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로시티 국제연맹이 슬로시티 지정을 추진하는 전라남도 4개 지역(완도군, 신안군, 장흥군, 담양군)을 실사하기 위하여 한국을 방문했다. 1999년에 이탈리아에서 출발한 슬로시티 운동은 영국, 독일,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 유럽을 중심으로 소리 없이 번지고 있다. 일본에서 슬로시티 선정에 도전했지만 실패했다. 이번에 우리나라가 성공한다면 아시아 최초의 선정이다. 슬로시티로 거듭나면 국제적인 지역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게 되어 전통과 자연 친화적 삶을 중시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이 찾을 것이고, 지역 주민들은 질 높은 삶을 성취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화와 세계화를 꿈꾸는 국민들의 의식 전환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슬로시티 운동의 시작
1986년 맥도날드가 로마에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기 위해 시작된 슬로푸드 운동은 현대 문명 속에서 사라지는 전통의 맛을 살려낸다. 느림의 철학으로 색칠된 음식을 먹는 와중에 소외된 관계가 따뜻한 인간미가 넘치는 관계로 변화한다.
음식 문화를 통해 사회 구조를 변혁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도시의 삶 전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자 슬로시티 운동이 시작됐다. 슬로시티에 선정되려면 인구는 5만 이하를 유지하고 대체 에너지 등 환경 친화적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자전거 길을 만들고 나무를 곳곳에 심어야 한다.
첨단화와 편리한 삶을 거부하고 전통을 보존하며 지역 주민이 중심이 되어 생태주의를 실천해야 한다. 도시의 경제적 측면보다 사회 문화적 측면을 강조한 운동으로 100미터를 달리는 육상선수보다 달팽이 속도로 느릿느릿 걷는 한가한 삶을 사랑한다.
슬로시티를 꿈꾸는 책들
피에르 쌍소의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가 몇 년 전에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현대인들이 미루기만 했던 삶의 양식을 새롭게 조명했다. 한가롭게 거닐기, 듣기, 권태롭기, 꿈꾸기, 기다리기, 마음의 고향을 찾기, 글쓰기 등 무한 속도 경쟁의 디지털 시대보다 여유로운 아날로그적 삶을 추구한다.
‘호모 루덴스’를 쓴 호이징가는 놀 권리를 찾아야만 창의적 삶이 가능하다고 본다. 헬레나 노르베리-호지가 쓴 ‘오래된 미래’에는 서구화되지 않은 전통적 삶을 추구하는 라다크의 삶이 미래의 대안이라고 제시한다.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은 ‘게으름에 대한 찬양’에서 하루 4시간 노동으로 실업자를 없애고, 나머지 시간은 여가를 즐기면서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폴 라파르그는 ‘게으르게 살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한다. 노동이 신성한 것이라는 직업윤리는 자본주의 논리이고, 노동자들은 그러한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라고 지적한다. 슬로시티 운동은 자기 성찰의 태도에서 출발하여 추구하는 정도에 따라 문명과 체제 자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 등, 생각의 스펙트럼이 꽤 넓다.
슬로시티 운동이 주는 사회학적 의미
기계·기술 문명이 꿈꾸던 장밋빛 미래가 허황됐음을 챨리 채플린은 ‘모던타임즈’에서 코믹하게 전했다. ‘도덕’ 교과서에서는 인간의 욕구와 관심사가 단순히 양적이고 물질적인 것을 넘어서 ‘삶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로 변화하는 것을 조용한 혁명이라고 표현했다.
몇 년 전부터 한국 사회를 물들인 웰빙 문화는 개인적 차원의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것에 반해서, 슬로시티 운동은 사회적 건강을 추구하는 로하스족(LOHAS)에 가깝다. 효율성과 합리성을 추구하는 개발보다는 인간다움과 달콤한 인생을 즐기는 지속가능한 삶을 지향한다. 경쟁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세계화 시대가 미국이 주도하는 것으로 진단한다면 슬로시티 운동은 미국화를 반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004년에 실시된 서울대학교 모의논술고사에서는 기계 문명이 경제 체제와 시·공간 구조, 그리고 인간의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양식을 변화시키는데 그 의미에 대해 성찰할 것을 요구했다. 반성의 결과 찾은 대안 중의 하나가 슬로시티 운동이다.
[강방식 동북고 교사·EBS 사고와 논술 강사 ]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려라!논술] 영역별로 짚어 보는 학력 중시 사회 (0) | 2007.09.20 |
---|---|
[고전은논술의힘]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 (0) | 2007.09.20 |
[대입논술 가이드]범죄자의 인권은 무시해도 되나 (0) | 2007.09.19 |
[통합논술A to Z]상상력 세상을 바라보는 자기만의 틀 (0) | 2007.09.18 |
통합논술 교과서/ 이혼율 ‘그때 그때 달라요’, 왜 그럴까 (0) | 2007.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