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술 창의력 오해와 진실
남과 다른 기발한 생각?
심층-다각-독창적 생각!
지난 회에는 좋은 논술문을 작성하려면 각 대학의 출제의도 및 평가 사항부터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대학이 논술문을 채점하면서 가장 중요시하는 점은 무엇일까요?
자세한 평가항목 및 기준은 대학별로 다양합니다. 서울대는 논술 평가항목으로 △이해·분석력 △논증력 △창의력 △표현력 등을 정해두었습니다. 연세대는 △독해력 △논리적 분석력 △독창적 사고력 △표현력 등을 평가합니다. 이들 평가항목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창의력입니다. 서울대의 경우 창의력 항목이 40%로 비중이 가장 높고, 고려대도 ‘단편적 지식을 종합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발전시키는 창의적 능력의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논술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인 ‘창의력’, 또는 ‘독창적 사고력’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 많은 학생이 창의력이라고 하면 ‘다른 사람이 생각하지 않은 기발하고 독창적인 생각’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틀린 것은 아니지만 기발하고 독창적인 생각이 창의력의 전부는 아닙니다. 그러면 논술에 있어서 ‘창의력’이란 과연 무엇을 뜻하는지 서울대가 제시한 기준을 보며 함께 생각해봅시다.
「창의력 (40점)
▣ 심층적인 논의 전개
- 본인의 주장이나 논거에 대해 스스로 가능한 반론들의 고려
- 본인의 논의가 지니는 더 나아간 함축이나 귀결들에 대해 고려
-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맥락이나 배경 상황에 대한 적절한 고려
- 묵시적인 가정이나 생략된 전제에 대한 더 나아간 고찰
▣ 다각적인 논의 전개
- 발상이나 관점 전환을 시도
- 가능한 대안들에 대한 고려
- 여러 개념들의 종합
- 암묵적으로 가정된 전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독창적인 논의 전개
- 주장이나 논거의 새로움
- 문제를 통찰함에 있어 특이함
- 관점이나 논의 지평의 참신함」
‘창의력’에는 ‘독창적인 논의 전개’ 외에도 ‘심층적인 논의 전개’, ‘다각적인 논의 전개’가 모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먼저 ‘독창적인 논의 전개’에 대해 살펴볼까요? 독창적인 논의 전개에는 △주장이나 논거의 새로움 △문제를 통찰함에 있어서의 특이함 △관점이나 논의 지평의 참신함의 세 가지가 포함됩니다. 주장이 새로운 느낌을 주려면 주장과 관련된 절충적인 입장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분명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논거로 새로운 느낌을 주려면 제시문 속에서 논거를 찾되, 제시문 밖의 배경 지식을 충분히 이용해 양자를 연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는 제시문 속에서뿐만 아니라 제시문 밖에서도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때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일어난 일 가운데 전형적이고 대표적인 예를 찾아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를 통찰하는 것이 특이하다는 것은 다른 학생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문제를 고찰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서강대의 2002학년도 논술 문제를 한 번 살펴볼까요. “다음 제시문들은 ‘쾌락’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을 보이고 있다. 제시문 [가]를 긍정적 논거로 활용하여 ‘쾌락’의 의미에 대해 논술하라”라는 문제가 출제됐습니다. 이 문제의 출제 의도는 인간의 삶 속에서 쾌락의 의미가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성찰해보자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쾌락’ 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나요? 그리고 ‘쾌락’이라고 하면 긍정적인 생각이 먼저 떠오릅니까, 아니면 부정적인 생각이 먼저 떠오릅니까? ‘쾌락’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성적 쾌락, 마약’ 등을 떠올리며, 부정적인 느낌을 먼저 갖습니다. 그러나 틀에 박힌 생각을 뒤집어 보는 데 이 문제의 출제의도가 있었던 것입니다. 일반적이고 상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문제를 새롭게 고찰하는 시각이 바로 창의력입니다.
관점이나 논의 지평에서 참신한 느낌을 주려면 고정된 관점에서 벗어나 참신한 시각을 보여줘야 합니다. 연세대는 2006학년도 논술 문제로, ‘제시문 속에 보이는 불안의 생산성, 항존성이 어떻게 사회 문화의 역동성으로 작동하는가’를 물었습니다. ‘불안’ 하면 일반인들은 사회를 해체하는 병리 현상, 끊임없는 욕구와 결핍, 경쟁과 강박 등 부정적인 요소를 떠올립니다. 그러나 불안은 역사 속에서 문명을 진보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하는 등 개인이나 역사의 변동을 불러오는 역동적 에너지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입니다. 인간이 환경을 변형시키고, 새로운 욕구를 가지고 도전하게 하는 촉매로 작용했다는 뜻이지요. 이렇게 고전적 관점에서 벗어나 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것이 창의력입니다.
박진열 ㈜엘림에듀 집필위원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해차이의 이유와 타당성을 탐구하라 (0) | 2008.10.21 |
---|---|
우리말 논술 16. 비판하기 (0) | 2008.10.21 |
[논술通 테마筒]‘인문학’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길은? (0) | 2008.10.21 |
[문학숲 논술꽃]제도의 두 얼굴 (0) | 2008.10.21 |
[명화, 생각의 캔버스]붓과 캔버스=만국언어 (0) | 2008.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