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자료

우리말 논술/23. 단계별 전개

설경. 2008. 12. 8. 15:04

[한겨레] 우리말 논술

22. 해결방안 제시

23. 단계별 전개

유형 1 - 서술 절차 제시

유형 2 - 단계별 조건 제시

24. 평가


■ 유형의 이해

절차에 따라 답안을 구성하라는 유형의 논제는 최근의 통합교과논술 논제에서 보편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1번은 제시문의 요약이나 해석, 논지 파악을 요구하고, 2번에는 제시문 간의 비교와 분석 등의 서술형 논제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3번에서는 특정 주제나 현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묻는 식의 논제이다.

이런 논제 유형 가운데 단계별로 지켜야 할 사항을 명시해 서술하라는 경우는 ‘단계별 전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어진 답안 작성 방향을 순서대로 지켜야 한다는 단서가 붙어 있는 경우다.

단계별 전개 유형의 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일정한 서술 절차를 정해놓고 이에 맞춰 논제와 분량이 각각 다른 문제가 주어진다. 각 문제를 순차적으로 해결하면 마지막 논제에선 전체적인 마무리를 요구하는 경우다.

이에 비해 단계별 조건 제시형 논제는 논제에서 논술의 방향 및 내용을 상세하게 지정하고 그대로 쓸 것을 요구하는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서론 부분에 ~한 내용을 포함시켜라’, ‘제시문에 나타난 특정 단어를 논술문에 반드시 포함시켜라’, ‘도입부는 ~게 하고, 본론은 ~하게 전개하라’와 같이 특정한 유형의 틀을 잡아주는 논제가 이에 해당한다.

■ 이 유형이 왜 중요한가

논술은 어느 정도의 형식을 요구하는 교양 있는 글쓰기이다. 여기에서 형식이란 논리적 전개를 뜻한다. 논리적 전개의 방식에는 서론-본론-결론 형태의 글 전체적인 측면도 포함된다. 그러나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해결 과정이 담긴 본론의 측면에서 접근하게 되면 ‘문제의 구체화→문제 분석(비교, 원인 등)→견해나 대안의 제시’라는 일련의 절차를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논리성을 평가의 주요한 영역으로 담고 있는 논제가 단계별 전개 유형이다.

단계별 전개 유형에서는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는 논제와 분량 간의 관계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논제의 요구 사항과 주어진 분량 간의 일정한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시문의 특정 주제에 대한 분석을 요구하는 논제가 주어지고, 답안 분량이 400자 안팎인 경우에는 두 가지 요구사항을 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즉, 한 개의 단락이 일반적으로 200자 안팎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출제 의도의 정확한 파악이 가능해진다.

■ 어떻게 해결할까

(1) 출제자가 쓰라고 하는 대로 쓴다.

이 유형의 논술은 의외로 답안 작성이 수월하기도 하다. 출제자가 하라는 대로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요구사항을 빠뜨리지 않고 충실히 따라가는 것이 이 유형의 답안을 작성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2) 논제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논제의 길이가 길고 요구사항이 많기 때문에 문제를 잘 읽어서 놓치는 것이 없도록 한다. 문구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읽고 필요한 곳에 밑줄을 치거나 따로 정리해 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3) 논리적인 서술 단계를 염두에 두고 답안을 작성한다.

단계별로 분리되어 있는 논제이지만 1번부터 3번까지 해결하는 과정을 면밀히 분석해볼 경우, 한 개의 답안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앞뒤 논제 간의 관계를 고려해 답안 작성에 임해야 한다.

(4) 앞 단계의 논제 해결이 중요하다.

처음 주어지는 논제는 일반적으로 의미의 해석을 요구한다. 만약 이 단계에서 독해를 잘못하면 뒤에 이어지는 논제를 제대로 해결하기 어렵다. 자칫 논제 이탈의 상태에 처할 위험도 따르게 된다.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