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홍의소프트파워] 여자의 유혹 남자의 착각 [중앙일보 정진홍] 대부분의 남자들, 특히 권력과 지위가 있는 사내들은 지위나 권력이 아니라 자신의 남성적 매력으로 여전히 여자를 정복할 수 있다고 믿고 싶어한다. 물론 착각이다. 오히려 그 여자를 가지려는 욕구가 커질수록 그 남자는 점점 더 무력한 존재가 되고 사실상 그 여자의 노예가 된.. 오피니언(사설,칼럼) 2007.09.15
"[기자의 눈/최창봉]KEDI의 ‘外高죽이기 보고서’" [동아일보]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12일 정책토론회에서 내놓은 ‘특수목적고의 현주소와 개선 방향’ 이란 주제발표문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KEDI는 외국어고를 ‘사교육을 유발하고 교육 효과가 없으며 사회경제적 지위를 대물림하는 학교’로 규정하고, 특성화고로 전환한 뒤 정기 평가를 통해 .. 교육뉴스 2007.09.15
"[초대석]교육발전 공로로 인촌상 받은 김정배 전 고려대 총장" [동아일보] “지도자는 말이 많으면 안 됩니다. 묵묵히 행동으로 성과를 보여 줘야죠.” 온화한 미소가 트레이드마크인 김정배(67) 전 고려대 총장도 대입 문제 등 여러 현안에 대해 이야기하는 동안만큼은 눈을 내리감았다. 거친 말만 난무하고 발전이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오랜 세월 고등.. 인물 2007.09.15
[술술 논술] 지난주 논제 - 균형발전을 보는 다른 시각 ◆논술 클리닉 / 1대1 첨삭지도◆ <학생답안> ■ 첨삭지도 ◆ 첨삭 및 총평 A. 서론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분량도 적당하고 기본적인 내용이 잘 들어가 있습니다. ①의 내용은 교과서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겠죠. 다만 ②부분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이에 대한'이란 부분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 논술자료 2007.09.15
[술술~논술] 문법적 문장 표현의 비결 ◆정원석의 무결점 논술 / 5. 문법적 문장 표현의 비결◆ '글쓰기' 형태의 논술이든 '말하기' 형태의 구술이든 모두 의사전달을 위한 표현 양식 가운데 하나임은 자명하다. 특히 언어나 사회탐구 영역의 논술은 물론, 수리나 과학탐구 영역의 논술조차도 어차피 답안은 '글쓰기'를 통해 표현하는 만큼, .. 논술자료 2007.09.15
대입 수시 저소득층 수험생엔 '그림의 떡' 같은 반 친구인 고3 수험생 김모(17) 양과 박모(17) 양은 성적도 비슷하고 나란히 반장, 부반장을 맡고 있다. 하지만 대입 수시2학기 원서 접수 양상은 사뭇 달랐다. 김 양은 서울 소재 대학 6곳에 원서를 접수한 반면 박 양은 부산지역 국립대 1곳에만 원서를 냈다. 지원 가능한 대학은 두 명이 엇비슷했지.. 교육뉴스 2007.09.15
[술술 논술]통합논술 / 수리(공통) 우승위해 필요한 최소승점은? ◆통합논술 / 수리(공통)◆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제에 답하시오 가. 리그전 vs 토너먼트 (1) 리그전:여러 팀이 일정한 기간에 같은 시합 수로 서로 경기를 하여 그 성적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는 경기 방식인데, n개의 팀이 참가하고 각 팀은 다른 팀과 1경기씩을 치르는 리그전을 할 경우, 전체 경기 수.. 논술자료 2007.09.15
[술술 논술] 알파걸 세대 등장과 여성 가치관의 변화 ◆이슈 스크랩 / 드라마 '커피프린스' 를 통해 본 양성관계의 새 흐름◆ ■ 드라마와 현대사회 속 양성 관계의 변화 = 현대사회에는 양성(여성과 남성) 간 역할과 지위에 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합니다. 얼마 전 종영한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도 기존 드라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었던 시각을 드러.. 논술자료 2007.09.15
대입 수시2학기 등급별 학습전략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의 수시2학기 원서접수가 마감됐다. 경쟁률이 높은 대학은 주로 수능시험 이후에 논술고사를 보는 대학들이었다. 중상위권 수험생들은 일단 수능부터 치르고, 등급이 나오면 다시 정시 지원 전략을 세운다는 각오로 2008 입시를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다. 수험생들은 .. 교육뉴스 2007.09.15
[천자칼럼] 신문마니아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는 '부의 미래'라는 책에서 '무용지식(obsoledge)'을 언급하고 있다. 지식에도 수명이 있으며,특히 정보의 홍수속에서 쏟아져 나오는 지식 중에는 쓰레기 같은 게 너무 많다는 것이다. 지식이 무용지식으로 변하는 속도도 갈수록 빨라져 끊임없이 업데이트를 하지 않으면.. 오피니언(사설,칼럼) 2007.09.15