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2학기 수시면접 어떤식으로
【Q】 2학기 수시를 모집하는 학교 중에 면접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이 많습니다. 10월 중에 실시하는 주요 대학별 면접고사 일정과 대비법을 알고 싶습니다.
인문계 인문학 소양 중점평가… 영어제시문 주기도
자연계 수학-과학 위주 실생활 응용문제 많이 나와
【A】 고려대는 수시 2-1의 과학영재 전형에서 2단계 심층면접을 10월 19일 실시합니다. 연세대는 수시 2-1 글로벌리더, 특기자, 조기졸업자 전형 등에서 1단계 전형에서 통과한 면접구술 대상자에 한해 10월 18일 심층면접구술을 실시합니다.
국민대는 교과성적우수자, 북악리더십 특별전형에서 자연계, 예체능계는 10월 25일, 인문계는 26일 면접고사를 각각 실시합니다. 단국대는 수시 2-1 일반전형에서 자연계열은 10월 11∼13일, 인문계열은 10월 18∼21일에 면접을 실시합니다. 홍익대는 교과성적우수자 전형의 자연계열에서 10월 11∼12일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합니다.
구술면접고사는 수험생의 태도, 가치관, 인성 등을 평가하는 기본소양평가와 전공수학능력이나 학업적성을 알아보는 전공적성평가(심층면접)로 구분됩니다. 구술면접고사는 계열별로 출제되는 논술고사와 달리 모집단위별 특징에 맞춰 출제되는 경향이므로 지원 대학별로 전공학부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유형의 문제가 출제됩니다.
인문계열은 인간의 지적 활동과 연관된 인문학적 소양에 대한 질문이 주로 나옵니다. 대학에 따라 영어 제시문을 주고 요지를 정리해 말하도록 요구하거나, 지문의 논지에 대한 견해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상경계열은 한미 FTA, 남북 경제교류와 협력, 수도권 과밀화, 환경오염, 기업 환경이나 기업 윤리 등에 관한 문제와 교과서에 나오는 지식을 현실 경제에 응용하는 문제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연계열은 전공 특성상 수학·과학 문제가 많습니다. 수학에서는 주로 지수, 로그, 삼각함수, 미적분, 벡터, 확률 등의 기본 개념을 특정한 상황에 적용하거나 응용하는 수리탐구형 문항 등이 나옵니다. 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과 지식의 이해와 응용력을 평가하는 문제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시사 이슈와 관련 있는 문제 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교육·사범 계열은 기본소양으로는 교사로서의 소질을 평가하기 위해 교육관이나 가치관을 묻는 문제가, 전공 적성 평가로는 전공 관련 기본 개념이나 지식을 묻거나 교육에 관련된 시사 문제들이 출제되는 편입니다. 의학계열은 기본소양에서는 직업 가치관과 의사로서의 인성에 대한 문제가, 심층면접에서는 수학·과학 교과와 관련한 심층면접 문제가 나오는 추세입니다.
청솔학원평가연구소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학기 수시면접 어떤식으로
【Q】 2학기 수시를 모집하는 학교 중에 면접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이 많습니다. 10월 중에 실시하는 주요 대학별 면접고사 일정과 대비법을 알고 싶습니다.
인문계 인문학 소양 중점평가… 영어제시문 주기도
자연계 수학-과학 위주 실생활 응용문제 많이 나와
【A】 고려대는 수시 2-1의 과학영재 전형에서 2단계 심층면접을 10월 19일 실시합니다. 연세대는 수시 2-1 글로벌리더, 특기자, 조기졸업자 전형 등에서 1단계 전형에서 통과한 면접구술 대상자에 한해 10월 18일 심층면접구술을 실시합니다.
국민대는 교과성적우수자, 북악리더십 특별전형에서 자연계, 예체능계는 10월 25일, 인문계는 26일 면접고사를 각각 실시합니다. 단국대는 수시 2-1 일반전형에서 자연계열은 10월 11∼13일, 인문계열은 10월 18∼21일에 면접을 실시합니다. 홍익대는 교과성적우수자 전형의 자연계열에서 10월 11∼12일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합니다.
구술면접고사는 수험생의 태도, 가치관, 인성 등을 평가하는 기본소양평가와 전공수학능력이나 학업적성을 알아보는 전공적성평가(심층면접)로 구분됩니다. 구술면접고사는 계열별로 출제되는 논술고사와 달리 모집단위별 특징에 맞춰 출제되는 경향이므로 지원 대학별로 전공학부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유형의 문제가 출제됩니다.
인문계열은 인간의 지적 활동과 연관된 인문학적 소양에 대한 질문이 주로 나옵니다. 대학에 따라 영어 제시문을 주고 요지를 정리해 말하도록 요구하거나, 지문의 논지에 대한 견해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상경계열은 한미 FTA, 남북 경제교류와 협력, 수도권 과밀화, 환경오염, 기업 환경이나 기업 윤리 등에 관한 문제와 교과서에 나오는 지식을 현실 경제에 응용하는 문제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연계열은 전공 특성상 수학·과학 문제가 많습니다. 수학에서는 주로 지수, 로그, 삼각함수, 미적분, 벡터, 확률 등의 기본 개념을 특정한 상황에 적용하거나 응용하는 수리탐구형 문항 등이 나옵니다. 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과 지식의 이해와 응용력을 평가하는 문제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시사 이슈와 관련 있는 문제 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교육·사범 계열은 기본소양으로는 교사로서의 소질을 평가하기 위해 교육관이나 가치관을 묻는 문제가, 전공 적성 평가로는 전공 관련 기본 개념이나 지식을 묻거나 교육에 관련된 시사 문제들이 출제되는 편입니다. 의학계열은 기본소양에서는 직업 가치관과 의사로서의 인성에 대한 문제가, 심층면접에서는 수학·과학 교과와 관련한 심층면접 문제가 나오는 추세입니다.
청솔학원평가연구소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8~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술 파이널 전략/ 서강대 논술고사 경제ㆍ철학등 다양한 지문 비교ㆍ분석 (0) | 2008.09.29 |
---|---|
D-45… 점수 업그레이드 네가지 비결 (0) | 2008.09.29 |
수능 모의평가 취약 영역 파악해 대비해야 (0) | 2008.09.26 |
올해 수능, 쏠림 심한 '수리 나형' 난이도 높아질 듯 (0) | 2008.09.26 |
9월모의수능 선택과목간 점수차 여전 (0) | 2008.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