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자료

24. 평가/‘대안교과서’의 역사인식과 영향

설경. 2008. 12. 25. 18:42

[한겨레] 우리말 논술

유형별 논술 교과서 / 24. 평가

관련논제 해결하기 [난이도 수준-고2~고3]

■ 기출유형 1 (기준 선택형)

다음 제시문 (가) 또는 (나)에서 제시한 내용을 취사선택하여 제시문 (다)의 논지를 평가하시오. (400~500자)


(가) 역사적 사실과 역사가의 관계에 대한 입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랑케(Ranke, L.V.) :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과거가 본래 어떠하였는가를 밝히는 것을 그의 지상 과제로 삼아야 하고, 이때 오직 역사적 사실로 하여금 이야기하게 해야 한다.’ 즉, 역사가는 사실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으며, 역사가가 과거의 역사를 연구할 때는 역사적 사실을 입증해 줄 자료인 사료(史料)에 대한 엄격한 고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 콜링우드(Colling, R.G.) : ‘역사가가 연구하는 과거는 죽은 과거가 아니라, 어느 의미에서는 아직도 현재 속에 살아 있는 과거이다. 그러나 과거의 행위는 역사가가 그 밑에 깔린 사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한 그에게 있어 죽은 것, 곧 무의미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모든 역사는 사상의 역사’이며, 또한 ‘역사는 역사가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역사 사상을 그의 마음속에 재현하는 것’이다. 역사가의 마음속에서 행해지는 과거의 재구성은 경험적인 증거에 의거한다. 그러나 재구성 그 자체는 경험적 과정이 아니며, 또한 사실의 단순한 나열이 아니다. 오히려 재구성 과정은 사실의 선택 및 해석을 지배하는 것이며, 바로 이것이야말로 사실을 역사적 사실로 만드는 것이다.’

3. 카(Carr, E.H) : 역사가는 잠정적인 사실 선택과 그러한 선택을 이끌어 줄 잠정적인 해석 두 가지를 가지고 일을 시작한다. 일의 진행에 따라서 해석이나 사실의 선택 및 정리는 다 같이 상호 작용을 통하여 미묘한, 어쩌면 반쯤은 무의식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역사가는 현재의 한 부분이고, 사실이란 과거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이 상호 작용에는 과거와 현재의 상호 관계가 아울러 내포된다. 역사가와 사실은 서로를 필요로 한다. 사실을 갖지 못한 역사가는 뿌리가 없는 존재로 열매를 맺지 못하고, 역사가가 없는 사실은 생명이 없는 무의미한 존재이다.

이리하여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나의 최초의 대답은 결국 다음과 같은 것이 된다.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부단한 상호 작용의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나) 수업의 내용과 방법 결정에 교과서가 얼마나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은 교사들이 수업 운용에서 얼마나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는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교육 내용의 선정이나 교수 방법의 선택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자유스럽고 다양한 미국에서도 초등학교 읽기 지도의 내용과 방법의 75~90%가 소위 기초 프로그램(basal program)이라는 교재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실정은 마찬가지이다. 초등학교 국어와 산수 수업에 대한 교사 상대의 설문 조사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10번의 수업 중 3번 정도도 교과서 이외의 자료를 활용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고 있다. 이같은 교과서 의존도는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이르면 더욱 높아질 것이 분명하다. 교사들의 교과서 의존도가 이렇게 높기 때문에 교과서를 펼쳐보면 지금 학교에서 무슨 내용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교과서는 교육의 내용과 교육의 방법을 보여주는 실질적인 교육 백서가 된다. 그래서 우리는 좋은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 (중략)

학습내용 제공의 기능이라는 교과서의 기능을 세분해 보면 먼저, 교육과정의 전개 자료로서 교과서는 각과 교육과정의 학문성을 여실히 반영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국어 교과서는 국어교육이라는 학문 분야의 최근의 내용과 경향을 반영하여야 한다. 가령 국어교육의 학문성을 국어학이나 국문학의 교육에서 찾는다면 국어 교과서는 이러한 분야의 지식들을 제대로 반영하여야 하고, 국어교육의 학문성을 언어적 표현과 이해에서 찾는다면 국어 교과서는 이런 내용을 반영하여야 한다. 교과교육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성을 띤다면 교과서도 그런 학문성을 보여 주어야 한다. (후략)

- 노명완(고려대 교수), ‘교과서 제도와 개발과정의 문제’

(다) 올해 3월 말에 출간된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는 오늘날 한국인의 삶을 규정하고 있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라는 물음으로 시작하고 있다. 그에 대해 대안교과서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기초가 되는 자유, 인권, 사유재산 등의 가치는 개항 이후 바깥 세계에서 들어온 것이며, 대한민국은 이 새로운 문명을 수용한 정치세력이 세운 나라라는 관점을 취하고 있다. 이 나라가 지난 60년간 큰 성취를 이룬 것은 건국의 이념과 방향이 정당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대안교과서의 기본 줄거리는 현행 교과서와 많이 다르다. 현행 교과서는 자유, 인권 등의 가치는 원래 우리 역사에 있었거나 생겨나고 있던 것들로서 제국주의의 침입으로 그 발전이 억눌렸다고 본다. 대한민국을 세움에 공로가 컸던 정치세력에 대해서도 대체로 같은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역사관이 많이 달라서 그런지, 대안교과서는 출간 이후 지금까지 거의 매일 비방의 대상이 되어 왔다. 시해당하기 이전의 민비를 ‘민왕후’라 한 것은 그녀를 존숭하기 위한 의도였다. 그런데도 명성황후라고 하지 않았다고 한국을 대표하는 중앙 언론지의 사설까지 비난을 퍼부었다. 그 남편이 아직 왕인데 어찌 그 부인을 황후라고 칭할 수 있는가.

대안교과서는 1948년 제주도 4·3사건을 ‘좌파세력의 반란’으로 범주화하였다. 그것은 현행 교과서가 4·3 사건을 두고 단독정부 수립의 반대와 미군의 철수를 위해 제주도의 공산주의자와 일부 주민이 무장봉기하여 관공서와 파출소를 습격했다고 쓰고 있음을 참고한 것이었다. 그 진압 과정에서 숱한 인명 피해가 있었음에 대해선 오히려 현행 교과서 이상으로 자세하게 소개하였다. 그런데 제주4·3연구소는 우리가 역사를 왜곡했다고 비난하였다. -이영훈 교과서포럼 공동대표 <동아일보> 2008년 6월5일치

※ 관련 논제에 대해 글을 써 보낼 분들은 아하 한겨레 온라인 사이트(www.ahahan.co.kr)에 올려주세요. 수준에 따라 글쓰기 지도를 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