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우리말 논술
유형별 논술교과서 /
21. 견해 제시
22. 해결방안 제시
유형1-공통 문제 해결
유형2- 사례별 문제 해결
23. 단계별 답안 제시
■ 유형의 이해
해결 방안을 제시하라는 유형은 제시된 자료를 통해 문제 상황을 드러내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자료는 글이 대부분이나, 그림이나 도표 등을 내주는 경우도 있다. 자료의 내용은 현재 상황을 여러 측면에서 보여주는 공시적 접근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황의 변화를 보여주는 통시적 접근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유형에서 논점은 곧 문제점이 된다. 문제점은 개인의 삶에서 겪게 되는 가치 판단 문제, 집단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문제, 개인과 집단 사이에 형성되는 권력의 비대칭 문제, 개인-개인, 개인-집단, 집단-집단 사이의 이해관계에서 비롯한 문제 등 다양하다.
이 유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 인식, 현상의 제시, 문제 원인 분석, 해결 방안 제시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는 제시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자료에는 문제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이 분리되지 않은 채 얽혀 있는 경우도 있는데, 그중 원인에 해당하는 것을 정확히 추출해야 한다.
현실에서 문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현상을 제시하는 것은 읽은 이의 관심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답안 분량이 길지 않은 경우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간결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 이 유형이 왜 중요한가
논술은 그 자체가 문제 해결 과정이다. 논제에서는 개인이 살아가는 가운데 집단 안에서, 혹은 집단과 집단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이 제시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인간의 삶은 개선되어 가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출발점은 자신이 맞닥뜨린 상황이 문제임을 깨닫는 데 있다. 살아가는 데 아무런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그 사람에게는 해결할 과제도 없을 것이다. 이런 삶은 역동성을 상실해 정체할 수밖에 없다.
인간은 끊임없이 기존의 것을 변형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해 자신과 환경을 변화해가는 존재이다. 만약 이런 작업이 중단된다면 인간 삶의 다양성은 상실될 것이고, 인류의 존속 또한 위협받게 될 것이다. 이 모든 변화와 창조의 밑바닥에 문제의식이 자리잡고 있다.
문제를 인식한 후 그것의 해결책을 강구하는 것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더 나은 대안, 더 나은 미래를 추구하는 과정이다. 이는 인간의 삶을 변화·발전하도록 하는 원동력이다. 이 점에서 해결 방안을 제시하라는 논제는 자신의 삶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최적의 방법으로 그것을 해결하려는 적극적 시도를 촉구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 어떻게 해결할까
(1)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제시문을 통해 파악하고, 그 상황을 적절한 범주의 개념어로 표현해야 한다. 단순히 제시문에 나와 있는 상황을 요약·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상황이 함축하고 있는 것, 상황에서 추론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다.
(2)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타인이 신뢰할 만한 지식과 정보에 근거해 제시해야 한다. 제시문에 해결 방안이 암시돼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해결책을 제시문을 꼼꼼히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찾아내야 한다.
(3) 해결 방안은 실현 가능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해결 방안의 현실성 및 구체성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을 경우 ‘착하게 살아야 한다’, ‘잘 살아야 한다’ 등 당위적 내용으로 밋밋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이처럼 두루뭉술한 결론은 평가자에게 비슷비슷한 답안 중 하나라는 인상을 심어줄 뿐이다.
(4) 어떤 해결 방안이라도 완벽한 것은 없다. 그러므로 제안한 해결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그런 문제에는 어떤 방식으로 대처할지까지 생각해 불편함이나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서술한다면 좀더 깊은 사고 과정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논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해결방안 제시/원인과 해법을 사례별로 구체화하라 (0) | 2008.12.01 |
---|---|
22. 해결방안 제시/공통의 문제를 찾고 극복방안을 제시하라 (0) | 2008.12.01 |
익숙한 주제였으나 상당한 독해능력 요구…2009 주요대 논술경향 (0) | 2008.12.01 |
[대입논술 가이드]선악 이분법의 오류 (0) | 2008.12.01 |
[구술면접 특강]정시모집, 인성·의사표현력 중점 평가 (0) | 200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