터 추이성을 끌어낼 수있는지를 보는 문제, 8각형에서 원주각을 이용해 대각선 길이를 각 변의 길이로 표현하는 방법을 묻는 문제, 2차방정식에서 나온 식에서 정수관계를 물어보는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출제됐다.

▶과학

◆물리

기본적으로 사고력을 구하는 문제로 구성됐다. 범위는 중등과정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중등과정과 연계된 고등영역의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가 창의성검사와 실험보고서에 고르게 출제됐다.

◆화학 

출제범위가 중등과정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출제된 문제유형은 기본적으로 고등심화영역을 학습한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다수 출제됐다. 실험보고서 문제는 창의사고력 문제보다는 쉽게 출제돼 변별력이 없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그래프를 그리고, 이유를 설명하는 문제여서 개념이 정확하게 잡히지 않은 학생은 다소 힘들었을 수 있다.

◆생물

2008학년도 출제경향은 중등생물과 생물Ⅰ영역의 공통범위에서만 출제됐으나, 2009학년도에는 중등범위를 포함한 생물ⅠⅡ 영역의 심화과정까지 폭이 넓어졌다. 고등과정을 준비한 학생들에게는 조금만 생각하면 정답을 유추할 수 있었지만, 중등영역까지 공부한 학생들은 많이 까다로웠을 것 같다. 실험보고서의 경우 생물은 매년 가설설정 및 탐구설정의 문제가 출제됐으나, 올해는 문제 형태가 조금 변형돼 탐구실험을 직접 설계하는 유형의 문제가 출제됐다. 모범답안과 비교해 학생들의 답안에서는 부분적으로 감점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합격생이 15점 만점에 6∼7점 정도 점수를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과학

지구과학은 중등과정에 포함돼 있는 개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됐으나, 창의성 검사 문항의 경우 배점이 높은 문제들은 보기를 여러개 주고 적절한 답안을 모두 선택하도록 해 난이도를 높였다. 실험보고서의 달의 그림자에서 위치에 따른 일식 상황에 관한 문제는 평소 현상을 이해하지 않고 암기위주로 공부한 학생들의 경우 일부는 접근할 수 있지만 전체를 맞추기는 어려운 형태로 구성됐다. 지구과학을 소홀히 공부한 경우 5점 정도를 받기도 힘들어 보인다. 합격생은 대략 5∼7점 정도 받았을 것 으로 추정된다.

[ⓒ 중앙일보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